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인각사 - - 軍威 麟角寺址 6·7차 발굴조사 보고서
발간 - 불교문화재연구소, 2020년
이 보고서는 2018년 3월 5일부터 동년 5월 9일(6차), 2018년 10월 23일부터 동년 10월 25일(7차)까지 실시한 군위 인각사지 유적 시·발굴조사결과를 정리한 보고서이다.
인각사는 고려시대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던 일연스님의 하안소로 지정되고, 일연스님 재세시에 九山禪門會를 개최하면서 叢林으로 성세를 누렸으나, 정유재란 과정에서 소실되었다. 이후 1721년 본격적인 중수를 거쳐 현재 국가 사적 제374호로 지정되어 있다.
조사구역은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 삼국유사로 250(고로면 화북리 612)일원이며, 국사전지와 명부전지 해체 부지와 국사전지 이전부지에 해당한다.
이번 6차 발굴조사 지역의 면적은 1,048㎡이며, 2018년 3월 5일부터 2018년 5월 9일까지 조사를 진행하였다. 7차 시굴조사 지역의 면적은 3,356.9㎡이며, 2018년 10월 23일부터 10월 24일까지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는 선행 조사와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경북대학교 박물관과 중앙승가대학교 불교사학연구소, 불교문화재연구소에서 조사했던 Grid를 도면상에서 확인하고 원용(N-13°-W)하였다. 기준 높이는 해발고도로 1차 시굴조사 당시 국사전지 기단하부를 해발 162m로 설정한 이후 본 연구소에서 실시한 연차 발굴조사에서 그대로 이용하였다. 연차 발굴조사의 남북방향 평면 기준점은 경북대학교 박물관 조사 당시 3층 석탑의 2층 탑신석 서면을 통과하는 지점(E·W0)과 연결된 대웅전지의 중심부(N·S0)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기준점을 이용하여 6차 발굴조사를 진행하였고, 7차 시굴조사는 조사구역의 동서방향과 남북방향으로 기준토층을 위한 중심점(S30W90)을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6차 발굴조사결과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유지 된 것으로 건물지 6기를 포함하여 우물지, 배수로, 담장지, 석렬 등이 확인되었다.
명부전지는 조선시대~고려시대까지 3기 문화층이 중복되어 확인되었고, 국사전지는 조선시대의 대웅전지와 고려시대 선당지가 확인되었다. 1호 건물지는 조선시대~고려시대까지 4기의 문화층, 2호 건물지는 고려시대의 2기 문화층이 중복 확인되었다. 3호 건물지에서는 적심과 배수로가 확인되었고, 4호 건물지는 고려시대 건물지와 담장시설이 확인되었다. 그 외 남쪽 경계 담장지 3기, 석렬 1기, 우물지 2 기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국사전지, 명부전지, 1호 건물지의 아궁이에서 목탄 시료를 분석한 결과 현 국사전지는 1220년(±30)이며, 일연스님 하안시기(1284년) 이전에 조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명부전지 아궁이는 1290년(±30)이며, 일연스님 하안 시기 이후에 조성되었고, 1호 건물지의 아궁이 시설은 950년(±30)이며, 고려시대 2기 문화층인 전기에 조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7차 시굴조사 결과 고려시대 가마터가 확인되었고, 확장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동서 장축 방향의 3.0m, 폭 1.2m의 가마를 확인하였다. 가마터가 확인된 대상지역은 고려시대 사역 담장 밖으로 추정되며, 일제강점 지적도 확인 결과 일제강점기 초기부터 논으로 경작이 이루어진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가마터는 방사성탄소연대측정 결과 고려시대 970년(±30)이며, 고려시대 전기로 확인되었다.
이는 6·7차 발굴조사 결과 각 건물지의 해당시기 문화층 해석이 방사성탄소연대측정 결과와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고서 표지
'차순철의 고고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라시아 고대 네트워크 국제학술회의 - 흉노와 한 (0) | 2021.04.26 |
---|---|
[발굴조사보고서] 동해 이로동 유적 (0) | 2020.05.22 |
[발굴조사보고서] 천안 구도리 백제분묘 (0) | 2020.04.17 |
[발굴조사 보고서] 황룡사 발굴조사 보고서Ⅱ (0) | 2020.03.04 |
[시굴조사보고서] 진안 대량리 제동유적 -시굴조사- (0) | 2019.12.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