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漢詩 & 漢文&漢文法

더는 쓸 곳 없어 단풍에 적네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18. 11. 1.
반응형
한시, 계절의 노래(211)

대청호


홍엽(紅葉)

[宋] 양만리(楊萬里, 1127 ~ 1206) / 김영문 選譯評

시인은 뱃속 가득
맑은 우수 품어

천 편 시 토하고도
멈추려 하지 않네

벽마다 가득 썼지만
더는 쓸 곳 없어

붉은 잎에다 가까스로
가을 시를 적어보네

詩人滿腹著淸愁, 吐作千詩未肯休. 寫遍壁間無去處, 卻將紅葉強題秋.

“그 벤치 위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나뭇잎은 흙이 되고”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 “시몬, 너는 좋으냐?/ 낙엽 밟는 소리가” “기러기 울어 예는/ 하늘 구만리/ 바람이 싸늘 불어/ 가을은 깊었네” “국화꽃 저버린/ 가을 뜨락에/ 창 열면 하얗게/ 무서리 내리고” “길 가의 가로수 옷을 벗으면/ 떨어지는 잎새 위에 어리는 얼굴” “해는 서산에 지고/ 쌀쌀한 바람 불어/ 날리는 오동잎/ 가을은 깊었네” 지금 떠오르는 대로 써본 가을 시와 가을 노래 구절들이다. 가히 가을은 시의 계절이라 할만하다. 미국 작가이자 공연예술가인 패티 스미스(Patti Smith)도 가을 거리를 바라보며 “이 거리들은/ 알을 깨고 나오기만 기다리는/ 한 편의 시다”라고 읊었다. 우리나라 정용철도 “가을은 시인의 집입니다/ 그 안에서 우리는 시인이 됩니다”라고 고백했다. 위의 시인 양만리도 나뭇잎이 붉게 물든 가을날, 맑은 우수를 천 편의 시로 써내고도 멈출 수 없다고 토로했다. 그의 서재에는 시를 쓴 종이가 마치 낙엽처럼 뒹굴고, 사방 벽에도 온통 휘갈겨 쓴 시구로 빈 틈이 없을 터이다. 더 이상 시를 쓸 곳이 없는 그는 붉게 물든 단풍잎을 종이로 삼는다. 하긴 뱃속 가득한 시심을 남김없이 써내기 위해서는 가을 산천을 붉게 물들이는 나뭇잎 말고 다른 지면을 찾기는 어려울 듯하다. 붉게 물든 단풍잎이 이미 처연한 가을 시이니 그걸 뿌리기만 해도 가을 창공이 시 낭송 소리로 가득 차는 것일까? 그럼 낙엽을 태우는 건 시를 태우는 장례 의식일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