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SAYS & MISCELLANIES

사우디로 팔려나가는 아프리카 치타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1. 10. 4.
반응형

치타는 사우디 '부의 상징'…왕족갑부들 밀수에 씨 마른다
Heritage / 박대한 / 2021-10-04 16:59:58
멸종위기로 1975년 매매금지에도 불티
마리당 800만원…새끼·암컷은 더 고가
"이빨·발톱 뽑아…돌 지나기 전 폐사 속출"



치타는 사우디 ′부의 상징′…왕족갑부들 밀수에 씨 마른다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의 왕족과 억만장자들이 신분 과시의 상징으로 애완용 치타를 기르기 시작하면서 밀수가 급증하고 있다고 일간 더타임스가 4일(현지시간)

m.k-odyssey.com



BBC나 NHK, 그라고 저들 흉내낸다고 창사 몇십주년 특집이니 해서 걸핏하면 아프리카나 북극으로 달려가선 동물 다큐 찍어대는 KBS나 EBS더러 그런 프로그램 폐지를 요청해야 하는 게 아닌가 싶다.

석유재벌 즐비한 중동에서 치타 마리당 가격이 우리돈 팔백밖에 되지 않는다니 치타 신세가 이 정도밖에 아니 되냐 하는 자괴감이 든다.

저런 일로 멸종위기가 가속화한다는데 조금 이상한 점이 개체수 줄어가는 데는 아프리카지 전 세계 기준이 아닌 것 아닌가 하는 반론도 불가능하지는 않을 성 싶다.

저짝에서 사라진 개체수만큼 중동으로 옮아간 것은 아닌가? 서울대공원이나 과천에도 치타는 있지 않나?

동물 혹은 환경애호가들이 무위자연을 주창하나 차라리 저리되고 말 거 각국 동물원에다 분양하는 쪽이 적어도 개체수 보존에는 더 안전빵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그게 차라리 중동에 팔려가서 이빨 발톱 빠지는 신세보단 낫지 않겠는가?




그건 그렇고 저들이 남획되는 원인으로

"왕족들은 이국적인 동물을 수집하려는 경향이 있고, 보통 사람들 또한 신분의 상징으로 이를 모방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한 대목이 눈길을 끌거니와 유사 이래 이 이국異國에 대한 수요는 끊인 적이 없었으니 삼국사기만 봐도 진귀한 화초와 기이한 금수를 왕들이 좋아했다는 기록이 있는 걸 보면 그에 대한 수요는 본능 아닌가 싶다.

하긴 뭐 로마놈들이 그리스 조각을 약탈한 이유도 이거였고, 그 물동이 동나자 모방을 통한 욕구대리 충족에 나섰으니 그런 짜가들이 지금은 세계의 보물로 취급되고 있으니 아이러니 아니겠는가?

혹 아는가? 아프리카 치타가 멸종할지언정 저런 남획 약탈 덕분에 그네가 멸종에서 벗어났다는 감사의 말을 듣게 될 날 있을지 말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