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닥종이2

닥나무 가마의 추억 이것도 누군가는 제대로 정리를 해야 할 터이고, 아마 이런저런 글이 없지 아니하며, 민속박물관과 문화재연구소 근무하다 퇴직한 김삼기 박사를 중심으로 그리했다고 기억하거니와 내가 보고 겪은 일화 한 토막을 현대사 증언 차원에서 적어둔다. 소백산맥 기슭 산골인 내 고향은 그 자락 해발 680미터 비봉산 혹은 문바우산 아래 낙동강 지류가 만든 계곡을 따라 자리하거니와, 그 기슭 바로 아래에는 유서는 깊으나 사세가 몰락할 대로 몰락한 직지사 말사 비구니 사찰 봉곡사가 있고 그 주변으로 아랫새재 웃새재라는 사하촌이 있다. 새재라 했으므로 무주 쪽으로 넘어가는 고갯길이 있지만 이 고갯길을 나는 통과해 본 적 없다. 우리 동네는 이에서 한참을 내려오니, 다시 대략 2~3킬로미터를 지나 이 조룡천이라는 시내는 비교적 .. 2024. 7. 11.
줄줄이 유물 이야기-비오는 날 패션의 완성, 유삼 유삼油衫을 아시나요? 유의油衣라고도합니다. 비나 눈을 막기위해 옷 위에 덧입는 기름에 결은 옷입니다. 쉽게 말하면 기름으로 코팅한 비옷입니다. 저 유삼을 어떻게 입었을지 상상이 가시지요? step 1. 유삼을 촤락 펼친다. step 2. 위쪽의 좁은 부분을 어깨에 두른다. step 3. 끈을 목이 졸리지 않을 만큼 동여맨다. 유삼의 정의 만큼이나 사용법도 간단합니다. 그런데, 유삼을 찬찬히 뜯어보면 절대 간단하고 녹록하지 않은 아이란걸 알 수 있습니다. 유삼 20세기 256.0x134.0(가로x세로) 장지 아래쪽으로 갈수록 색이 어두워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유삼을 걸어두어 사용하였기에 기름이 아래쪽으로 내려왔기 때문이다. 수많은 주름이 보이시나요? 자글자글 주름들 사이로 기름때와 세월의 때가 같이 끼.. 2019. 9.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