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뢰3

믿음과 배려 권위dignity는 신비神秘와 미지未知를 자양분으로 삼는다. 내가 저 친구한테 군림하려면 저 친구는 나를 잘 몰라야 한다. 또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도 저 친구는 몰라야 한다. 반면 군주는 자기가 부리는 사람의 구석구석을 훤히 꿰뚤어야 한다. 이것이 고대 중국의 정치학 흐름 중 하나인 황로학黃老學을 관통하는 군주론의 핵심이다. 노자老子를 핵심으로 삼는 그 철학이다. 황로학은 이런 식으로 군주가 신하들을 통제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래야 신하들은 군주를 향해 맹목적인 충성을 바치고 충성 경쟁을 벌인다는 것이다. 나는 이런 통치술을 대체로 좋다고 생각했다. 내가 대통령 시절 노무현에게 비판적인 눈으로 바라본 이유 중 하나가 이것이었다. 아다시피 그는 너무 자주, 그리고 너무나 강렬하게 자기 의지와 생각을 .. 2019. 7. 21.
인도 고고학 조사 이야기 (7): 믿을 만한 현지 연구자 신동훈 (서울대 체질인류학 및 고병리연구실) 이야기의 속도도 조절할 겸 짧은 스핀오프를 하나 써보기로 한다. 인도 연구 8년째에 접어든 지금. 인도에서 성공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가장 중요한가 하는 질문을 받는다면 나는 이렇게 답하겠다. "첫째도 믿을 만한 현지 연구자, 둘째도 믿을 만한 현지 연구자, 세째도 믿을 만한 현지 연구자다."인도에서 작업하다 보면 우리 상식으로 이해가 어려운 일이 정말 많이 벌어지는데 이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인도 측 카운터파트의 역량이 정말 중요하다는 점을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이다. 정상적으로 도저히 문제가 될것 같지 않은 일이 인도에서는 문제가 되기도 한다. 도대체 왜 저러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 상황도 자주 발생한다. 우리나라에서 유수 박물관도 인도 측과.. 2018. 12. 27.
쓰임이 다하면 버려지는 법 찾아 보니 고려가요 중에서도 〈동동動動〉이 출전이다. 1년 한 해 농사 과정을 달마다 나누어 그 풍광을 노래한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형식을 빌리되, 시종일관해서는 남자한테 버림 받은 여인네 궁색한 처지를 노래한 패로디 시문학으로, 그 6월 조가 다음이라. 19六月(유월)ㅅ 보로매 아으 별해 룐 빗 다호라.20도라보실 니믈 젹곰 좃니노이다.21아으 動動다리. 이에서 말한 6월 세시풍속은 그달 보름에 해당하는 유두(流頭)라, 이날은 각종 산해진미 차려 산간 폭포나 동쪽으로 흐르는 시내로 가서는 머리를 감고 액(厄)을 씻어 버리고는 놀이를 한판 벌이곤 했다. 한데 이 한자 표기가 묘해서 글자 그대로는 대가리를 물에다가 흘려버린다는 뜻이어니와, 경상도 지방에서는 이를 물맞이라 했다고 하니, 이에서 유두는 결.. 2018. 10.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