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26

조선 막사발은 어디에서 왔는가 흔히 조선 막사발을 두고 무위 무념의 소산, 인위가 극소화된 자연적 미의 소산 등등으로 찬상하는 경우를 보는데, 무위 무념 자연적미, 인공의 극소화 이런 것이 조선중기 한국사에서 나올 수 있는 사상이 맞기는 맞는가? 임진왜란을 전후한 시기에 우리나라 사상의 어느 구석에 무위 무념 자연, 인공미의 극소화 같은 흐름이 있었다는 건가? 이러한 흐름은 유교적 흐름이라기 보다는 외려 도교나 불교적 사상의 영향에 더 가깝다고 보는데 알다시피 조선은 여말선초에 불교를 이미 작살을 내놔서 이런 사상이 똬리를 틀고 나올 만한 상황이 아니었다고 본다. 막사발이 나오던 시기. 흔히 이야기 하는 바 무위 무념 자연, 인공의 극소화 등등 막사발과 관련된 아니. 그 그릇과 직접 관련이 없더라도 좋다. 그 그릇의 제작과 직접 관련.. 2024. 1. 19.
당신은 확신할 수 있는가 이 막사발의 미가 16세기 후반 조선의 미에서 나왔다는 것을-. 필자는 이 막사발이 조선의 미가 아니라는 말을 하려고 이 글을 쓰고 있는 것이 아니다. 막사발이 한국의 자랑거리가 됐건 뭐건 이걸 적어도 한국에서 찬상하기 위해서는 일본의 국보라는 것이 기준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한국사 전체 흐름 안에 막사발을 안착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특히 당시의 시대적 흐름 어떤 부분에서 이런 그릇이 나올 수 있는지 이걸 규명해서 이 그릇 배경 설명으로 삼아야 하지 않겠나. 이런 주장이 만족스럽게 나오지 않는 한, 물론 필자가 이런 주장한다해서 뭐 하나 달라질 것은 없겠지만, 필자는 이를 한국미술사의 일부로 인정할 수 없다. 2024. 1. 19.
조선의 사발과 센노 리큐千利休 조선 사발이 일본에서 톱스타가 된 데는 센노 리큐 [千利休, 1522~1591)의 와비차侘び茶 사상이 아니면 설명이 안 된다. 무슨 말인고 하면, 스토리의 완결성 측면에서 본다면, 조선사발은 한국사에서 혜성처럼 갑자기 나타났다 갑자기 사라진 반면 같은 사발을 일본에 가져다 두면 센노리큐의 사상과 연결되어 일본의 후기 도자사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는 뜻이다. 이렇게 보면 조선사발은 한국의 미인가 일본의 미인가. 조선사발은 한국미술에서 다루게 되면 어째서 앞뒤 제대로 연결된 스토리가 없는가. 왜 그런 그릇이 나온 건지 설명할 수 있는 문헌 자료 하나 없는가. 하지만 일본의 경우에는 조선사발을 선호한 사상적 배경이 스토리를 가지고 남아 있다. 이렇다면, 조선사발은 한국미술사인가, 일본미술사인가. 필자가 무식해서.. 2024. 1. 19.
대중이 만든 사무라이 정신 일본을 대표하는 상징물 중의 하나가 사무라이와 그 정신이 아닐까. 그래서 스타워즈에도 사무라이 장수를 벤치마킹한 다스베이더가 뛰어 다니고, 동경국립박물관에는 전시실 좋은 구석에 니뽄도가 줄줄이 전시되어 있다. 그런데-. 우리가 아는 사무라이 이미지는 사실 많은 부분이 에도시대에 창작되었다. 에도시대 이전, 가마쿠라, 무로마치, 그리고 전국시대 무장은 우리가 아는 사무라이들과는 많은 면에서 차이가 있다. 헤이케 모노가타리와 태평기, 그리고 전국시대 군담소설류를 보면 그 차이가 많이 나타나는데 우선 겐페이 합전시대나 태평기 시대 무사들은 어느 나라나 있을 것 같은 무장으로 용감하고 신불의 가호를 비는 무장이지만, 일본 무사 특유의 분위기가 그다지 두드러지지 않는다. 일본 사무라이 특성의 많은 부분은 오히려 .. 2024. 1. 19.
에도시대 사무라이의 성誠과 경敬 일본 막말에는 신센구미[新選組, 신선조]라는 무사집단이 있다. 이들의 상징으로 나오는 것 중에 성이라는 글자가 쓰인 깃발이 있다. 일본 우에노 공원에 가면 왠 뚱뚱한 아저씨가 강아지를 한 마리 데리고 있는 동상이 있는데, 사이고 다카모리西郷隆盛다. 일본 메이지유신의 삼걸이라 불리는 인물인데 이 동상을 보면 그 동상에는 위와 같은 사이고 다카모리 글씨가 써 있다. "경천애인敬天愛人"이다. 일본의 사무라이, 부시武士들은 에도시대를 거치면서 성리학의 윤리철학에 영향을 크게 받게 되었다. 위에 예를 든 "성"과 "경"은 모두 성리학 심성론의 중심적 개념이다. 인격의 수련에 있어 중심에 놓아야하는 행동 규범이고, 또 한시라도 살아가는 데 몸에서 떼어 놓아서는 안되는 신조이기도 하다. "성"과 "경"은 성리학이 없.. 2024. 1. 18.
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의 大一大万大吉 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1560~1600)라는 사람이 있다. 히데요시의 심복으로 그가 죽은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대항하여 세키가하라 싸움에서 서편의 주동자로 싸우다 패하여 멸망한 사람인데 이 사람 가문이 위와 같다. 무늬로 만들기 마련인 일본의 가문 문장과 달리 이 사람은 한자로 가문을 만들어 썼다는데, 大一大万大吉로 그 풀이는 all for one, one for all 하면 크게 길할 것이다. 라는 뜻이라는 게 일반적이다. 한문 문장의 수준이 당시 전국시대 무장의 한자 인식 수준을 이야기 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선 중국 바이두에서는 이렇게 뜻으로 풀어놨다. 另一种说法是,“大一大万大吉”的六字纹的含义是:“一”读作“かつ”,与“胜”字谐音;“万”(よろず)代表着万年的繁荣;而“吉”是吉利的文字。在这三个字前.. 2024. 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