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이젠 귓속까지 파고든 네안데르탈인 연구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11. 13.
반응형

 
Urciuoli 등에 의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한때 늦게 진화한 것으로 생각한 고전적인 네안데르탈인의 내이內耳inner ear가 이미 라일링겐Reilingen과 에링스도르프Ehringsdorf와 같은 중기 홍적세 초기Middle Pleistocene 인류한테 존재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저쪽도 참 희한한 게 오죽 네안데르탈인을 파고 들던가? 이젠 귀속까지 파고든 모양이라, 암튼 저렇게 요지하는 연구성과가 나왔다 하거니와 

살피니 문제의 논문은 아래에 탑재됐다 하거니와 

https://anatomypubs.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ar.70081?af=R
 
다른 건 모르겠고 그 초록만 전재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나는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이는 이 분야 전문가 친절한 해설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혹 이런 데 관심 있는 분 있을 수 있어 무리를 감행한다. 
 
[초록] 
Neandertals are known to possess very distinctive traits in their bony labyrinth morphology, such as an inferiorly positioned posterior canal and a very low number of turns in the cochlea. Hence, the inner ear has been often used to assess the Neandertal status of fragmentary fossils. However, the evolutionary processes leading to this “classic Neandertal” morphology are still debated. Middle Pleistocene earliest Neandertal specimens such as Reilingen and Ehringsdorf are key to resolving this issue; however, their phylogenetic affinities remain contentious. Here, we analyze the bony labyrinth of these two individuals to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the Neandertal clade. 

네안데르탈인은 같은 골질 미로 형태bony labyrinth morphology가 매우 독특한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으니, 예컨대 상대적으로 아래 쪽에 위치하는 후방 관posterior canal이라든가 달팽이관cochlea 회전 수가 매우 적은 현상이 그 증거로 거론됐다. 

따라서 그들의 내이內耳inner ear는 단편적인 화석들의 네안데르탈인 지위를 평가하는 데 자주 사용되곤 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전적 네안데르탈인classic Neandertal" 형식학을 만들어낸 진화 과정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라일링겐과 에링스도르프와 같은 중기 플라이스토세 초기 네안데르탈인 표본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두 표본의 계통학적 유사성은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 두 개체의 골질 미로bony labyrinth를 분석함으로써 네안데르탈인 계통군의 진화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We employed diffeomorphic deformation analysis to study the semicircular canal and vestibule shape, and morphometric variables to analyze the cochlea, comparing them to a sample including Sima de los Huesos humans, Krapina Neandertals, and late Neandertals.

우리는 미분형 변형 분석diffeomorphic deformation analysis을 사용해 반고리관semicircular canal과 전정vestibule의 모양을 연구하고, 형태계측학적 변수morphometric variables를 사용해 달팽이관cochlea을 분석하여, 그것들을 시마 데 로스 우에소스Sima de los Huesos 인류, 크라피나 네안데르탈인Krapina Neandertals, 그리고 후기 네안데르탈인late Neandertals을 포함한 표본과 비교했다. 

Our results reveal that both Reilingen and Ehringsdorf possess almost a fully derived, late Neandertal-like inner ear morphology. This finding challenges a simple anagenetic model of trait accumulation and allows refining the mosaic pattern of inner ear evolution. The advanced morphology of these early specimens, coupled with the unique mosaic of features in the Krapina sample, suggests the existence of a highly variable Middle Pleistocene metapopulation, with the classic Neandertal labyrinthine morphology that emerged early in their evolution, but was fixed only post-Krapina, possibly after a bottleneck. This study underscores the complex, mosaic nature of Neandertal evolution, highlighting a disconnect between the evolutionary trajectories of the external cranium and the inner ear. 

연구 결과, 라일링겐과 에링스도르프 모두 후기 네안데르탈인과 거의 완벽하게 유사한 내이 형태를 지녔음을 보여주었다.

이 발견은 형질 축적에 대한 단순한 유전적 모델에 의문을 제기하고 내이 진화의 모자이크 패턴을 정교화할 수 있게 해 준다.

크라피나 표본의 독특한 특징 모자이크와 결합된 이 초기 표본들의 발달된 형태는 매우 가변적인 중기 플라이스토세 메타개체군의 존재를 시사한다.

이 메타개체군은 진화 초기에 나타났지만, 크라피나 이후에 병목 현상bottleneck 이후, 아마도 그 이후에 고정된 전형적인 네안데르탈인 미로 형태를 지니고 있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네안데르탈인 진화의 복잡하고 모자이크적인 본질을 강조하며, 외두개골과 내이의 진화적 궤적 사이의 단절을 강조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