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티와나쿠Tiwanaku: 안데스 고지대를 번성한 잉카 이전 문명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7. 5.
반응형

티와나쿠에 있는 조각된 인간형 모노리스monolith 중 하나. (출처: Atlantide Phototravel/Getty Images)



티와나쿠 문명은 잉카 제국이 시작되기 훨씬 전부터 안데스 산맥 고지대에서 번성했다.

볼리비아 티티카카 호수Lake Titicaca 근처에 위치한 수천 년 된 도시 티와나쿠는 해발 약 4,000미터(13,000피트)에 건설되어 역사상 가장 높은 도시 중 하나로 손꼽힌다.

산과 언덕으로 둘러싸인 이 도시는 대략 서기 500년에서 1000년 사이에 전성기를 맞이하여 6제곱킬로미터(2제곱마일)가 넘는 면적을 차지하며 격자형grid plan 도시로 발전했다.

도시는 극히 일부만 발굴되었다. 인구 추정치는 다양하지만, 전성기 티와나쿠에는 최소 1만 명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한다.

주민들이 문자 체계를 개발하지 못했고 당시 이름도 알려져 있지 않지만, 고고학적 유물에 따르면 이 도시의 문화적, 정치적 영향력은 남부 안데스 산맥 전역에 걸쳐 있었으며, 이는 오늘날의 페루, 칠레, 아르헨티나까지 뻗어 있었다고 한다.

 

도시 한 블록 크기 정도의 팔라스파타 사원 단지를 디지털로 복원한 모습. (Image credit: José Capriles/Penn State)



오늘날 티와나쿠는 인근에 현대 도시가 자리 잡고 있는 거대한 유적이다.

덴버 미술관 큐레이터 마거릿 영-산체스Margaret Young-Sánchez는 그의 저서 《티와나쿠: 잉카의 조상들 Tiwanaku: Ancestors of the Inca》(University of Nebraska Press, 2004)에서 "거대한 돌로 된 흙무덤이 평원 위에 솟아 있고, 근처에는 아름다운 석조 석조로 장식된 커다란 직사각형 플랫폼과 움푹 들어간 안뜰이 있다"라고 썼다. 

연구자들은 티와나쿠에 언제 처음 정착했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영-산체스는 저서에서 티티카카 호수 지역에 사람들이 약 4,000년 전부터 영구 정착하기 시작했다고 언급했다.

이 무렵에는 짐을 나르는 동물로 쓰던 라마llamas, 털이 귀중하게 취급된 알파카alpacas, 그리고 다른 낙타과 동물들이 가축화했다.

영-산체스는 또한 "농부들은 덩이줄기tubers나 퀴노아quinoa처럼 내한성이 강하고 서리에 강한 작물을 재배하는 법을 배웠으며, 자연 강우와 산비탈에서 끌어올린 물을 이용했다"고 썼다.

 

볼리비아 티티카카 호수 근처 티와나쿠에 있는 잉카 이전 문명 유적. (Image credit: diegograndi/Getty Images)



천 년 후, 이러한 적응력은 "고지대 농경raised-field agriculture"으로 더욱 강화하는데, 이는 "수로로 분리된 인공 고지대를 조성하는" 기술이라고 영-산체스는 썼다.

이러한 적응은 더 크고 복잡한 정착지를 탄생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그중 하나인 티와나쿠가 이 지역을 지배하게 되었다.

2025년, 연구진은 티와나쿠 문명이 건설한 사원의 석조 유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고고학자들이
팔라스파타Palaspata라고 명명한 이 사원은 티와나쿠에서 남쪽으로 약 210km 떨어진 볼리비아에 있다.

이 계단식 단상 사원은 도시 한 블록 크기 정도로 컸으며, 안뜰을 둘러싼 내부 방들이 있었다.

저널 앤티퀴티Antiquity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이 사원은 일분점solar equinox과 일치했으며 의식 장소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팔라스파타 사원에서 발견된 목탄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이 사원은 서기 630년에서 950년경까지 번성했다.

연구진은 이 사원의 전략적 위치가 세 개의 무역로를 연결하는 것으로 보아, 북쪽으로는 고지대, 서쪽으로는 건조한 고원, 동쪽으로는 계곡에 사는 사람들을 연결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기술했다.

 

Kalasasaya 플랫폼은 오늘날 볼리비아의 Tiwanaku에 있다. (Image credit: John Elk/Getty Images)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인류학 고고학자이자 이 연구 주저자인 호세 카프릴레스José Capriles는 이 사원이 종교적으로도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성명에서 "대부분의 경제적, 정치적 거래는 신을 통해 이루어져야 했는데, 신이 다양한 개인들의 협력을 촉진하는 공통 언어였기 때문이다"고 밝혔다.

필드 박물관 큐레이터 패트릭 라이언 윌리엄스Patrick Ryan Williams와 연구팀은 2006년 학술지 논문에서 고고학 발굴을 통해 티와나쿠 사람들이 "거대한 어도비 벽돌 담adobe compound walls으로 둘러싸인, 명확하게 구분되고 공간적으로 분리된 동네, 즉 바리오 barrios에 거주하는 밀집된 도시 인구를 유지했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진은 이러한 "주거 지역은 여러 주거 시설(예: 부엌, 침실, 저장 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그중 일부는 작은 개인 파티오patio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밀집 지역 주민들은 공동 의식 행사를 위해 더 크고 공용적인 야외 광장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고고학자들은 여러 기념비적인 건축물이 있는 도심 많은 부분을 탐사했다. 영-산체스는 이 지역이 "인공 해자moat로 둘러싸여 있었다"고 기록했다.

해자로 둘러싸인 지역에는 종교적 의미를 지녔을 가능성이 있는 여러 건축물이 있다.

 

(Image credit: florentina georgescu photography/Getty Images)


밴더빌트 대학교 존 웨인 야누섹 John Wayne Janusek 교수는 그의 저서 "고대 티와나쿠Ancient Tiwanaku"(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2008)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은 남쪽 계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작은 건물인 "침몰한 사원(Sunken Temple)"일 가능성이 높다고 기술했다. 

계단을 내려가면 방 중앙에 돌 기둥들이 보인다. 야누섹은 이것들이 "집단 공동체의 가장 오래되고 강력한 신화적 조상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람들"을 묘사하고 있다고 썼다.

가라앉은 사원의 벽에는 무표정한 얼굴과 정교한 머리 장식을 한 신과 같은 존재들 모습이 장식되어 있다.

야누섹은 "말라붙은 피부와 움푹 꺼진 눈구멍을 가진 두개골처럼 보이는 것도 있고, 아일랜드 전설 속 밴시banshees처럼 울부짖는 환영처럼 보이는 것도 있다"고 썼다.

 

Amateur archaeological reconstructed Walls around the Kalasasaya


침몰한 사원 옆에는 "칼라사사야Kalasasaya"라는 플랫폼 단지가 있는데, 연구자 브라이언 바우어Brian Bauer와 찰스 스태니쉬Charles Stanish는 "고대 안데스의 의식과 순례: 태양과 달의 섬들(Ritual and Pilgrimage in the Ancient Andes: The Islands of the Sun and the Moon)" (텍사스 대학교 출판부, 2001)에 이를 기술했다.

아카파나Akapana라는 "인공 피라미드"도 해자로 둘러싸인 지역에 있다.

바우어와 스태니쉬의 저서에 따르면, 이 기념물은 여섯 개 돌 테라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닥면은 656피트 x 820피트(200 x 250m)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였고, 높이는 54피트(16.5m)가 넘었다.

아카파나는 티와나쿠의 다른 모든 건물을 압도했으며, 정치적, 종교적 권력의 중심지였을 가능성이 높다.

영-산체스의 책에 따르면, 고고학자들은 피라미드 북서쪽 부분을 발굴하면서 티와나쿠가 정복한 집단 출신일 가능성이 있는 21명 유골을 발견했다.

책에 따르면, 유골 중 몇몇에는 깊은 자상이 있는데, 이는 시신이 사망 직전이나 직후에 잘려 나간 후 피라미드 기슭에 묻혔음을 시사한다.

해자 구역 밖, 남서쪽에는 푸마푼쿠Pumapunku(또는 Puma Punku)라고 불리는 거대한 미완성 플랫폼이 있다.

야누섹의 저서에 따르면, 주요 플랫폼은 너비가 약 488m(1,600피트)였고 T자 모양 테라스가 겹쳐져 있었다.

주 입구는 서쪽에 있었다.

 



야누섹은 "돌로 된 문을 통해 계단을 올라가면, 어떤 문은 토토라 갈대 뭉치totora reed bundles처럼 조각된 상인방lintels으로 덮여 있고, 좁고 벽으로 둘러싸인 통로로 이어진다"라고 썼다.

이 통로는 "움푹 패인 포장된 파티오sunken paved patio"가 있는 "안뜰"로 이어졌다.

야누섹은 플랫폼에서 거행된 의식에서 물이 중심적인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구조물 남서쪽에 있는 초케파차 샘 Choquepacha spring 주변에는 돌로 된 수로가 건설되어 있다.

 

[위치] 

 

Bing 지도

여러 위치를 찾고, 환승/도보/운전 방향을 확인하고, 실시간 교통량을 보고, 여행을 계획하고, 위성, 공중 및 거리 이미지를 보세요. Bing 지도를 다양하게 이용하세요.

www.bing.com

 

서기 1000년경, 티와나쿠는 쇠퇴했고, 도시는 결국 버려졌다.

티와나쿠는 현재 페루 서쪽에 위치한 와리 문화Wari culture가 몰락한 시기와 거의 같은 시기에 붕괴되었다.

이러한 시기적절함을 두고 과학자들은 안데스 산맥의 환경 변화가 두 문명의 몰락에 영향을 미쳤는지 의문을 품게 되었다.

티와나쿠는 버려졌지만, 그 기억은 안데스 사람들 신화 속에 살아 숨 쉬고 있다.

 

Ponce Monolith



"티와나쿠는 버려진 후에도 지역 주민들에게 중요한 종교 유적이었다"고 고고학자 알렉세이 브라니치Alexei Vranich는 Archaeology 잡지 기사에 썼다.

브라니치는 티와나쿠가 이후 인류의 발상지로 잉카 신화에 포함되었으며, 잉카인들은 유적 옆에 자체 건축물을 지었다고 썼다.

이상은 라이브 사이언스 아티클에 의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