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이사3

이사가 무너뜨린 책의 층위 책이 좀 있는 사람은 누구나 그렇듯이 이사가 당혹스럽기만 하다. 그 옮김 자체는 차치하고 층위가 무너지기 때문이다. 대강 주제별로 꽂은 층위야 말할 것도 없고 전질이 흩어져 뒤죽박죽되어 이빨 빠진 강냉이가 되기 일쑤라 그 빠진 이빨을 찾는다고 온서재를 뒤진다. 나는 서재가 총 3층이라 이 고역 매번 겪을 때마다 이내 포기해버리고는 이 전집 혹은 책을 지녔을 만한 사람들을 찾아 요새는 해당 페이지 카톡으로 찍어보내달라 한다. 책이 수만권이면 뭘 하겠는가? 뒤죽박죽인 것을.. 이 꼴이 싫어 책 한권 완독할 때마다, 내가 후세에 필요할 날을 대비해 차기箚記를 만들곤 하지만, 이것도 소진하는 힘이 엄청나 이내 포기해버렸다. (2016. 10. 8) 2020. 11. 11.
믿음과 배려 권위dignity는 신비神秘와 미지未知를 자양분으로 삼는다. 내가 저 친구한테 군림하려면 저 친구는 나를 잘 몰라야 한다. 또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도 저 친구는 몰라야 한다. 반면 군주는 자기가 부리는 사람의 구석구석을 훤히 꿰뚤어야 한다. 이것이 고대 중국의 정치학 흐름 중 하나인 황로학黃老學을 관통하는 군주론의 핵심이다. 노자老子를 핵심으로 삼는 그 철학이다. 황로학은 이런 식으로 군주가 신하들을 통제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래야 신하들은 군주를 향해 맹목적인 충성을 바치고 충성 경쟁을 벌인다는 것이다. 나는 이런 통치술을 대체로 좋다고 생각했다. 내가 대통령 시절 노무현에게 비판적인 눈으로 바라본 이유 중 하나가 이것이었다. 아다시피 그는 너무 자주, 그리고 너무나 강렬하게 자기 의지와 생각을 .. 2019. 7. 21.
실혜(實兮) 신라 진평왕 때 관리로 대사 순덕의 아들이다. 성격이 강직해 아첨하는 동료의 모함으로 영림이라는 지방으로 밀려났다. 스스로를 굴원에 비겼다. 삼국사기 권 제48(열전 제8) 실혜 열전 : 실혜(實兮)는 대사(大舍) 순덕(純德)의 아들이다. 성격이 강직해 의가 아닌 것으로는 굽힐 수 없었다. 진평왕 때 상사인(上舍人)이 되었는데, 그때 하사인(下舍人) 진제(珍堤)는 그 사람됨이 아첨을 잘해 왕의 총애를 받았다. 비록 실혜와 동료였으나 일을 하면서 서로 옳고 그름을 따질 때면 실혜는 바름을 지켜 구차스럽지 않았다. 진제가 질투하고 원한을 품어 왕에게 여러 번 참소했다. “실혜는 지혜가 없고 담력만 있어 기뻐하고 성냄이 급하며 비록 대왕의 말이라도 그 뜻에 안 맞으면 분함을 누르지 못하니 만약 이를 벌주어 다.. 2018. 3.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