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제16대 왕.
삼국사기 권 제18(고구려본기 제6) 고국원왕본기 : 고국원왕(故國原王)<국강상왕(國上王)이라고도 한>은 이름이 사유(斯由)<쇠(釗)라고도 했다>다. 미천왕이 15년에 태자로 삼았고, 32년 봄에 왕이 죽자 즉위하였다. 2년(332) 봄 2월에 왕은 졸본으로 가서 시조묘에 제사지내고, 백성들 중 노인, 병자들을 두루 위문하고 먹을 것을 주었다. 3월에 졸본에서 돌아왔다. 4년(334) 가을 8월에 평양성을 증축했다. 겨울 12월에 눈이 내리지 않았다. 5년(335) 봄 정월에 나라 북쪽에 신성을 쌓았다. 가을 7월에 서리가 내려 곡식을 해쳤다. 6년(336) 봄 3월에 큰 별이 서북쪽으로 흘러갔다. 진(晉)나라에 사신을 보내 토산물을 바쳤다. 9년(339)에 연나라 왕 [모용]황(=)이 쳐들어 와서 그 군사들이 신성에까지 미치게 되자, 왕이 맹약을 요구하니 그제야 돌아갔다. 10년(340)에 왕은 세자를 연나라 왕 [모용]황에게 보내 조회(朝會)했다. 12년(342) 봄 2월에 환도성을 수리하고, 또 국내성을 쌓았다. 가을 8월에 [왕은] 환도성으로 옮겨 거처했다. 겨울 10월에 연나라 왕 [모용]황이 용성(龍城)으로 천도했다. 건위장군(建威將軍) [모용]한(翰)이 먼저 고구려를 빼앗고 후에 우문(宇文)씨를 멸망시키고 그 후에 중원을 차지하자고 청했다. 고구려에는 두 길이 있는데 북도(北道)는 평탄하고 넓은데 남도(南道)는 험하고 좁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북도로 가려 했다. [모용]한이 말했다. “적은 상식으로 헤아려 반드시 대군이 북도로 올 것이라 여겨서, 당연히 북쪽을 중히 여기고 남쪽은 소홀히 할 것입니다. 왕께서는 마땅히 정예군을 거느리고 남도로 가 그들을 쳐서, 그들이 생각하지 못한 때에 나가야 할 것입니다. 환도(丸都)는 족히 취할 것도 못됩니다. 따로 적은 군사를 북도로 보내면 비록 차질이 있다 하더라도, 그의 몸체가 이미 무너지면 사지(四肢)는 쓸 수 없는 것입니다”. [모용]황이 그 말을 따랐다. 11월에 [모용]황이 스스로 날랜 군사 4만을 거느리고 남도로 나와, 모용한과 모용패(慕容覇)를 선봉으로 삼고, 따로 장사(長史) 왕우(王=) 등을 보내 군사 1만 5천 명을 거느리고 북도(北道)로 나와서 침략해 왔다. 왕은 아우 무(武)를 보내 정예군 5만 명을 거느리고 북도를 막게 하고, 자신은 약한 군사들을 거느리고 남도(南道)를 막았다. 모용한 등이 먼저 와서 싸우고 [모용]황이 대군을 이끌고 뒤이어 오니 우리 군대가 크게 패했다. 좌장사(左長史) 한수(韓壽)가 우리 장수 아불화도가(阿佛和度加) 머리를 베니 여러 군사들이 승기를 타고 마침내 환도로 들어 왔다. 왕은 말 한 필을 몰고 도망가 단웅곡(斷熊谷)으로 들어갔다. [연나라] 장군 모여니(慕輿=)가 쫓아가 왕의 어머니 주씨(周氏)와 왕비를 사로잡아 돌아갔다. 이때, 왕우 등이 북도에서 싸우다가 모두 패하여 죽었다. 이로 인해 [모용]황이 다시 끝까지 쫓지 못하고 사신을 보내 왕을 불렀으나 왕은 나가지 않았다. [모용]황이 장차 돌아가려 할 때 한수가 말했다.“고구려 땅은 지킬 수 없습니다. 지금 그 왕이 도망하고 백성이 흩어져 산골짜기에 숨어있으나, 대군이 돌아가면 반드시 다시 모여들어 나머지 무리를 모아 오히려 근심거리가 될 것입니다. 그의 아버지의 시신을 싣고, 그의 친 어머니를 잡아가십시다. 그가 스스로 몸을 묶어 항복해 오기를 기다려 그 후에 돌려주고 은덕과 신뢰로 어루만지는 것이 상책입니다.” [모용]황이 그 말을 좇아 미천왕의 무덤을 파서 그 시신을 싣고, 창고 안의 여러 대의 보물을 거두고, 남녀 5만여 명을 사로잡고 그 궁실을 불지르고, 환도성을 허물고는 돌아갔다. 13년(343) 봄 2월에 왕은 그의 아우를 연(燕)나라에 보내 신하를 칭하며 조회하고, 진기한 물건 천여 점을 바쳤다. 연나라 왕 [모용]황이 이에 따라 그 아버지의 시신을 돌려주었으나, 그 어머니는 여전히 남겨두어 인질로 삼았다. 가을 7월에 [왕은] 평양 동황성(東黃城)으로 옮겨 거처하였다. 성은 지금[고려]의 서경(西京) 동쪽 목멱산(木覓山) 가운데에 있다. 진나라에 사신을 보내 조공하였다. 겨울 11월에 눈이 다섯 자나 내렸다. 15년(345) 겨울 10월에 연나라 왕 [모용]황이 모용각(慕容恪)을 시켜 쳐들어와서 남소(南蘇)를 함락시키고 수자리 군사를 두고 돌아갔다. 19년(349)에 왕은 전 동이호군(東夷護軍) 송황(宋晃)을 연나라로 보냈다. 연나라 왕 [모용]준(雋)이 그를 용서하고 이름을 활(活)이라 바꾸고 중위(中尉)로 임명하였다. 25년(355) 봄 정월에 왕자 구부(丘夫)를 왕태자로 세웠다. 겨울 12월에 왕은 사신을 연나라에 보내 인질과 조공을 바치면서 어머니를 돌려보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연나라 왕 [모용]준이 이것을 허락하고 전중장군(殿中將軍) 조감(龕)을 보내 왕의 어머니 주씨를 본국으로 돌려보내고, 왕을 정동대장군(征東大將軍) 영주자사(營州刺史)로 삼고, 낙랑공(樂浪公)으로 봉하고, 왕호는 예전과 같게 하였다. 39년(369) 가을 9월에 왕은 군사 2만 명으로 남쪽으로 백제를 정벌하여 치양(雉壤)에서 싸웠으나 패하였다. 40년(370)에 진(秦)나라의 왕맹(王猛)이 연나라를 정벌하여 깨뜨렸다. 연나라 태부(太傅) 모용평(慕容評)이 도망쳐 왔는데, 왕은 [그를] 붙잡아 진나라로 보냈다. 41년(371) 겨울 10월에 백제왕이 군사 3만 명을 거느리고 평양성을 공격해 왔다. 왕은 군대를 내어 막다가 흐르는 화살에 맞아 이 달 23일에 죽었다. 고국(故國)의 들에 장사지냈다.<백제 개로왕(蓋鹵王)이 위(魏)나라에 표(表)를 보내기를 『쇠(釗)의 머리를 베어서 달아 매었다.』고 하였으나 지나친 말이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16대 국원왕(國原王)은 이름이 쇠(釗)인데 사유(斯由)라고도 하며 강상(岡上)이라 일컫기도 한다. 신묘년에 즉위해 40년을 다스렸다. ==년에 평양성(平壤城)을 증축했으며 임인년 8월에 안시성(安市城)으로 도읍을 옮기니 곧 (환)도성(丸都城)이다.
삼국사기 권 제37(잡지 제6) 지리 : 옛 사람의 기록에 시조 주몽으로부터 보장왕에 이르기까지 지낸 햇수가, 친절하고 자세하기 이와 같다. 다만 혹은 『고국원왕 13년(343)에 평양 동황성(東黃城)으로 옮겨 거주하였는데, 그 성은 지금[고려]의 서경(西京) 동쪽 목멱산(木覓山) 안에 있다.』라고도 하였으나, 그런지 아닌지를 알 수 없다.>
삼국사기 권 제18(고구려본기 제6) 소수림왕본기 즉위년 : 소수림왕(小獸林王)<또는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이라고도 하였다>의 이름은 구부(丘夫)이고 고국원왕의 아들이다.
'Who'sWho in Ancient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수림왕(小獸林王) (0) | 2018.02.19 |
---|---|
소해주류왕(小解朱留王) (0) | 2018.02.19 |
송황(宋晃) (0) | 2018.02.19 |
주씨(周氏) (0) | 2018.02.19 |
아불화도가(阿佛和度加) (0) | 2018.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