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622 시베리아의 겨울 앞 사진의 연속이다. 이때 경희대의 홍종하 교수, 유해감식단의 이혜진 박사와 함께 러시아 북방연구소와 공동으로 시베리아 현지민의 인골 조사를 했다. 2019년 1월의 일이니 지금 7년이 다 되어 간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되자 러시아 학자들과의 연락도 끊어져 버렸다. 아마 필자도 다시는 러시아에 연구를 위해 들어갈 수는 없으리라. 죽기전에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다시 탈 일이 있을까? 알수 없는 일이다. 사람 일이라. 2025. 11. 26.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러시아 연구 필자는 시베리아 미라를 조사할 때이동 수단으로 시베리아 횡단철도를 탄 적 있다. 한 번 타면 하루 반 나절 정도 타고 갔던 것 같다. 당시 사진으로 바깥 정경을 담은 것이 있어 몇 장 공유해 둔다. 2025. 11. 26. 말로 해서는 안 되는 일, 무사를 박살낸 근대의 일본 농민들 일본은 다이라씨 정권 이래 무려 600년 간 무사의 시대가 계속되었다. 도요토미가 농민과 무사는 절대로 서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선을 그어버린 이래 농민은 농민, 무사는 무사였다. 그러던 것이 19세기가 되고 메이지유신이 가까와지자 이전까지 무사라면 납작 업드리던 평민들이 고개를 쳐들기 시작했다. 이전 같으면 엄두도 못낼농민의 자식들이 사무라이처럼 칼을 차고 다니며사무라이 흉내를 내는가 하면 (신센구미 상당수는 농민의 자식들이었다)아예 저 위 그림에 있는 기병대란잡병부터 일반 농민까지 이전 같으면 군대 병역을 지지도 못할 계급의평민 자식들을 깡그리 긁어 모아 기병대라는 이름을 붙여 두었는데, 이 기병대가 막부군을 격파해 버렸다. 어마어마한 사건이었다 할 것이다. 농민의 자식들이 최고급 무사로 무장한 막부군.. 2025. 11. 25. 고병리학의 연구: 그 역사학적 배경 필자의 30년 연구를 요약하자면, 결국 미라와 고병리, 고기생충학 정도가 될 터인데, 이미 예고한 대로 앞으로는 고병리를 역사학, 문헌적 차원에서 파고 들어갈 것이다. 이를 위한 준비 작업은 순탄한 진행 과정 중에 있으며조선시대 사람의 건강과 질병 상태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가 앞으로는 문헌에 입각하여 만날 수 있게 되리라 생각한다. 아래에 지금까지 필자의 관련 논문을 요약하여 묶어 둔다. 결국 조선시대 사람의 건강과 질병 상태에 대해 지금까지는 의학적 접근을 해왔던 바, 관련 논문을 모두 묶어 아래 PDF 파일에 정리해 두었다. 필요하신 분은 다운로드 하여 보시기를. 2025. 11. 24. 고고기생충학과 화장실고고학 워크샵 성료 지난 금요일 (2025/11/25) 국립청주박물관에서 열린 고고기생충학과 화장실고고학 워크샵-. 참여해주신 분들의 열띤 반응에 힘입어 성황리에 성료하였음을 알려드린다. 귀한 자리가 가능하게 도와주신 국립청주박물관 관계자 여러분, 그리고 이양수 관장께 마음 깊이 감사 드리는 바다. 개인적으로는 이번 워크샵을 계기로 고고기생충학이 고고학계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으면 하는 생각이다. 이 워크샵 관계 자료는 올해 말까지 편집을 완료하여 국립청주박물관에서 단행본으로 출간할 예정이오니 기대해 주시기 바란다. 아울러 이번에 개최된 워크샵은 더욱 보강하여 앞으로 다른 장소에서 다른 계기로 계속 만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2025. 11. 24. 민족이나 민중으로 정의하기 너무 복잡한 구한말 우리 구한말은민족이나 민중이라는 키워드로 정의하기에는너무 복잡한 사정이 있다. 구한말 한국인 100명은100가지 사연이 있다는 말이다. 개인이 성립하는 역사가 100개가 있다는 뜻이다. 이 복잡한 사정을 민족이나 민중이라는 키워드로 쾌도 난마 정리하고 써내려간 것이 한국 근현대사이다. 우리 구한말을 설명하기에 충분한 디테일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허겁지겁 밖으로부터 이데올로기를 가지고 그 시대를 꿰 맞추다 보니 정작 점점 디테일이 추가되자 하나도 맞지 않는 것이다. 필자가 계속 주장한 바 동학운동을 "동학농민전쟁"이라 불러버리는 이런 난폭함. 이런 정도의 디테일 가지고는 이 시대의 격변을 제대로 분석 불가능함은 물론, 21세기 한국의 자본주의, 한국의 중산층, 한국의 근대화의 기원도 모두 설명 불가능이.. 2025. 11. 23. 이전 1 2 3 4 ··· 43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