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노년의 연구399

양반의 시각으로 보는 조선사 언젠가도 한 번 쓴 것 같지만 우리나라 조선시대사는 양반의 시각으로 그 사회를 보고 있다. 예를 들면 이런 것이다. 조선후기 향교에는 놀고 먹는 이들이 많이 들어가 군역을 회피했다던가, 조선시대 무과 급제를 우습게 본다던가 하는 시각이 그런 것이다. 이런 것은 전적으로 소과 급제를 대대로 하며 유학은 나면서 부터 이마에 붙이고 태어난 이들, 대과급제자를 배출하여 복록을 누리던 집안 시각인데 이런 사람들이 조선에 얼마나 있었을 것 같은가. 실상은 호적이 만들어지는 향촌 단계에 들어가면향교에서 놀고 먹었다는 하류 양반 내지는 소위 향촌 중인들무과급제하여 방목에 올라간 이들관직 하나 없이 대대로 유학으로 이름을 올리던 이들이런 사람들도 그 동네에서는 양반 흉내내며 잘만 살았다는 뜻이다. 호적을 보면 급제 출신.. 2025. 11. 4.
딱 진사까지만 하라는 양반 집안 조선시대 양반들 이야기 중에 우리 집안은 딱 진사까지만 그러니까 소과만 하고 대과는 하지 마라 라고 유언을 남겼다는 이야기를 본다. 그리고 예외없이 이런 이야기 뒤에는 명예욕을 초월하고 은둔하며 학문 수양에 힘쓰는 사대부라는 코스프레를 본다. 그게 아니고, 진사만 해도 먹고 사는 데 전혀 지장이 없어 그렇다. 우리나라 향촌사회 호적을 보면진사 아니라 무과만 해도 위아래 몇 대가 먹고 산다. 문과 방목 아니라 저건 과거도 아니라며 천대받은 무과방목에만 들어가도 그렇다. 그러니 소과라 해도 진사 입격하면 당연히 양반이다. 대과 급제자라도 상대가 대대로 진사라면 쉽게 못본다.몇 대 진사라는 것이 가지고 있는 향촌 사회의 힘이 호적에 보면 그렇게 무섭다. 이런 집은 대개 18세기까지는 노비를 백 명 이상 거느리.. 2025. 11. 4.
조선시대 - 청백리는 없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청백리가 없는 것이 아니라 청백리가 되어서는 사대부로서 대를 이을 수가 없다는 말이 옳겠다. 조선시대는 어느 정도 재산이 없다면, 토지와 노비가 없다면 사대부로서 대를 이어 존속이 가능한 사회가 아니었다. 노비 수백 명을 거느린 양반은 퇴계나 몇몇 양반에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었다는 말이다. 조선시대 호적을 보면집안에 수백 명 노비를 거느리지 않은 집안은대를 따라 내려가면 거의 잔반화해 버리는 것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내가 청백리를 하는 건 좋은데 우리 아들 손자대로 가면 양반 자리를 유지할 수 있을지 불확실해진다는 뜻이다. 따라서 조선시대 청백리 운운은 전부 거짓말이다. 가난한 청백리는 있을 수도 있겠지만 그 집안은 몇 대 못가 망하고 양반에서 탈락한다. 양반으로 수백 년을 이어.. 2025. 11. 4.
블로그 500만 방문을 축하하며 이 블로그가 500만을 돌파했다니 먼저 축하 드리고, 필자도 이 블로그의 객원필진이니 감회가 없을 수 없겠다. 사실 필자는 옆에서 봐오신 분들은 잘 알겠지만언론 타는 것을 그다지 즐기는 편은 아니다. 요즘은 조선시대 미라가 상대적으로 안정기에 접어들어 미라연구 자체가 우리나라에서도 화제가 되는 시대는 지났지만 필자가 이 일을 시작했을 당시만 해도 미라연구는 꽤나 센세이셔널했던지라 방송과 신문에서 관심을 갖는 경우가 많았다. 아마 그때 우리 연구진이 언론에 조금 더 관심이 있었다면 보도에 노출될 기회가 훨신 더 많았으리라 생각하지만필자와 함께 작업하는 분들은 언론 노출을 그다지 즐기지 않는 샤이한 분들이 대부분이어서대중과 언론의 관심에 비하면 조용조용히 지나갔던 것 같다. 이 블로그는 사실 매일 독자가 하.. 2025. 11. 2.
몰락 양반의 마지막 보루: 향촌의 문중 우리나라는 18세기 말, 19세기 초반에 이르면부상하는 소위 모칭冒稱 유학-. 이전에는 자유민과 노비였지만 어찌어찌해서 유학으로 부상하여양반 행세를 시작한 이들과 그 한편에는 또 누가 있는고 하면이전에 양반 끄트머리쯤 있다가 장자상속이 강화하면서 받은 거 하나 없이 자립해야 하는 지손들-. 그리고 조선 후기까지도 강고하게 남은 서얼금고 때문에아무 것도 할 게 없는 이들-. 이들이 말이 양반이지 쪽박차기 일보 직전인 사람들이 동네마다 가득했다. 이렇게 쪽박차기 일보직전이면 이들의 신분이바로 평민으로 격하되었는가 하면 그것이 아니다. 이들은 조선이 망할 때까지도 유학이라는 호칭을 호적에 유지하면서하루종일 손바닥 만한 땅을 부치거나 아니면 아예 농업노동자로 이리저리 남의 집 땅을 갈아주면서마지막까지 양반 유학.. 2025. 10. 30.
밝혀져야 할 이야기 삼부작 한국 인문학이 밝혀 내야 할 삼부작이 있다. 한국 민주주의의 기원한국 자본주의의 기원한국 중산층의 기원 이 세 가지는 현대 한국사회를 형성한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 그 기원에 대해서 아직도 명확히 설명된 바가 없다.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도 모른다. 민주주의라는 게 원래부터 있었을 것 같지만해방 이전 한국인들은 민주주의의 민짜도 몰랐다. 이건 옛날 신문 서칭만 해봐도 안다. 바다 건너 일본은 대정데모크라시의 시대에 그 맛을 좀 봤다고 하지만그것도 그쪽 이야기고 식민지 시대 조선이 민주주의라는 게 뭔지 알겠는가?한국사람들은 국민투표도 1948년에 처음 해봤다. 그 이전엔 투표도 없었고 그게 뭔지도 몰랐다. 문맹자가 너무 많아 투표 벽보에는 짝대기 표시를 해놨다. 그거 보고 찍으라고. 그런 사람들이 어떻게 .. 2025. 10.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