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고과학 ABC/고고과학연구서설: 단행본17

한국 청동기사회와 농경 이전에도 한 번 쓴 듯하지만 한국 청동기사회는 농경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는 것이 우리 학계의 정설로 안다. 이런 결론이 내려진 데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 필자는 이에 대해 논박하자는 것이 아니고, 그렇다면 한국은 왜 같은 신석기시대에 중국에서는 이미 찬란한 황하문명이 싹튼 그 시대에 명색이 우리도 신석기시대라 이름 붙여 놓은 그 시대에 문명단계에 도달하지 못했다면 도대체 왜 그렇겠는가 하는 의문이 있고, 여기에 대한 해답은 학계에서 생산해 주어야 한다. 청동기시대가 되어야 농경이 본격화한다. 도대체 왜 한반도에서는 그렇겠는가 말이다. 이것을 설명없이 그대로 받아들이기에는 수십 가지 의문이 머릿속을 돌아다니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 *** [편집자주] *** 조 수수 기장이 나오는 수렵.. 2025. 7. 4.
농경사회로의 전이 좀 전에 김단장께서 올린 글에 대해 약간 부연한다. 왜 인간이 수렵채집단계에서 농경단계로 넘어갔는가 하는 것은 아주 오래된 주제이다. 당연히 농경으로 간다, 라고 할지 모르겠지만 이렇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면 당연히 연구할 것도 없다. 이미 다 알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러 가지 기존 연구,특히 인류학자들은 인골에 대한 분석에서지난 수십년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수렵채집단계에서 농경으로 넘어간 것은 단순히 농경 생활이 유복해져서가 아니라는 점은 계속 주장해왔다. 인류학적 연구 결과 농경민의 뼈에서 수렵채집민보다 더 생물학적 스트레스가 많고 심지어는 신장도 적어진다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남은 가능성은 우리가 모르는 뭔가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겠나. 그 원인을 찾다 보니 앞서 김단장께서 소개한 연.. 2025. 7. 4.
3대째 올두바이를 파는 리키 집안과 리키재단 김단장께서 쓰신 글에 "리키재단"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지라, 이 "리키재단"의 "리키"가 누구인가 하는 데 대해 조금 써 보겠다. 필자 또래 분들이라면 우리 대학시절에 크게 유행한 "오리진"이라는 책을 기억하실지 모르겠다. 이 시절 대학가를 강타한 과학서적이라 하면 바로 이 "오리진"과 "코스모스"였다. 코스모스는 익히 알려진 대로 천문학자 칼 세이건 저작이고, "오리진"이 바로 이 리키재단과 관련이 있는 "리차드 리키" 저작이다. 이 리차드 리키는 당사자만 유명한 것이 아니라 집안이 몽땅 이쪽 일을 하고 있고 그것도 특히 사이트 하나만 죽도록 팠으니, 그것이 바로 유명한 "올두바이 협곡"이다. 탄자니아에 있는 이 협곡에서 수많은 인류의 조상 화석이 발굴되었고리키집안 사람들이 바로 이 발굴을 주도했던.. 2025. 6. 22.
[관자놀이와 어금니] 고고학 발굴과 두개골, 그리고 치아 발굴 현장에서 발견되는 유해는 무작위적으로 여러 부위가 남는 것이 아니라 대개 마지막까지 남는 패턴이 있다. 예를 들면 머리뼈의 경우 관자뼈 (temporal bone)가 마지막까지 남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이 부위 뼈가 다른 부위에 비해 두껍고 단단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이 관자뼈 안에 드릴을 넣어 뼈가루를 얻어 고대 DNA 연구를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는 이 부위 뼈가 많이 남고 또 드릴로 구멍을 파 뼈가루를 얻으면 다른 부위에 비해 손상이 적기 때문이다. 최근 뼈로 고대 DNA를 연구하는 경우, 거의 대부분 이 부위 뼈를 이용한다. 이 뼈 부위 말고 또 마지막까지 남는 부위를 말하라면, 뼈는 아니지만 역시 치아다. 치아는 구조를 보면 에나멜층이 가장 바깥에서 둘러싼 모습을 하는데 그 안쪽.. 2025. 6. 22.
중석기 여인의 얼굴 복원에 약간의 코멘트 앞서 김단장꼐서 올리신 중석기 여인의 얼굴 복원 건에 약간 첨언한다. 이전에도 한 번 썼지만, 이런 경우 엄격히 말하면DNA로 얼굴을 복원한 것이 아니라 DNA로 복원한 얼굴에 최후의 터치를 한 것, 이라는 표현이 더 적합할 것이라 본다. 이 중석기 여인분 얼굴의 큰 틀은 머리뼈에 근육과 피부를 붙이는 작업으로 이미 완성된다. 이를 craniofacial reconstruction이라 하는데, 국내에는 국과수의 이원준 박사가 대가다. 옛날에는 뼈에 직접 점토를 붙여 완성했는데지금은 컴퓨터 상에서 3차원적으로 작업하여 완성한다. 이렇게 완성하면, 피부색도 없고, 눈 색도 없고 머리카락도 없는 형태의 얼굴이 완성된다. 머리뼈에 기반한 얼굴복원의 끝은 딱 여기까지이다. 이 중석기 여인 역시 얼굴 형태는 머.. 2025. 6. 21.
일본 유히가하마 유적에 대해 앞서 쓴 유히가하마 유적에 대해 조금 더 써보겠다. 여기는 필자가 알기로 가마쿠라 시 해수욕장으로 안다. 그런데 가마쿠라 시대는 마냥 좋은 곳은 아니었던 모양으로 전란의 시대라 할 가마쿠라 시대에 이곳은 무사들 사이의 전란 반란이 일어나거나 하면그 처형장으로 쓴 모양으로 이곳에서 발굴한 인골만 현재 4000 개체가 넘는다. 필자가 수십년 동안 걸쳐 모신 조선시대 인골이 200-300분 정도이니 이 숫자가 얼마나 많은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 인골에서는 앞서 쓴 것처럼 처형의 흔적, 동란의 흔적이 다수 나왔다. 일본사에서는 가마쿠라 막부를 멸망시키는 최후의 전쟁이 벌어진 곳으로도 유명하다.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라이벌이라 할 닛타 요시사다가 10만 병사를 이끌고 가마쿠라로 쳐들어가그곳을 지키던 막부군을 전.. 2025. 6.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