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가 백제를 멸하는 결정적인 단초가 된 황산벌 전투에서 산화한 신라 군인 반굴의 아들이며 대장군 김흠춘(김흠순)의 손자다. 신문왕 때 고구려 남은 세력 실복이 보덕성을 근거로 삼아 반란을 일으키자, 그 진압을 위해 황금서당(黃衿誓幢) 보기감(步騎監)으로 출전해 장렬히 전사했다.
삼국사기 권 제47(열전 제7) 김령윤 열전 : 김령윤(金令胤)은 사량(沙梁) 사람으로 급찬(級飡) 반굴(盤屈)의 아들이다. 할아버지인 각간 흠춘(欽春)<흠순(欽純)이라고도 한다>은 진평왕 때 화랑이 되었는데, 어짐이 깊고 신뢰가 두터워 뭇사람의 마음을 얻었다. 장년이 되어 문무대왕이 그를 올려 총재(冢宰)로 삼았다. 윗사람을 충으로 섬기고 백성에게는 관대하여 나라 사람이 모두 어진 재상이라 했다. 태종대왕 7년 경신(660)에 당 고종이 대장군 소정방에게 명해 백제를 치게 하자 흠춘은 왕명을 받들어 장군 유신 등과 함께 정예 군사 5만을 이끌고 나갔다. 가을 7월 황산벌에 이르러 백제 장군 계백을 만나 싸움이 불리해지자 흠춘이 아들 반굴을 불러 말하기를 “신하로서는 충성이 제일 중요하고 자식으로서는 효가 제일 중요하다. 위험을 보고 목숨을 바치면 충과 효가 모두 이루어진다”고 했다. 반굴이 “예, 그렇게 하겠습니다”라고 하고는 적진에 들어가 힘껏 싸우다 죽었다. 령윤은 대대로 고관을 지낸 집안에서 태어나 성장했으므로 명예와 절개를 자부했다. 신문대왕 때에 고구려 남은 세력 실복(悉伏)이 보덕성(報德城)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왕이 토벌을 명하면서 령윤을 황금서당(黃衿誓幢) 보기감(步騎監)으로 삼았다. 막 떠나면서 말하기를 “내 이번 걸음에 내 종족과 친구들이 나쁜 소리를 듣지 않게 하겠다”고 했다. 실복이 가잠성(岑城) 남쪽 7리에 나와 진을 치고 있는 모습을 보고는 어떤 사람이 말했다.“지금 이 흉악한 무리는 견주건대 제비 천막 위에 집을 지은 것 같고 솥 안에서 놀고 있는 물고기와 같으니 만번이라도 죽겠다는 각오로 나와서 싸우나 하루살이 목숨과 같다. ‘막다른 곳에 다다른 도둑을 급박하게 쫓지 말라’ 고 했는데, 마땅히 좀 물러서 피로가 극에 달함을 기다려 치면 칼날에 피를 묻히지 않고도 사로잡을 수 있을 것이다”. 여러 장수가 그 말을 그럴 듯하다고 여겨 잠깐 물러났다. 오직 령윤만이 홀로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싸우려하니 그 따르는 자가 말했다. “지금 여러 장수가 어찌 다 살기를 엿보는 사람으로 죽음을 아끼는 무리이겠습니까? 지난 번 말을 수긍한 것은 장차 그 틈을 기다려 그 편함을 얻고자 함인데 그대가 홀로 곧바로 진격하겠다고 하니 그것은 바르지 못합니다.” 령윤이 말했다.“전쟁에 임해 용기가 없는 것은 예기에서 경계시킨 바요, 전진이 있을 뿐 후퇴가 없는 것은 병졸의 떳떳한 분수이다. 장부는 일에 임하여 스스로 결정할 것이지 어찌 반드시 무리를 좇을 필요가 있겠는가”. 드디어 적진에 나가 싸우다가 죽었다. 왕이 이를 듣고 슬퍼하며 눈물을 흘리면서 말하기를 “그런 아버지가 없었으면 이런 자식이 있을 수 없다. 그 의로운 공이 가상하다”고 하고는 벼슬과 상을 후하게 추증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