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46 60 이후 작업의 조정 막상 일을 해 보니 현실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60 이후의 연구작업을 준비하는 것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실제로 wet lab을 빼고 작업을 해보니 처음 생각과 달리 많은 조정을 거치게 되었다. 현재로서 필자가 60 이후의 연구 주제로 결정한 것은 세 가지다. 1. 조선시대 사람의 생노병사에 대한 문헌적, 고병리학적 검토 필자가 지난 20년간 진행한 고병리학적 연구에 문헌적 디테일을 입히기 위한 작업이다. 2. 한국인과 그 농업사회의 기원에 대한 자연과학적 검토 한국인의 기원, 한국 농업사회의 기원에 대한 검토를 자연과학적 측면에서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전학, 인류학, 동식물학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한다. 3. 동아시아 미라에 대한 역사적 고찰조선시대 미라에 대한 의과학적 검토는 더 이상 .. 2025. 5. 9. 노년의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법 어차피 60 이후의 연구는 혼자 가야 한다. 이건 이성적으로 판단하면 쉽게 알 수 있는데 막상 체화하여 대책을 내기는 쉽지 않은 부분이다. 그때문에 사회에서 자리 잡고 활동하던 사람들은현직에서 물러날 때까지 자기가 젊은 시절 구축한 시스템을 그대로 돌리다가어느날 아침에 그 모든 것을 사회에 돌려주고 맨손으로 나가 자멸한다. 이것이 65세 이후에 대학 등지에서 나는 아직도 더 일할 수 있으니 사회에서 대책을 세워달라는 요구의 본질이다. 이렇게 사회에서 2-3년 더 세월을 연장해줘 봐야나오는 것이 대단할 리도 없고또 그래 봐야 지금보다 더 쇠약해진 나이에 빈손으로 나가게 될 뿐이다. 차라리 혼자 서서 연구하는 시스템을 하루라도 힘이 있을 때 구축하여 돌려보는 편이 더 장기간 실속 있는 연구를 계속하는 데 도.. 2025. 5. 8. 일본: 잃어버린 30년의 시작 일본이 잃어버린 30년이 시작될 즈음이 필자가 일본을 좀 여러 이유로 자주 방문하기 시작할 때였는데이때 일본의 퇴조가 그렇게 장기간 계속될 것이라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일본인들 스스로는 물론이고 주변의 그 누구도 일본이 일시적 불황이라고 생각했는데그 후 다시는 못 일어나고 지금 30년째 후퇴 중이다. 필자가 조심스럽게 써 본다면, 필자가 30년 전 일본을 방문했을 때 처음 목격하고 느낀 여러 정황이 지금 우리하고 무지하게 닮았다는 생각을 한다. 우리는 지금 경제의 일시적 불황기라고 생각하고 조만간 반전되지 않겠는가 하는 희망을 모두 품고 있는데, 그것이 아니고 이런 퇴조기가 앞으로 30년이 계속될 수도 있다. 출생률도 그렇지만 무엇보다 생산성 저하, 무엇보다 당시의 일본 사회 분위기가 우리하고 .. 2025. 5. 8. [마왕퇴와 그 이웃-120] 개-돼지-닭 어떤 인구 집단이 이동할 때에는 이들이 농경민이라면 종자를 휴대할 테고, 또 가축도 함께 이동할 것이다. 그런데 종자는 그렇다고 쳐도 가축이라고 해서 모든 가축을 줄줄이 끌고 이동하는 것은 아니다. 휴대성이 좋고 인간에 의해 쉽게 제압 가능한 동물들이 이동에 동반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이렇다. 소위 라피타 문화 Lapita culture 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태평양 일대를 식민화한 거대한 인구 이동 흐름을 말한다. 이 이동에서 태평양 여러 섬을 작은 배에 의지해 건넌 용감한 이들 곁에 있었던 가축에는, 개, 돼지, 닭-. 세 종이 있었다는 것은 현재 상식이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태평양 일대 섬을 방문해 보면 뜻밖에 야생 닭을 만나게 되는데 이는 모두 태평양 섬들을 식민화한 폴리네시안들과 함께 바.. 2025. 5. 5. 안개와 나무: 하세가와 토하구: 송림병풍도 안개낀 산을 오르는 김단장 쓰신 글을 보니,일본의 국보 "송림병풍도松林屏風図[松林屛風圖]"가 생각나 포스팅 해둔다. (솔숲 그림을 넣은 병풍이라는 뜻이니 송림도병풍松林圖屛風이라 해주는 것이 더 정확하지 않을까 싶다. 대세에는 지장이 없다.) 하세가와 토하쿠長谷川等伯[1539-1610]의 작으로 일본 동경국립박물관에 가면 떡 하니 전시되어 있다. (하세가와 토와쿠는 현행 외래어 표기법으로는 하세가와 도하쿠라 해야 한다.)안개낀 속에 어슴프레 보이는 소나무 밭이다. 임진왜란 전후에 그려진 작품으로 일본에서 손꼽히는 산수화의 걸작이다. 실제로 직접 보면 별로인데이 작품은 묘하게 사진을 찍어보면 실견하는 것 보다 낫다. *** 편집자주 *** 저 그림 폼새 보면 추사 김정희 세한도에 대한 지나친 확대 해석이 저.. 2025. 5. 3. 최근의 중국 연구 수준 최근의 중국쪽 고고과학 연구 보고 수준을 보면가히 서구 (미국과 유럽)과 천하를 양분하여 이미 이 쪽 분야에서는 G2의 영역에 들어간 기미가 완연하니, 이쪽 친구들 요즘 논문이 Science Nature를 넘나드는 논문이 거의 달마다 나오는 것 같다는 생각이다.가히 폭발적으로 우선 발굴하는 시료 자체가 세칭 세계 4대 문명이라는 중국 문명의 시료인데다가, 연구의 수준도 최신 기법을 총동원하여 초창기에는 미국 유럽 쪽 연구자와 협동연구로 논문을 내더니요즘은 아예 자기들끼리 탑 클래스 논문을 쏟아내는 형국이라최소한 이 쪽 분야에서는 필자가 보기엔 중국 고고과학은 더이상 한국과 일본이 찝적거릴 수준이 아니다. 필자도 고고학 옆에서 얼쩡거린 사람으로서 십수년 전부터 이런 상황이 전개될 싹을 보았었는데, 그 당시.. 2025. 5. 3. 이전 1 2 3 4 ··· 35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