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AYS & MISCELLANIES

《텍스트론》 편찬연대 선후가 반드시 계승 관계를 말하지는 않는다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18. 8. 12.
반응형
<사금갑이 유통한 경로


같거나 비슷한 내용 혹은 같거나 비슷한 사건을 전하는 기록물 A와 B가 있을 때, 역사학도를 비롯한 텍스트 연구자들이 흔히 저지르는 오류가 그 편찬 선후를 배열하고선 그것을 계승 관계로 간주한다는 사실이다.

예컨대 A가 먼저 나온 기록물이라면 덮어놓고 B는 A를 베꼈다고 본다.

하지만 이는 안이하기 짝이 없는 발상이다.

A와 B가 그 선대에 존재하는 각기 다른 C와 D를 각각 참조했을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그 대표가 사금갑 이야기다. 

현재 우리에게 주어진 증거에 의하는 한, 현존 문헌 중에 이 이야기를 수록한 가장 이른 시기 문헌은 《삼국유사》 기이편이다.

이후 이 이야기는 각종 후대 문헌에 빈번히 등장한다.

한데 이를 바라보는 시각은 이후 문헌들이 모조리 《삼국유사》를 참조한 것으로 간주한다. 

하지만 이런 전제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여러 조건을 만족시켜야 하거니와, 

첫째, 이 이야기가 후대 문헌이 등장하는 시점에서는 오직 《삼국유사》만이 그 이야기를 수록해야 하며,

둘째 무엇보다 《삼국유사》가 가독성이 뛰어나야 한다.

쉽게 말해 널리 읽히고 있었어야 한다. 

하지만 사금갑 이야기는 이 조건 어디도 만족시키지 못한다.

당장 《삼국유사》 사금갑과 《삼국사절요》 및 《동국통감》의 사금갑이 왕청 나게 다르니 이는 각기 모종의 원전이 있었다는 한 증거가 된다.

둘째, 《삼국유사》는 생각보다 독자가 거의 없었다. 

사금갑 이야기는 내가 연전에 텍스트 분석을 해 보니 여러 버전이 있다.

《동사강목》을 보면 《삼국유사》를 원전으로 삼은 듯 하지만, 실은 《절요》와 《통감》 등을 종합한 새로운 버전이더라.

나아가 그것을 수록한 《용재총화》가 다르고 《점필재집》도 다르더라.

이로써 볼 때 신라 소지왕 시대 왕비, 혹은 후궁의 간통사건을 빌미로 삼아 정월 대보름 약밥 만들기 전통을 정리한 저 유명한 사금갑 이야기는 《삼국유사》에 정리 저록되기 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버전이 전하고 있었으며,

그것을 《삼국유사》를 필두로 하는 후대 문헌들이 그것을 재정리 재수록하면서, 각기 다른 버전으로 기록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종래와 같은 편찬연대순을 수학적으로 배열한 다음, 그 후대 나온 문헌이 전대에 나온 문헌의 관련 기록을 전사傳寫했다고 간주함으로써 빚어진 패악의 또 다른 보기로 범엽의 《후한서》 중 한전韓傳이 있거니와,

유송劉宋 시대에 범엽이 정리한 이 한전이 종래의 압도적인 견해로는 그 전대인 서진西晉시대 진수의 《삼국지》 중 위서魏書 한전韓傳을 압축해서 베꼈다고 본다.

하지만, 두 한전을 교감하면, 결코 《후한서》가 《삼국지》를 베끼지 않았음은 명명백백하다. 

《후한서》와 《삼국지》 이전에 이미 후한시대 정사가 8종이나 현전하고 있었고,

그것을 《후한서》는 《후한서》대로, 《삼국지》는  《삼국지》대로 각기 전사 재배열 재정리했을 뿐이다. 

돌이켜 보면, 순서대로 나열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그 선후를 배열하고는, 후대가 선대를 베꼈다고 간주하는 방식은 개돼지도 3년만 교육하면 아는 일이다.

이것이 무슨 대단한 발견인양 호들갑 떠는 일이 다대하거니와, 이것이 무슨 대단한 새로운 발견이겠는가?

가장 저급한 수준의 이해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저급한 학문이 고고학에서도 실로 광범위하게 횡행한다.  

이와 더불어 비슷한 맥락에서 학계에 빠진 텍스트론 고질 중 하나가 문헌끼리 편찬연대를 배열하고선, 같은 내용을 전하는 대목을 비교하고는 그 차이가 보일 적에 덮어놓고 선대 문헌이 정확한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후대에 내려오면서 전대의 오류를 바로잡는 일이 많아, 외려 후대 문헌이 정확한 일이 많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선진先秦시대 문헌을 보면, 가장 안정된 판본은 중화서국이나 상해고적출판사에서 근자에 나온 교감본이라는 사실을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