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노년의 연구

구한말의 주인공은 노비 후손이다?

by 신동훈 識 2025. 8. 18.
반응형
드라마 추노 한 장면

 
필자는 이 말이 틀림없는 사실이다,

라는 말을 하려는 것이 아니다. 

이 도발적인 말을 하는 이유는 이렇다. 

18세기 초반까지도 마을마다 절반 가까이 되던 노비사역이 

18세가 후반을 거쳐 19세기가 되면 거의 사라지고 

각 마을은 자기들이 양반 후손이라 주장하는 소농민들로 재편된다. 

그렇다면 이전 노비는 어디로 갔겠는가, 

당연히 양반이라고 주장하는 소농민들로 바뀌었을 것이다. 

이 숫자가 전체 인구의 절반이다. 

그렇다면 이들이 과연 19세기 후반, 구한말에 들어가면 얌전히 있었을 것으로 보는가? 

19세기 후반 활동하던 사람들 상당수, 

심지어는 중앙정부에 발탁되어 들어간 사람들 중에도 이들이 상당수 섞여 있었으리라 보는것이 옳지 않을까. 

당연히 우리나라 역사에서 구한말 활동하던 사람들 중에는 

우리 조상이 100년 전만 해도 노비라고 밝힌 사람은 아무도 없다. 

모두가 "몰락 양반의 후손"이라고 한다. 

몰락 양반의 후손...

물론 정말 몰락 양반의 후손일 수도 있지만, 

신흥 양반, 이전에는 양반이 아니었던 사람들의 후손일 수도 있다는 말이다. 

다음으로, 우리나라는 18-19세기, 역사적 변혁의 주인공에 대한 설정을

애초에 잘못하고 있다. 

한국사에서 근대적 변혁의 주체는 실학자가 아니다. 

바로 이들 가짜양반들이 변혁의 주체다. 

실학자는 전통 유교에서 한 발자국도 못 나간 사람들이다. 

이들은 근대의 여명기를 대표하는 사람들이 될수 없다. 

필자는 18세기 전반까지도 노비로 파악되던 사람들, 

전 인구의 절반에 달하는 이들이 100년만에 소농민,

그리고 "유학"을 표방하는 양반 후손으로 바뀌고

이들 중 상당수가 19세기 후반, 구한말에는 

왕조의 개혁 내지는 타도를 위해 활동했으리라 본다. 

그게 누군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그 당시 이렇게 활동하던 사람들 중에

절반 이상은 100년 이전에는 노비의 후손이었을 것이다. 

인구 비율을 보면 틀림없다. 

 
*** [편집자주] ***

 
저 개혁의 주체, 곧 지금 이대로는 안 되니 바꿔보자는 운동은 여러 갈래일 수 있다.

개중에 친일도 당연히 들어간다.

왜? 그걸로 세상을 바꾸겠다고 생각한 까닭이다.

그래서 저 스펙트럼은 매우 다양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