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217

승병과 노비 필자가 항상 궁금하게 생각한 것 중의 하나는 양반 출신 의병들이야 나라가 망하면 자기들이 가진 것을 다 날릴 판이니 그렇다고 쳐도, 도대체 승병들은 왜 궐기하여 왜병과 싸웠을까 하는 점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필자는 아직 답을 못 얻었다. 조선사람인데 왜병과 싸우는것은 당연한 거 아닌가라는 말은 하나 마나한 이야기이다. 쇄미록을 보면, 과연 기회가 없어서 그렇지 당시 왜란 정국에서 양반에게 사역되던 노비들이 왜병이 자신들에게 득이 되는 무언가를 해줄 수 있다는 확신만 있다면과연 적극적으로 왜병 편을 들지 않았을까 상당히 의심스러운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당시 조선에서 양반의 지배를 받던 많은 수의 노비들은 조선의 양반 지배를 받으나 왜병의 지배를 받으나 그게 그거인 상황이었다고 보아도 좋다. 특히 양반들.. 2025. 7. 2.
19세기는 해방의 세기이다 우리는 19세기를 망쪼가 든 세기라고 생각하고 삼정 문란이라는 것, 이런 시각도 마찬가지인데조선시대에 삼정이 문란하지 않은 시기가 있었던가? 조선은 원래 국가의 작동 방식 자체가 문란한 삼정을 바탕으로 하고 성립한 나라다. 떼먹을 거라고 생각하고 넉넉히 부르고, 아전은 봉급 안줘도 알아서 떼먹고 이런 식으로 오백년을 갔는데 새삼스럽게 어떻게 삼정의 문란이 갑자기 튀어 나온단 말인가? 19세기는 삼정의 문란의 세기가 아니라해방의 세기다. 17세기만 해도 우리나라는 노비를 사고 팔았다. 잘 봐줘야 중세의 예농 정도 되는 공짜 인력을 데려다 강제 사역을 시키는 것이 양반들의 경영방식이었고 이런 역사적 흐름은 18세기가 되면 상당히 무너졌다고 하지만 여전히 조선이라는 나라를 작동시키는 방식이었다는 말이다. 이 .. 2025. 7. 2.
그간 오해해서 미안한 김홍도 타작도 김홍도 그림 중에 타작하는 그림이 있다. 이 그림을 보면 일하는 이들 옆에 비스듬히 자빠져 있는 양반이 보인다. 내가 그동안 저 양반을 오해했다. 미안하다. 쇄미록을 보면, 저 양반은 정말 부지런한 양반이다. 왜냐. 어쨌건 벼타작하는데 직접 가서 제대로 하나 안 하나 지켜보고라도 있었으니까. 쇄미록에 나오는 양반들은 저것도 안한다. 그냥 밭으로 논으로 김매러 노비들을 몰아낼 뿐그러니 그게 제대로 될 턱이 있나. 하루종일 사역시켜도 손바닥 만한 밭과 논 김도 제대로 못매고 싹이 나온 걸 보면 듬성듬성 제대로 나오지도 않아노비 놈들이 씨를 가져다 자기들 밭에 심었나보다 불평일뿐내가 보기엔 저런 농사 감독이나 제대로 한 양반도 거의 없었던 것 같다. 저 그림의 양반은 정말 부지런한 양반이다. 어쨌건 타작 판에.. 2025. 7. 1.
쇄미록이 전하는 나라 꼬라지 임진왜란이 미증유의 환란이란 점 때문이기도 하겠지만쇄미록에 나타난 모습을 보면 왜란이 아니라도 별로 달랐을 것 같지도 않은 것이 나라의 꼴이니우선 환자로 받아오는 곡식-. 주는 쪽 됫박 따로 받는 쪽 됫박 따로다. 이건 왜란 때문이 아니고 원래부터 이 모양이었던 것 같은데예를 들어 환자 곡식으로 다섯 말이라고 내주면집에 와서 다시 달아보면 서말 밖에 안된다. 나머지 두 말을 들고오던 노비 놈이 몰래 훔쳐 먹었나보다 하고 중간에 심부름하던 이를 탓한다. 이런 기사가 한두 곳도 아니고 무수하게 많이 나온다. 원래부터 관에서 환자곡식을 내줄 때 작은 됫박으로 내준 건지,아니면 정말 중간에서 떼 먹은 것인지 내가 들고 있는 됫박이 큰 건지 알 방법도 없다. 됫박이 이 모양인데 토지는 제대로 쟀겠나. 조선시대 임.. 2025. 7. 1.
한창기 선생이 요절하지 않았다면 필자 세대라면 뿌리깊은 나무라던가 샘이 깊은 물 같은 잡지를 안다. 이 잡지는 그 편제에서는 필자가 보기에 내셔널 지오그래픽 영향을 정말 많이 받았다. 예를 들어 각 호 참여자를 인쇄담당자까지 몽땅 다 실무진 이름을 한 페이지 한 쪽 컬럼을 할애하여 쓰는 방식이건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항상 쓰던 방식이다. 한창기韓彰璂(1936~1997), 이 분이 이 잡지를 낼 때는 내셔널 지오그래픽이 한글판이 없던 때라 영어에 매우 능통했고 브리태니커를 세일즈를 하여 큰 돈을 벌었다는이 분 역시 내셔널 지오그래픽 키드였다고도 할수 있을지 모른다.내셔널 지오그래픽과 구분되는 점도 분명히 있다. 이 잡지들에 깊이 뿌리 박고 있는 민족주의에 대한 경도이다. 이것은 아마 그 당시의 상황이라면 이 방향이 가장 필요한 방향이라고.. 2025. 7. 1.
吾事畢矣를 이야기 할 수 있는 인생 문천상文天祥은 남송의 마지막을 함께 한 세 충신 중 한 명이다. 또 다른 두 명은 마지막 황제와 함께 물에 뛰어든 육수부, 그리고 마지막 한 명은 죽을 때까지 몽골에 저항한 장세걸이다. 문천상은 육수부, 장세걸과 달리 애산전투崖山海战에서 끝이 난 것이 아니라 쿠빌라이에게 끌려가 갖은 회유를 받았다. 이후 무려 오년을 옥에 있다가 마침내 처형당했는데 이때 남긴 말이 "吾事畢矣"라는 한마디다. 필자는 문천상의 절개라던가, 지조를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 세상에 태어난 사람들은 누구나 "吾事"가 있다. 그것이 연구일 수도 있고, 배우일 수도 있고, 또 출판일 수도, 언론일 수도 있다. 문천상에게는 남송의 신하로서 죽는 것이 "吾事"였을 것이다. "吾事"를 이런 강골의 절개에만 국한하여 해석하는 .. 2025. 6.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