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ho'sWho in Ancient Korea

다루왕(多婁王)

by taeshik.kim 2018. 2. 23.
반응형


삼국사기 권 제23(백제본기 제1) 다루왕본기 : 다루왕(多婁王)은 온조왕의 맏아들이다. 도량이 넓고 위엄과 덕망이 있었다. 온조왕이 재위 28년에 태자로 삼았고, 46년에 이르러 왕이 죽자 왕위를 이었다.  2년(서기 29) 봄 정월에 시조 동명묘(東明廟)에 배알하였다. 2월에 남쪽 제단[南壇]에서 천지에 제사지냈다. 년(서기 30) 겨울 10월에 동부의 흘우(屹于)가 말갈과 마수산(馬首山) 서쪽에서 싸워 이겼는데 죽이고 사로잡은 것이 매우 많았다. 왕이 기뻐하여 흘우에게 말 10필과 조(租) 500섬을 상으로 주었다. 4년(서기 31) 가을 8월에 고목성(高木城)의 곤우(昆優)가 말갈과 싸워 크게 이기고 200여 명의 머리를 베었다. 9월에 왕이 횡악(橫岳) 아래에서 사냥하였는데 한 쌍의 사슴을 연달아 맞히니 여러 사람들이 탄복하고 칭찬하였다. 6년(서기 33) 봄 정월에 맏아들 기루(己婁)를 태자로 삼고, 크게 사면하였다. 2월에 나라 남쪽의 주·군(州郡)에 영을 내려 처음으로 논[稻田]을 만들게 하였다. 7년(서기 34) 봄 2월에 우보 해루(解婁)가 죽으니[卒] 나이가 90세였다. 동부의 흘우(屹于)를 우보로 삼았다. 여름 4월에 동방에 붉은 기운이 있었다. 가을 9월에 말갈이 마수성(馬首城)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불을 놓아 백성들의 집을 태웠다. 겨울 10월에 또 병산책(甁山柵)을 습격하였다. 10년(서기 37) 겨울 10월에 우보 흘우를 좌보(左輔)로 삼고, 북부의 진회(眞會)를 우보로 삼았다. 11월에 지진이 일어났는데 소리가 우뢰와 같았다. 11년(서기 38) 가을에 곡식이 잘 익지 않았으므로 백성이 사사로이 술빚는 것을 금하였다. 겨울 10월에 동부(東部)·서부(西部)의 두 부(部)를 순행하며 위무하고, 가난해서 제 힘으로 살아갈 수 없는 자에게 곡식을 한 사람당 두 섬을 주었다. 21년(서기 48) 봄 2월에 궁중의 큰 홰나무[槐樹]가 저절로 말랐다. 3월에 좌보 흘우(屹于)가 죽으니[卒] 왕이 슬피 곡하였다. 28년(서기 55) 봄과 여름에 가물었다. 죄수를 살펴 사형할 죄[死罪]도 사면하였다. 가을 8월에 말갈이 북쪽 변경에 쳐들어 왔다.29년(서기 56) 봄 2월에 왕이 동부에 명하여 우곡성(牛谷城)을 쌓아 말갈을 방비하게 하였다. 36년(서기 63) 겨울 10월에 왕이 영토를 개척하여 낭자곡성(娘子谷城)에 이르렀다. 곧 사신을 신라에 보내 만나기를 청하였으나 [신라가] 듣지 않았다. 37년(서기 64)에 왕은 군사를 보내 신라의 와산성(蛙山城)을 공격하였으나 이기지 못하자, 군사를 옮겨 구양성(狗壤城)을 공격하였다. 신라가 기병 2천 명을 일으켜 맞아 쳐서 패주시켰다. 39년(서기 66)에 와산성을 공격하여 빼앗고 [군사] 200명을 남겨 두어 지키게 하였는데, 얼마 안 있어 신라에게 패하였다. 43년(서기 70)에 군사를 보내 신라를 쳤다.46년(서기 73) 여름 5월 그믐 무오에 일식이 있었다. 47년(서기 74) 가을 8월에 장수를 보내 신라를 쳤다.48년(서기 75) 겨울 10월에 또 와산성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49년(서기 76) 가을 9월에 와산성이 신라에게 회복되었다.50년(서기 77) 가을 9월에 왕이 죽었다. 

삼국사기 권 제23(백제본기 제1) 기루왕본기 즉위년 : 기루왕(己婁王)은 다루왕의 맏아들이다. 뜻과 식견이 넓고 원대하여 사소한 일에 마음을 두지 않았다. 다루왕이 재위 제6년에 태자로 삼았고, 50년에 이르러 왕이 죽자 왕위를 이었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2대 다루왕(多婁王)은 온조왕 둘째 아들이다. 무자년(28)에 즉위해 49년간 다스렸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3대 기루왕(己婁王)은 다루(多婁)의 아들이다. 정축년(77)에 즉위해 55년을 다스렸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 2 남부여(南扶餘) 전백제(前百濟) 북부여(北扶餘) : 시조(始祖) 온조왕은 동명왕(東明王)의 셋째아들로서 몸이 장대하고 효도와 우애가 지극하고, 말 타기와 활 쏘기를 잘했다.  또 다루왕(多婁王)은 너그럽고 관후했으며 위엄과 인망이 있었다.  또 사비왕(沙沸王; 혹은 사이왕沙伊王)은 구수왕(仇首王)이 죽은 뒤에 왕위를 계승했으나 나이가 어려서 정사를 보살필 수가 없었기 때문에 즉시 이를 폐하고 고이왕(古爾王)을 세웠다.  혹은 말하기를, 낙초(樂初) 2년 기미(己未)에 사비왕(沙沸王)이 죽고 고이왕이 왕위에 올랐다고 한다.




반응형

'Who'sWho in Ancient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타발(延陀勃)  (0) 2018.02.23
마려(馬黎)  (0) 2018.02.23
구파해(仇頗解)  (0) 2018.02.23
해루(解婁)  (0) 2018.02.23
주근周勤  (0) 2018.02.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