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26 이해하기 어려운 한국사 교육 최근 우연찮은 기회에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보게 되었는데 전체 3/4 정도가 근현대사에 할당되어 있었고 소위 말하는 현대사가 전체 절반은 되어 보였다. 고대에서 중세사가 1/4밖에 안 되는 셈인데, 왜 이럴까 이것 저것 찾아보니, 고대사는 중학교 때까지 배우고 고등학교부터 분량을 줄인다는 것이다. 내가 과문한 탓인지 모르겠는데, 역사를 이렇게 가르치는 나라는 우리나라밖에 없지 싶다. 학문적인 객관성과 깊이가 예전 교과서 보다도 못해 보였다. 2023. 6. 16. 한용운의 님의 침묵은 애국시가 맞는가 전술한 문학의 정치성, 명분, 도덕성에 대한 집착은 기존의 감성적 시에 대한 애국시 덧칠로 발전하였으니 한용운의 님의 침묵은 애국시가 맞는가? 설사 그가 그렇게 직접 자신의 입으로 풀었다 하더라도 그 시를 쓸때 순간의 심리는 시인 자신도 모를 것이 시 아니겠는가. 시에, 소설에 뭔가 이데올로기가 들어가고 정치가 들어가고 명분이, 도덕이 들어가야 한다는 강박감은 한국사에서 최소한 천년간은 문인 심리를 짓눌렀으니 아직도 그 해독이 남아서 무릇 문학이란 참된 정파성과 이데올로기, 민족과 민주주의 없으면 문학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글을 짓고 있는 경우도 많다. 동문선을 보라. 조선시대 그 수많은 문집을 보라. 시 한 편 기억나는 게 있는가? 이를 단지 가르치지 않아서 라고 생각한다면 왜 정태춘 옹의 노래.. 2023. 6. 16. 조선시대 문학은 프로문학, KAPF다 문학은 명분에 봉사해야 한다는 점에서 볼 때 조선시대 문학은 일제시대 프로문학, 그 시대의 문학가는 KAPF 맹원이며 그런 의미에서 그 시대의 고문운동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쯤에 해당한다. ***Editor's Note *** 뭐 우리 문학이야 亦君恩(역군은)이샷다 로 끝난다. 심지어 지국총지국총 어사와 하다가도 결론은 역군은이라 임금님 은혜 타령하다 볼짱 다 봤다. 2023. 6. 16. 시인의 마을 정태춘 선생은 시인의 마을, 촛불, 북한강에서 등과 같은 주옥과 같은 명곡을 남겼다. 그리고 필자가 알기로 어느 순간, 이 전까지의 곡은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감상적 곡으로 보다 현실 참여의 곡을 쓰겠다고 선언하고 이후 작품활동을 한 것으로 안다. 나는 이러한 예술가, 문학가의 현실참여 의식은 예술과 문학의 성장에 방해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따지고 보면 한국 문학에 중국의 당시, 일본의 와카와 같이 감성을 건드리는 절묘한 작품이 거의 남지 않은 것도 현실참여 의식 때문이다. 현실참여 의식이 상상을 가로막고 감성을 통제하며 이성이 문학을 농단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고려와 조선의 그 수많은 문인이 어마어마한 작품을 남겼지만, 그 안에서 우리 감성을 건드리는 작품은 몇 안되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정태춘 선.. 2023. 6. 16. 필자가 일제시대에 관심을 갖는 이유 필자는 연구를 시작한 이래 옛 사람들의 건강과 질병의 역사적 변천을 확인하는 작업을 해왔는데 이 작업은 평생의 주제가 될 것이다. 이 블로그에 요즘 다수의 일제시대 글을 올리는 이유는 필자가 관심을 갖는 질병과 건강의 역사에 대한 분석에서 이 시대를 빼 놓을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대에 대한 전반적 검토와 정보를 모으고 있는 중이다. 다른 분야의 역사연구와 마찬가지로 질병과 건강에 대한 연구에서도 조선시대-일제시대-해방 후 한국을 보는 시각은 한 번쯤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다. 일제시대의 교육제도에 대한 검토는 그 첫발이 되는 셈인데, 이 작업에서 필자가 그 시대에 대해 알게 된 바가 상당히 많다. 이 시대는 지금까지와 같은 항일사학으로도, 식민지근대화론으로도 정확히 볼 수 없던 부분.. 2023. 6. 14. 조선인 지원병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조선인 지원병은 학병과 다르다. 학병은 전문학교 재학 이상의 사람들로 배울 만큼 배운, 조선땅에서는 당시 요즘으로 치면 흔하디 흔한 박사학위 소지자 보다 더 희귀한 사람들이었다. 당시 조선땅에 전문학교 이상 고학력자는 6000-7000명 정도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사람들이 바로 학병 대상자들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은 고학력 인텔리들이었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장교 재원으로 끌고간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 양반들 중 지원자가 있다 하여 친일 논쟁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내 생각에는 이 사람들은 장교 임관시켜 준다고 그 기회 잡겠다고 군대를 지원해 들어갈 그런 위치가 아니었다. 당시 전문학교 이상이란 정말 희귀하고 사회생활을 해도 소위 상당의 직급은 받아 생활 가능한 사람들이었기 때문에 학병은 거의 전.. 2023. 6. 12. 이전 1 ··· 213 214 215 216 217 218 219 ··· 33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