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026

심순애를 걷어찬 이수일은 고등중학생 고등학교라는 것은 일제시대에 일본에만 있었고 조선에는 없었다는 이야기를 여러 번 했다. 조선에는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교육기관이 경성제대 예과였고, 원래 구제학제에서는 대학예과와 고등학교가 동급으로 대학 진학시 최우선권을 받고 여석이 있을 경우 봐 가면서 전문학교를 고등학교 학력인정으로 받는 것이 통례였다. 대학 선수과에 입학하는 사람들이 바로 이런 사람들이었다. 조선인들은 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면 대개 이런 방식으로 대학에 진학했다. 일본에서는 고등학교라고 하면, 치열한 경쟁을 뚫고 입학했기 때문에 (해방이후 대학입시가 이에 해당한다) 고등학교, 혹은 대학예과 재학생에게 대학입학은 전혀 심각한 문제가 아니었다.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대학 예과생은 본과로 거의 그대로 들어갔으며 고등학교 졸업.. 2023. 6. 19.
이른바 식민지의료, 일제시대 연구 무엇이 문제인가? 현행 일제시대 연구의 구조에 대해 조금 써보겠다. 지금까지 일제시대 연구는 일단 결론을 내고 시작한다. 일제시대는 무조건 문제다. 조선은 무조건 선이다 라고. 이렇게 설정하고 그러면 왜 문제인가를 바닥부터 규명하면 좋은데 그건 또 많이 미흡하다. 이러다 보니 욕으로 시작해서 욕으로 끝나는 논문이 나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억지도 나오게 된다. 예를 들어보자. 일제시대 의료를 어떻게 볼 것인가. 이 시대 의료를 "식민지의료"라고 정의하고 서술하는 경우를 본다. 필자도 일제시대 의료가 정상적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일제시대 교육이 정상이 아니었듯이. 그런데 문제는 이 "식민지의료"가 왜 "식민지의료"인지 정확히 규명된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이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이 전통의료, 국치 때까지 주류를 차지하.. 2023. 6. 18.
일제시대의 지식인: 스핀오프 (1): 가와바타 야스나리 이제 일제시대의 교육제도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하게 되었으니 노벨상 수상자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かわばた やすなり, 1899~1972)의 프로필을 보자. 三島郡豊川尋常高等小学校(1906-1912) -- 茨木中学校 (1912-1917) -- 第一高等学校文科第一部乙類 (1917-1920) -- 東京帝国大学文学部 (1920-1924) 아주 심플하다.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필자가 리뷰한 조선인들보다 시기가 약간 빨리 교육받은 사람인데도 소학교 (6년) - 중학교 (5년) - 고등학교 (3년) - 제국대학 (4년)의 기간이 잘 맞는 시계처럼 이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아마도 조선의 송몽규 같은 이가 일본에서 태어났다면 이런 프로필을 갖게 되었을 것이다.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그는 연전을 거쳐 쿄토제대.. 2023. 6. 18.
일제시대의 지식인: [32] 유치진 극작가 유치진 선생의 프로필이다. 통영공립보통학교 (1914-1918)--- 도쿄 토요야마(豊山)중학교에 편입 (1921-1925)--- 릿쿄대 예과 (1926-1927) ---- 릿쿄대 영문과 (1927-1931) 프로필을 보면, 선생의 보통학교가 4년인것은 이때까지도 조선의 보통학교가 4년제였기 때문이다. 조선의 보통학교가 6년제가 되는 것은 1922년 부터이다. 중학교때 이미 일본 유학을 했는데 당시로서는 드문 프로필이다. 선생의 집안이 여유가 있었다는 의미이기도 할 것 같다. 중학은 4년만에 졸업했는데 이 당시 중학은 5년제였다. 단, 학생이 우수한 경우 4년만에 졸업이 가능하기도 했는데, 이 부분은 확인이 필요할 것 같다. 릿쿄대 예과를 1년 다닌것으로 되어 있는데 중학을 졸업했으니 고등학교 과.. 2023. 6. 18.
고려의 교육열을 증언하는 고려도경의 구절들 백성[民庶] 신(臣)이 듣기에, 고려는 영토[地封]가 넓지 않으나 백성은 매우 많다. 사민(四民)의 업(業) 중에 선비[儒者]를 귀하게 여기므로, 고려에서는 글을 알지 못하는 것을 부끄럽게 여긴다. 산림은 매우 많고 땅은 평탄한 데가 적기 때문에, 경작하는 농민은 장인[工技]에 미치지 못한다. 주군(州郡)의 토산물[土産]은 모두 관아[公上]에 들어가므로, 상인[商賈]들은 멀리 돌아다니지 않는다. 다만 대낮에 시장[都市]에 가서 각각 자기에게 있는 것으로써 없는 것을 서로 바꾸는 정도에 만족한다. 그러나 고려 사람들은 은혜를 베푸는 일이 적고 여색[色]을 좋아하며, 쉽게 사랑하고[泛愛] 재물을 중히 여긴다. 남녀간의 혼인에서도도 가볍게 합치고 쉽게 헤어져註 001 전례(典禮)를 본받지 않으니 참으로 웃을 .. 2023. 6. 18.
못 배운 한에 대하여 한국은 과거제가 천년을 간 나라다. 이 부분이 갖는 의미를 간과하기 쉬운데, 고려사절요만 봐도, 고려시대부터 이미 식년시는 정례화해 있었다. 3년에 한번씩 고려시대에는 34명 (조선시대와 달리 33명이 아니다) 꼬박 꼬박 급제자가 나왔다. 이것은 대단한 것이다. 3년에 한번씩 34명씩 뽑아 올려도 3년 후에 다시 뽑아 올릴 인재풀이 있다는 소리니까. 고려도경을 봐도 고려시대는 과거제에 기반한 사대부 사회로 이러한 전통은 조선이 망할 때까지 갔다. 일제시대, 식민지조선이 다른 식민지와 달랐던 점은 배워야 한다는 점을 식민지 조선인에게 이야기할 필요가 없었다는 것이다. 공부하면 출세한다는 것을 조선인들은 다 알았다. 돈이 없고 학교가 없어 못 갔을 뿐이다. 돈이 없어 학교를 못갔으니 한이 생길 수밖에 없다... 2023. 6.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