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노년의 연구339 1938년까지도 신분이 불안정했던 고보 재학생 1923년에 제2차 조선교육령이 발표된 후 신교육령에 따라 조선의 고등보통학교 졸업생은상급학교 진학 자격이 주어지지 않아 혼란이 야기되었다. 사실 조선의 고등보통학교란일본의 고등소학교에 해당하는 학교 였는데이는 대학진학을 할 수 있는 학교가 아니었다. 이 시기 일본의 교육제도를 보면 아래 표와 같다. 위 표를 보면 고등소학교가 바로 우리의 고등보통학교에 해당하는 것인데, 수업 연한으로 보면 우리는 5년으로 되어 있어 일본의 고등여학교와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고등소학교가 됐건, 아니면 고등여학교가 되었건 일본의 경우 이쪽 길을 타게 되면 대학으로는 가지 못한다. 대학을 가려면 무조건 중학교를 나와야 하는데, 이 시기 조선인들은 중학교 진학자가 거의 없었고 대개 일본인들이 중학교, 조선인들은 고등보통학.. 2025. 9. 13. 1920년대의 영화관 1920년대에는 영화관 광고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위 광고는 1923년 10월자 신문에 실린 조선극장과 단성사의 광고로활동사진을 상영한다는 광고다. 활동사진 내역을 보면, 이때는 아직 조선인의 손으로 영화가 제작되기 전이라 (나운규의 아리랑은 1926년)대부분이 미국 영화였다. 예를 들어 위에 단성사에서 상영한다는 "독선풍"은 무슨 무협지 같지만 사실 서부극이었다. 재미있는 것은 영화관이라 해도 쑈를 겸한 극장이 있어 위 광고 오른편 조선극장에는활동사진 상영과 함께 권번 기생들이 나와 노래도 부른 모양이다. 연예인의 쑈와 영화를 함께 상영했으니 꽤 재미있었을 것 같다. 참고로 이 당시 영화표 값은 얼마나 했을까? 조선의 당시 표값은 알 수가 없지만 미국은 1922-1923년 당시 영화표 값이 7센트 정.. 2025. 9. 13. 도전의 시대 1920년대... 말로리와 에베레스트 에베레스트 등정은 힐라리와 텐징의 1953년 초등이 가장 유명하지만, 사실 이 세계에서 제일 높은 산에 대한 등정 시도는1920년대에 이미 본격화했다. 20년대 산악 등정의 대표 주자 격이었던 말로리는 1920년대 영국의 에베레스트 원정을 이끌었다. 1921년, 1922년, 1924년 세 번의 에베레스트 원정을 했는데모두 실패하고 마지막 원정인 1924년 조난하여 에베레스트에서 사망하였다. 말로리가 죽기 전 에베레스트 등정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등정하고 하산 길에 조난했다는 주장도 있고, 등정에 실패하고 조난했다는 설도 있다. 그의 시신은 2007년이 되어서야 발견되었다. 시신이 발견 된 후에도 그의 등정 여부는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그는 "산이 거기 있기 때문에 오른다"라는 말을 남긴 사람으로.. 2025. 9. 13. 코리아배의 전신 전조선축구대회 (1922년) 이 해에는 제2회 전조선축구대회가 열렸다. 이 전조선축구대회는 요즘 한국의 FA컵인 코리아컵의 전신이다. 이 대회는 1940년까지 계속 개최되었는데, 1940년에 조선팀도 천황배 참가를 종용하면서 이 대회가 없어졌다. 해방 이후에 부활하여 전국축구선수권대회가 되었다가 요즘은 코리아컵이 되었다. 이 축구대회가 열린 곳이 경성중학교운동장으로 되어있는데여기는 일본인 학교로, 조선인들이 주로 다니던 고등보통학교가 아니라 중학교였다. 따라서 여기는 졸업하면 대학예과나 고등학교 진학이 되는 정규학교였다. 이 경성중학교는 1937년기존의 고등보통학교를 모두 중학교로 전환하면서 조선인이 다니던 경성고등보통학교와 이름이 같은 통에 문제가 발생했다. 당시 조선인 학교인 경성고보는 2개가 있었다. 경성제일고보, 그리고 경성.. 2025. 9. 12. [연구소식] 청주박물관 도록에 짧은 기고문 하나 [필자 주] 이전에 한번 포스팅 했었는데 당시는 특별전이 개막되지 않아 세세한 내역은 쓰지 않았다. 이제 특별전이 개막했으므로 조금 더 보충해 글을 남겨 둔다. 9월에 국립박물관 중 한 곳에서 새로 열리는 특별전 "후지산에 오르다: 야마나시" 도록에짧은 컬럼 글을 하나 기고하였다. 일본 에도시대 콜레라에 대해서다. 필자의 연구 주제가 지금 크게 질병사에 대한 인문학적 검토로 방향을 돌린 바 최근의 작업을 선보일 수 있는 기회를 주신 박물관 측에 감사드린다. 2025. 9. 11. 독립운동의 가장 전형적 시대: 1920년대 우리가 독립운동 하면 생각하는 만주의 무장독립운동, 국내에서 끊임없이 벌어지는 스트라이크, 해외의 많은 독립운동지사, 이러한 이미지는 사실 일제강점기를 보면1920년대에 가장 가깝다. 1930년대가 되면 상황이 많이 바뀌어 우리가 아는 것과는 좀 달라지게 된다. 1920년대 사회면은 독립운동 기사의 연속이다. 2025. 9. 11. 이전 1 2 3 4 ··· 5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