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Millennium Kingdom's Royal Forest Revealed by Paleoenvironmental Research 고환경 연구가 드러낸 신라 월성의 숲

by taeshik.kim 2020. 4. 13.
반응형

 

 

"신라인, 월성 주변서 곰 해체해 가죽 얻고 뼈 버렸다" | 연합뉴스

"신라인, 월성 주변서 곰 해체해 가죽 얻고 뼈 버렸다", 박상현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04-01 09:00)

www.yna.co.kr

 

Drawing the blueprint for the restoration of Wolseong Forest through paleoenvironmental research- Presenting a restoration blueprint through research on ancient Silla flora and fauna in the 5th century -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Researcher Lee Chae-Won (+8254-777-6386)

Researcher Choi Moon-jung (+8254-777-6390)

 

Bear Bones Excavated from Moat of Wolseong Fortress

 

The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 GNRICH, Director Lee Jong-Hoon),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chieved research results on organic matters identified at moats of Wolseong in Gyeongju for four years from 2016 to 2019. This achievement will be presented at the World Archaeology Congress (the WAC), which is a global academic conference to be held in Prague, the Czech Republic, in July next year. (the WAC originally planned to be held this July but it has been postponed to next year due to Coronavirus Pandemic.)

The WAC has the highest authority of archaeological research and more than 100 countries around the world participate in it. A session for the GNRICH is organized at the WAC in Plague next year. The GNRICH will present a blueprint for a restoration and results of paleoenvironment research on Wolseong Forest, which was surrounding the royal palace of the ancient Silla in the 5th century.

Bear Bones Excavated from Moat of Wolseong Fortress

 

The paleoenvironmental research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cient people and their surroundings, which was difficult to understand by excavation research alone. Organic matters from the excavation lead to anticipate the food of ancient people and their environment. Moreover, those organic matters provide crucial clues to reconstruct the lifestyles of the ancients and their living conditions. Because of that, the paleoenvironmental research is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field in archaeology. The GNRICH organized a paleoenvironmental research team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2017 and has been working to restore the intact history and culture of the ancient Silla by securing various research samples from the excavation researches.

The results of paleoenvironmental research on Wolseong and its surroundings, which will be presented through the WAC,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At the first, it is the research achievement of various plants and grains including seeds and fruits of the Silla era. The GNRICH excavated 63 species of seeds and fruits of the Silla era around the Wolseong and this was the largest quantity in the domestic excavation. Since then, 10 more species are identified. Based on natural scientific research of collected plant remains such as diatomic and pollen analyses, it suggests landscapes of Silla palace in the 5th century, where the Silla people might walk around the moats full of prickly water lilies and take a rest in the zelkova forest.

*Atom (珪藻): A group of single-celled plants, which contains many silicon.

A Wooden Structure Excavated from Moat of Wolseong Fortress

 

*Pollen analysis: To estimate the changes of plant colonies and climate environment in the past through the investigation such as extraction of pollen or spore in sediments and types and proportions of plants.

Typical seeds identified on Wolseong are seeds of Paulownia wood and Ricinus. This is the first time to discover the seeds of Paulownia wood and Ricinus from the 5th century in ancient ruins.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seeds of the Paulownia wood were a native species of Korea and the seeds of the Ricinus were introduced species, which was brought in for the use of it.

Secondly, an in-depth study on excavated bear bones in Wolseong illuminated how the Silla people used bear at that time. In Wolseong,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bear bones were discovered compared to other sites. As a result of close observation, those are presumed to be the bones of the Asiatic black bear (Selenarctos Thibetanus Ursus Torquatus). Therefore, this research paves the way for assuming the lineage of the bear from Silla era. Moreover, this leads to verify records of how the Silla people used bearskins in Samguk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三國史記』 through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Classification of Seeds Excavated from Moat of Wolseong Fortress

According to Samguksagi, there are records that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a flag of Jaegam (a government position) is made of bears face skin; a flag of Gunsagam (a government position) is made of bears chest skin; a flag of Daejangcheokju is made of bears arm skin. These specific references of the use of the bearskins are significant in proving archaeological finds.

Although the route of the Asiatic black bear to Wolseong during the Silla era is needed to research further, a site of a workshop around Wolseong was investigated. Moreover, as traces of taking to pieces on animal bones were found, there is possible this processing may have been done around Wolseong.

Lastly, one of the great achievements is the attempt to focus on a single archaeological site to study the environment systematically. The GNRICH has tried to predict the ancient landscape, weather and climate namely precipitation and restore the life of ancient people, which was reflected in the ritual. These are the recent trend and uses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archaeology.

A seed of castor bean Excavated from Moat of Wolseong Fortress

The GNRICH will share these achievements of the paleoenvironmental research and its direction with scholar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 Korea in order to introduce and spread this research process and achievements through an academic conference, which will be held in September. The GNRICH will continue to research and strive to restore the history and culture of Silla, the lifestyles of the Silla people and its circumstances through the diverse and elaborate paleoenvironmental research.

1. Interpretation of bear records in Samguksagi

1. photo

 

 

 

반월성

★★★★☆ · 관광 명소 · 인왕동 387-1

www.google.com

 

 

 

고환경 연구로‘월성 숲’복원의 밑그림 그린다등록일

2020-04-0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5세기 고대 신라 동식물 연구로 복원 청사진 제시 -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간 경주 월성의 해자에서 확인한 유기질 유물들에 대한 연구 성과를 내년 7월 체코 프라하에서 개최 예정인 세계적인 학술대회 ‘세계고고학대회’(World Archaeology Congress, 당초 오는 7월에서 코로나 19로 한 해 연기)에서 발표하기로 했다.
 
세계고고학대회는 전 세계 100개국 이상 참여하는 고고학 연구의 최고 권위를 가진 국제학술포럼으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내년 체코에서 열리는 세계 고고학대회에서 독립 부문을 별도로 기획해 5세기 고대 신라의 왕궁을 둘러싸고 있던 월성 숲의 고환경 연구 성과와 복원 청사진을 공개할 것이다.

참고로, 고환경 연구는 발굴조사만으로 알기 어려운 옛사람과 주변 환경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으로, 유적에서 발견되는 각종 유기 물질은 옛사람들의 먹거리와 주변 경관 등을 예측할 수 있는 단서가 되고, 당시 사람들의 생활방식과 그들이 살았던 환경을 복원하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고고학에서는 매우 중요한 분야로 인정받고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017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발굴조사단 내에 ‘고환경연구팀’을 만들어 발굴조사 단계부터 다양한 연구 시료를 확보해 고대 신라의 온전한 역사․문화 복원을 위해 노력해 왔다.

세계고고학대회를 통해 공개되는 월성과 그 주변에 대한 고환경 연구 성과는 크게 세 분야가 될 것이다.

첫째는, 신라 시대 씨앗과 열매 등 각종 식물과 곡식에 대한 연구 성과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 4월까지 국내 발굴조사 상 가장 많은 수량인 63종의 신라 시대 씨앗과 열매를 월성 주변에서 확인한 바 있으며, 이후 지금은 10여종을 추가로 더 확인한 상태이다.

이렇게 수집한 식물자료에 대한 규조(珪藻)․화분 분석 등의 자연과학 연구를 토대로 신라인들이 가시연꽃이 가득 핀 해자를 보며 걷고, 느티나무 숲에서 휴식을 취했을 5세기 신라 왕궁의 풍경을 제시할 것이다.


* 규조(珪藻): 규산질의 껍질을 가진 물에 사는 미생물
* 화분분석: 퇴적물 속 옛 꽃가루나 포자 추출, 종류와 비율 등을 조사하여 과거 식물군락 변천, 기후환경 등 추정
 
참고로, 월성에서 확인한 대표적인 씨앗으로는 오동나무 씨앗과 피마자 씨앗(아주까리) 등인데, 5세기 오동나무 씨앗과 피마자 씨앗이 고대 유적에서 확인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연구 결과 오동나무 씨앗은 우리나라 자생종이고, 피마자 씨앗은 씨앗 이용을 위해 인위적으로 들여온 외래종으로 추정된다.

두 번째는, 동물 뼈 중에서도 곰뼈에 대한 연구 성과다.
월성에서 출토된 곰뼈를 심화연구해 당시 신라 시대 사람들이 곰을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혀냈다. 다른 유적에 비해 월성에서는 비교적 많은 곰뼈가 확인되는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이를 면밀히 관찰한 결과, 반달가슴곰의 뼈로 판단되며, 이는 한반도 곰의 계보를 추정할 수 있는 발판이 되었다.

​또한, 삼국사기(三國史記)에 기록된 신라 사람들의 곰 가죽 이용에 대한 내용을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 삼국사기 기록 중 제감화(弟監花)는 곰의 뺨가죽(熊頰皮), 군사감화(軍師監花)는 곰의 가슴가죽(熊胷皮), 대장척당주화(大匠尺幢主花)는 곰의 팔가죽(熊臂皮) 에 대한 내용으로 해석함. 여기서 ‘화(花)’는 군대의 깃발을 의미하는데, 곰의 가죽을 사용할 것을 특정하여 언급한 것은 고고자료의 확인으로 의미가 큼


→ 신라 시대 반달가슴곰이 월성으로 온 경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지만, 월성 주변의 공방지가 조사되었고 해체흔이 뼈에서 확인되므로 가공은 월성 주변에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음

세 번째는 단일 유적을 대상으로 환경연구를 체계적으로 시도했다는 점이다.
고대 경관과 날씨, 강수량과 같은 기후를 예측하고, 제의 행위 속에 녹아 있는 고대인들의 삶을 복원해내는 노력을 했으며, 이는 고고학의 최근 국제 연구의 흐름과 활용방법과도 그 궤를 함께하고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이러한 연구 과정과 성과를 소개하고 확산시키기 위하여 오는 9월에 국내에서 개최 예정인 학술대회에서 고환경 연구 성과와 방향성을 우선 공유하기로 했다. 앞으로도 다양하고 치밀한 고환경 연구를 통해 신라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그 역사의 중심에 있었던 사람들과 환경을 복원해 나가고자 연구하고 노력할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