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백제 무령왕릉 출토 지석과 매지권 판독 재고( 百濟武寧王陵出土誌石と買地券判讀再考)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19. 1. 6.
반응형

백제 무령왕릉 출토 지석과 매지권 판독재고(김영관) .pdf



무령왕릉 발굴. 1971. 7



백제 무령왕릉 출토 지석과 매지권 판독 재고

百濟武寧王陵出土誌石と買地券判讀再考


김영관 忠北大學校 史學科 敎授


出典 : 《韓國古代史探究》 30, 韓國古代史探究學會, 2018, 12. 


【抄錄】

이 논문은 1971년 발굴된 이후 일치된 견해를 내지 못한 부령왕릉 출토 왕과 왕비의 지석과 매지권을 새롭게 판독하고 해석한 결과이다. 그 결과 무령왕 지석의 맨 마지막 글자 한자를 제외하고는 모두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었다. 무령왕 지석의 마지막 글자는 '穴‘, ‘冢’, ‘印’, ‘家’ 등으로 판독해 왔으나, ‘尔’로 판독했다. 무령왕비 지석 중 과거에 ‘大妃’로 판독했던 글자는 ‘太妃'임을 밝혔다. 매지권 중에서 "百濟斯麻" 다음에 오는 글자는 '王'이 아니라 '主'라는 것을 찾아냈다. 아울러 ‘訟' ‘詣' '詴' ‘詢' 등으로 판독한 글자는 '詢’이 분명함을 확인했다. 또한 ‘衆官’ 앞에 오는 글자는 ‘上下'가 아니라 ‘圡下’임을 밝혔다. 이처럼 새롭고 정확한 판독을 한 결과에 따라 해석도 새롭게 할 수 있었다. 또한 무령왕 지석의 “登冠”은 地名으로 보았다.


무령왕 지석의 판독문과 해석은 다음과 같다.


“寧東大將軍百濟斯麻王年六十二歲癸卯年五月丙戌朔七日壬辰崩到乙巳年八月癸酉朔十二日甲申安厝登冠大墓立志如左, 尔”  


"영동대장군 백제 사마왕은 나이가 62세인 계묘년 병술일이 초하루인 5월 7일 임진일에 돌아가셨다. 을사년 계유일이 초하루인 8월 12일 갑신일에 등관에 있는 대묘에 안장하였다. 묘지는 이와 같이 기록한다. 끝" 


무령왕비 지석의 판독문과 해석은 다음과 같다. 


"丙午年十一月百濟國王太妃壽終居喪在酉地已酉年二月癸未朔十二日甲午改塟還大墓立志如左" 


"병오년 11월 백제국왕의 太妃가 돌아가시니 酉地(서쪽)에서 居喪하였다. 기유년 초하루가 계미일인 2월 12일 갑오일에 고쳐 장사지내어 大墓에 돌아가도록 했다. 묘지는 이와 같이 기록한다.“ 

 

매지권의 판독문과 해석은 다음과 같다. 


"錢一万文右一件. 乙巳年八月十二日寧東大將軍百濟斯麻, 主以前件錢詢圡王圡伯土父母圡下衆官二千石, 買申地爲墓故立券爲明, 不從律令." 


錢1만문,

이상 1건 을사년 8월 12일 영동대장군인 백제 사마가 한하여 앞 건의 錢으로 圡王과 圡伯, 土父母, 圡下衆官二千石에게 물어 申地(남서쪽)의 토지를 사서 墓로 삼는다. 그런 까닭으로 문서를 만들어 밝히니 율령을 따르지 않는다. 




무령왕비 墓券




この論文1971發掘された以後一致した見解さなかった武寧王陵出土王王妃誌石買地券たに判讀解釋した結果であるその結果武寧王誌石最後一文字除外してはすべての正確判讀ことができた武寧王誌石最後文字」、「」、「」、「などで判讀してきた、「判讀武寧王妃誌石中過去大妃判讀文字、「太妃であることをらかにした買地券中百濟斯麻"文字ではなくということをつけたまた、「」「」「」「などで判讀した文字分明であることを確認したまた、「衆官文字上下ではなく圡下であることをらかにしたこのようにしく正確判讀をした結果づいて解釋更新することができたまた武寧王誌石登冠地名

 

武寧王誌石判讀文解釋以下りである

 

寧東大將軍百濟斯麻王年齢62癸卯年丙戌日一日である57日壬辰日くなった乙巳年癸酉日一日である812日甲申日登冠大墓安葬墓誌はこのように記錄する最後

 

武寧王妃誌石判讀文解釋以下りである

 

"丙午年十一月百濟國王太妃壽終居喪在酉地已酉年二月癸未朔十二日甲午改塟還大墓立志如左"

 

丙午年11月百濟國王太妃ぬと酉地西居喪己酉年一日癸未日212日甲午日にさ登冠大墓るようにした墓誌はこのように記錄する



買地券判讀文解釋以下りである

 

"錢一万文右一件. 乙巳年八月十二日寧東大將軍百濟斯麻, 主以前件錢詢圡王圡伯土父母圡下衆官二千石, 買申地爲墓故立券爲明, 不從律令."

 

1萬文

以上1. 乙巳年812日寧東大將軍百濟斯麻主管して前件圡王圡伯土父母圡下衆官二千石申地南西土地ってとするそんなわけで文書作成らかにしたら律令わな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