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삼국시대5

용인의 역사와 삼국시대 문화유적 학술대회 용인의 역사와 삼국시대 문화유적 학술대회 - 삼국시대 용인 사람들의 삶과 죽음 - 용인은 고대부터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이 서로 차지하기 위해 각축을 벌인 교통의 요지였습니다. 특히 경안천과 탄천 주변 충적지 일대는 교통이 편리하며 인구가 밀집되기 위한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어 군사․교통․상업의 중심지로 일찍부터 삼국시대 유적이 다수 발굴되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그간 발굴된 용인의 삼국시대 문화유적이 갖는 학술적․역사적 가치를 검토하기 위해 이라는 주제로 학술 논의를 하는 뜻깊은 자리입니다. 향후 용인의 삼국시대 유적의 가치 보존과 활용을 위한 밑거름을 마련하는 자리이오니, 바쁘시겠지만 부디 참석하시어 자리를 빛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일 시 : 2021. 6. 4.(금) 오후 1시 *.. 2021. 5. 20.
[발굴조사보고서] 동해 이로동 유적 제목 : 동해 이로동 유적 - 동해 이로동(593-1번지) 발굴조사 보고서 발행 : 동해시, 강원문화재연구소, 2020년 내용 : 동해시 이로동 지석묘에 대한 정비사업 결과 청동기시대 지석묘가 삼국시대 횡구식석실분으로 확인되었다. 이 보고서는 지난 2017년 10월 30일부터 2018년 5월 24일까지 실시된 강원도 동해시 이로동(593-1번지) 발굴조사에 대한 결과보고이다. 이로동 지석묘는 1975년에 백홍기 교수(現 강릉원주대학교)에 의해 조사된 고인돌로 남방식 중 적석이 있는 할석형(割石形) 고인돌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로동 지석묘가 위치한 지역에서 지난 30여년 간 사유재산권 침해로 인한 지속적인 민원 발생과 함께 지석묘가 노출된 상태로 놓여 있어 훼손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2020. 5. 22.
용인 할미산성에서 시원적 형태의 방형수구 확인 용인 할미산성서 돌성벽 관통한 삼국시대 수로 확인 용인시(시장 백군기)와 (재)한국문화유산연구원(원장 현남주)에서 지난 9월부터 조사하고 있는 용인 할미산성의 6차 발굴조사 결과, 시원적 형태의 성벽 수구(水口)가 확인되었다. 이번 6차 발굴조사는 할미산성 내부 배수체계 확인을 위해 지난 2004년 시굴조사 과정에서 수구가 확인된 성벽을 중심으로 성벽 구간 70㎡와 성벽 내부 400㎡에 대한 정밀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구는 입수구와 출수구가 모두 성벽의 중간을 통과하도록 만들어진 ‘성벽 통과식’의 형태를 보인다. 입수구 너비는 32㎝, 높이 23㎝로 입면 형태는 방형을 이루며 판상형 석재를 바닥면에 계단식으로 깔아 약 4m 가량의 배수로를 조성하여 성벽 바깥으로 물이 흐르도록 하였다. 성벽 바깥의 수구.. 2019. 12. 18.
[발굴조사보고서] 서울, 경기 불암산성 시굴조사 보고서 《서울·경기 불암산성 시굴조사 보고서》 서울특별시 노원구·경기도 남양주시·국방문화재연구원, 2019 불암산성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와 경기도 남양주시에서 추진 중인 정비, 복원사업에 따라 시굴조사되었다. 유적은 서울시 기념물 제32호·경기도기념물 제221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시굴조사 이전에 간행된 조사자료는 다음과 같다. 서울특별시 노원구·경기도 남양주시·국방문화재연구원, 2016, 불암산성 지표조사, 표본조사 보고서 서울특별시 노원구·경기도 남양주시·국방문화재연구원, 2016, 불암산성 종합정비계획 불암산성에 대한 시굴조사 결과 삼국~조선시대까지 전 시기 유물이 출토되었다. 불암산성은 삼국시대 축조된 테뫼식 석축산성으로 전체 둘레는 약 230m, 남북 65m, 동서 70m 길이의 소규모 산성으로 .. 2019. 10. 12.
[발굴조사보고서] 연천 무등리 1보루 정밀 발굴조사보고서 《연천 무등리 1보루 정밀 발굴조사보고서漣川無等里第一堡壘精密發掘調査報告書》 연천군·서울대학교박물관, 2019 유적은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무등리 산 41번지 임 일대 작은 봉우리인 '장대봉' 정상부에 위치한다. 동쪽에 임진강을 끼고 북쪽과 남쪽에 무등리 2보루와 1보루가 나란히 위치하는데, 두 보루 모두 내부에서 임진강 건너편 움직임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발굴조사 결과 확인된 유구는 석축 성벽과 기둥 구덩이로 성벽을 축조하며 나무기둥을 이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유물은 고구려 토기와 철기, 기와 등이다. 유적 연대는 550~600년에 집중된 모습으로 석축성벽은 6세기 후반에 축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정된 조사결과로 볼 때, 무등리 1보루는 관청 등 건물이 위치했고, 무등리 2보루는 곡물 저.. 2019. 9.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