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런저런

《自述》6 대한국사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18. 2. 26.
반응형
리선근 대한국사

 
입대하기 직전이었으니 87년 9월 무렵이었을 것이다. 당시 나는 부천시청 인근 다세대 주택 막내 누나 집에 빌붙어 살았다.

조카딸이 이 무렵 이곳에서 태어났을 것이다. 이곳에서 전철이나 588 버스로 신촌을 통학했다.

번호도 요상한 588번 버스노선은 이 무렵에 생겼다. 이 버스가 부천을 관통해 강서구를 지나 신촌 Y대 앞을 오갔으니, 이 버스는 돌이켜보면 나를 위해 생겨난 듯하다.  
 
지금의 부천시청이 이때 자리인지는 모르겠다. 여하튼 87년 무렵 소재지는 원미동 쪽이었다. 원미 3동이 아니었나 싶은데 기억이 확실치 않다.

당시는 중동 신도시가 개발되기 전이고 이 일대는 온통 복숭아밭이었다. 부천을 복사골이라 하지 않는가?  
 
그 9월 어느 날 나는 신촌이 아니라 부천에 있는데 김천 어머니가 전화를 했다. 다급한 목소리. 무슨 일 생긴 거라 직감했더니 역시나 초대박 사건이었다. 兄이 죽었단다. 이와 관련한 사연은 나중에 혹시 말할 기회가 있을지 모르겠다.  
 
나와는 배가 다른 형은 내 기억에는 아버지 도와 농사일하다가 17살인가에 집을 나갔다. 이른바 야반도주를 한 셈인데, 이 무렵에 젊은이들의 이농離農이 빈발했거니와, 그 대부분은 부모의 동의가 아니라, 야반도주가 보통이었다. 야음을 틈타 집을 나서 산길을 헤치고 도시로 도망가는 패턴이었다.  
 
그 패턴을 보면 대체로 먼저 야반도주해 구미나 대구, 혹은 울산 같은 데서 정착한 다음에 불러내는 것이었다. 통신은 주로 편지였다. 한데 이 편지가 대체로 부모한테 걸리기 마련이지만, 우리 동네 부모는 99%가 까막눈이라 아들딸이 읽어주기 전에는 그 내용을 알 리 만무하다.  
 
아마도 형도 그런 방식으로 도망을 쳤을 것이다. 그런 형이 언제인지, 내 생각으로는 내가 초등학교 아니면, 늦어도 중학교 재학 시절 이전에 고향에 나타난 적이 있다.

배다른 형제로는 이 형과 그 위의 누나가 있지만, 이들은 이미 오래전에 고향을 떠난 지라, 나는 아주 어릴 적 형과 잠깐 보낸 일을 제외하고는 아버지 어머니와 누나 둘, 그리고 남동생 한 명과 초가에 살았다.  
 
이 형이 이 무렵에 고향에 나타나 큰누나한테 던져준 것이 바로 사진(생략)에서 보는 이 책이다. 이 사진은 인터넷 검색에서 걸린 것이며, 저 시리즈 전질이 형이 갖고 온 것이 저것은 아니다.

이 전집이 온 동네를 통틀어 교과서와 참고서 말곤 책이라곤 눈 씻고 찾아보기 힘든 우리 집에 있었던 것이다. 
 
그 잦은 이사에서도 나는 이 전집만큼은 정리하지 않고 반드시 싸서 들고 다녔다. 그만큼 이 책에는 내 어린 시절 손 떼가 묻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어이 이 전집이 90년대 중반 내가 은평구 신사동 반지하에 살 적에 대부분 분실되고 말았으니, 고물장수가 무단으로 반출해 나가고 그나마 연표를 포함한 12권 전질 중에 겨우 연표 하나만 달랑 남은 것이다.  
 
이 연표도 보면 이제는 곳곳에 쥐가 파먹은 흔적이 농후하거니와, 군데군데 쥐똥과 쥐오줌의 흔적이 배어있다. 이 전집을 형이 어떤 경로로 입수했는지는 모른다.

그 자신 학력이라고는 중학교 중퇴가 전부인 그가 멀 알아서 사와겠는가? 그의 형편을 고려할 때 구입이라기보다는 어디에서 얻어다가 던져준 것이리라.  
 
이 《대한국사》 서지사항을 보면 1976년 신태양사라는 출판사 간이다. 선사시대 이래 최근세에 이르기까지 그 방대한 한국역사를 총괄했다.

저자는 이선근(李瑄根.1905~1983). 그 스스로는 ‘리선근’이라 썼으며, 해방 이래 죽을 때까지 전형적인 제도권 역사학자요 사회학자로서 그 영향력이 막강했다.

해방 직후에는 서울대 정치학과 교수를 하다가 나중에는 동국대 총장을 역임하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출범과 동시에 그 초대 원장으로 재임했다.

정신교육, 국사교육의 원조이자 핵심으로 최근 들어서는 이른바 친일행각에 대한 논란이 많고, 실제로 친일인사로 분류되어 그 사전에도 오른 것으로 안다.  
 
《대한국사》라는 이 방대한 원고를 나는 이선근이 모두 썼다고 보지는 않는다. 그의 이름을 내걸었을 뿐, 아마도 그의 제자들이 초고를 썼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럴 가능성도 아주 없지는 않으니 이선근은 당대를 대표하는 多作家였다.  
 
읽을 게 없던 그 시절, 언제쯤인지 방구석 한쪽에 쳐박힌 이 전집이 들어왔다. 시커먼 커브에 박스를 씌웠으며, 그 내부를 펼쳐보면 세로쓰기다. 초등학교, 혹은 중학생 시절에 교과서와 참고서 말고 내가 몇 번이고 탐독한 책이 바로 이것이다.

읽을 게 없었으니 더욱 그랬을지도 모른다. 저 두터운 전집을 나는 몇 번이고 통독했다.

내가 이른바 점제현 신사비며, 관구검을 안 것은 이 책을 통해서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