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의 大一大万大吉

by 초야잠필 2024. 1. 18.
반응형


이시다 미쓰나리石田三成(1560~1600)라는 사람이 있다. 

히데요시의 심복으로 그가 죽은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대항하여 
세키가하라 싸움에서 서편의 주동자로 싸우다 패하여 멸망한 사람인데 

이 사람 가문이 위와 같다. 

무늬로 만들기 마련인 일본의 가문 문장과 달리 이 사람은 한자로 가문을 만들어 썼다는데, 

大一大万大吉로 

그 풀이는 all for one, one for all 하면 크게 길할 것이다. 라는 뜻이라는 게 일반적이다. 

한문 문장의 수준이 당시 전국시대 무장의 한자 인식 수준을 이야기 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선 중국 바이두에서는 이렇게 뜻으로 풀어놨다. 

另一种说法是,“大一大万大吉”的六字纹的含义是:“一”读作“かつ”,与“胜”字谐音;“万”(よろず)代表着万年的繁荣;而“吉”是吉利的文字。在这三个字前冠以“大”字,所以这个六字纹其实代表的是三成祈求幸运的一种愿望。

물론 이런 뜻은 아니다. 

이런 심오한 뜻을 달아 놓은 게 아니라, 

저 여섯자체서 앞에 대짜 두개는 동사로 쓰인 것이고, 

마지막 대짜는 부사이다. 

그러니까 앞에 두 개는 한사람을 크게 보고, 전체를 크게 본다의 뜻으로 쓴 동사이고, 

마지막 대는 길하다를 수식한 부사라는 말이다. 

전국시대는 쌈질 하느라 폼나는 한자운용을 할 시간도 여유도 없었을 것이다. 

문과 무의 균형잡힌 무사라는건 사람들 머리속에나 존재하는 것으로 

일본 애니에서나 볼 수 있는 것이지 

전국시대 같이 내일을 알 수 없는 쌈질을 장기간 해야 하는 상황이면
제대로 된 한자운용은 무인들 사이에서는 기대하기 어렵다. 

실제로 일본의 무가가 한학에 대한 조예가 깊어져 

공가의 교양이 부럽지 않게 된 것은 에도시대나 되어서의 일이다. 

저 깃발을 이시다 미쓰나리가 쓰고 있던 던 당시의 조선의 선비가 저걸 봤으면 

처음에는 뭔소리냐고 옆에 물어봤을 것이고

뜻을 듣고 나면 아마 실소했을 것이다. 

저런 한자운용을 일본의 근대이전의 상황으로 일반화하기는 어려운데 

전국시대 저런 면이 있었던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