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중대 고승으로 담날의 아들이고 설총의 아버지
삼국사기 권 제46(열전 제6) 설총 열전 : 설총薛聰은 자가 총지聰智이고 할아버지는 나마 담날談捺이며 아버지는 원효元曉인데, 처음에 승려가 되어 불경을 두루 통달하고 얼마 후에 환속하여 스스로 소성거사小性居士라 했..(중략)..세상에 전하기는 일본국 진인眞人이 신라 사신 설薛 판관判官에게 준 시의 서문에 『일찍이 원효거사가 지은 금강삼매론金剛三昧論을 읽고 그 사람을 보지 못한 것을 깊이 한탄하였는데, 신라국 사신 설씨가 거사의 손자라는 것을 듣고, 비록 그 할아버지를 보지는 못하였어도 그 손자를 만나니 기뻐서 이에 시를 지어 드린다.』고 했다.
삼국유사 권 제1 기이 1 태종무열왕 : <고기古記>에는 이렇게 말했다. “총장總章 원년 무진(戊辰; 668, 총장總章 무진戊辰이라면 이적李勣의 일이니 하문下文에 소정방蘇定方이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만일 정방定方의 일이라면 연호는 용삭龍朔 2년 임술壬戌에 해당하며 평양平壤을 포위했을 때의 일이다)에 신라에서 청한 당나라 군사가 평양 교외에 주둔하면서 글을 보내 말하기를, '급히 군자軍資를 보내 달라'고 했다. 이에 왕이 여러 신하를 모아 놓고 묻기를 '고구려에 들어가서 당나라 군사가 주둔한 곳으로 간다는 것은 그 형세가 몹시 위험하다. 그러나 우리가 청한 당나라 군사가 양식이 떨어졌는데 군량을 보내 주지 않는다는 것도 옳지 못하니 어찌 하면 좋겠는가' 했다. 이에 김유신이 아뢰었다. ‘신 등이 군자軍資를 수송하겠사오니 대왕께서는 염려하지 마십시오’라고 했다. 이에 유신庾信·인문仁問 등이 군사 수만 명을 거느리고 고구려 국경 안에 들어가 곡식 2만 곡斛을 갖다주고 돌아오니 왕이 크게 기뻐했다. 또 군사를 일으켜 당나라 군사와 합하고자 할 때 유신이 먼저 연기然起·병천兵川 두 사람을 보내서 그 합세할 시기를 물었다. 이때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종이에 난새[鸞]와 송아지[犢] 두 그림을 그려 보냈다. 신라 사람들은 그 뜻을 알지 못하여 사람을 보내서 원효 법사法師에게 물었다. 원효는 해석하기를, '속히 군사를 돌이키라는 뜻이니 송아지와 난새를 그린 것은 두 물건이 끊어지는 것을 뜻한 것입니다' 했다. 이에 유신은 군사를 돌려 패수浿水를 건너려 할 때 명을 내려 '뒤떨어지는 자는 베리라' 했다. 이리하여 군사들이 앞을 다투어 강을 건너는데 반쯤 건너자 고구려 군사가 쫓아와서 아직 건너지 못한 자를 잡아 죽였다. 그러나 이튿날 유신은 고구려 군사를 반격하여 수만 명을 잡아 죽였다.”
삼국유사 제3권 흥법興法 제3 동경흥륜사東京興輪寺 금당십성金堂十聖 : 동쪽 벽에 앉아서 서쪽으로 향한 이상泥像은 아도我道ㆍ염촉(염촉)ㆍ혜숙惠宿ㆍ안함安含ㆍ의상義湘이다. 서쪽 벽에 앉아서 동쪽을 향한 이상은 표훈表訓ㆍ사파蛇巴ㆍ원효ㆍ혜공惠空ㆍ자장慈藏이다.
삼국유사 제3권 흥법興法 탑상塔像 제4 전후소장사리前後所將舍利 : 여기에 기록되어 있는 의상전義湘傳을 상고해 보면 이러하다. "의상은 영휘永徽 초년(650)에 당나라에 들어가 지엄선사智儼禪師를 뵈었다"한다. 그러나 부석사浮石寺 본비本碑에 의하면, "의상은 무덕(武德) 8년(625)에 태어나 어려서 중이 되었다. 영휘永徽 원년 경술庚戌(650)에 원효元曉와 함께 당나라에 들어가려고 고구려에 갔다가 어려운 일이 있어서 그대로 돌아갔다. 용삭龍朔 원년 신유辛酉(661)에 당에 들어가 지엄법사에게 배웠다.
삼국유사 제3권 흥법興法 탑상塔像 제4 낙산이대성洛山二大聖 관음觀音ㆍ정취正趣, 조신調信 : 그 후에 원효법사元曉法師가 뒤를 이어 와서 여기에 예禮를 올리려 하였다. 처음에 남쪽 교외郊外에 이르자 논 가운데에서 흰 옷을 입은 여인이 벼를 베고 있었다. 법사法師가 희롱삼아 그 벼를 달라고 청하니, 여인은 벼가 잘 영글지 않았다고 대답했다. 또 가다가 다리 밑에 이르니 한 여인이 월수백月水帛을 빨고 있다. 법사가 물을 달라고 청하자 여인은 그 더러운 물을 떠서 바쳤다. 법사는 그 물을 엎질러 버리고 다시 냇물을 떠서 마셨다. 이때 들 가운데 있는 소나무 위에서 파랑새 한 마리가 그를 불러 말했다. "제호(醍호) 스님은 쉬십시오." 그리고는 갑자기 숨고 보이지 않는데 그 소나무 밑에는 신 한 짝이 벗겨져 있었다. 법사가 절에 이르자 관음보살상觀音菩薩像 자리 밑에 또 전에 보던 신 한 짝이 벗겨져 있으므로 그제야 전에 만난 성녀聖女가 관음의 진신眞身임을 알았다. 때문에 당시 사람들은 그 소나무를 관음송觀音松이라 했다. 법사는 성굴聖窟로 들어가서 다시 관음의 진용眞容을 보려고 했으나 풍랑風浪이 크게 일어나 들어가지 못하고 그대로 떠났다..중략...이에 간자簡子를 만들어 절을 지을 곳을 점쳤더니 낙산洛山 위가 제일 좋다고 하므로 여기에 불전佛殿 3칸을 지어 그 불상을 모셨다(고본古本에는 범일梵日의 일이 앞에 있고, 의상義湘과 원효元曉의 일은 뒤에 있다. 그러나 상고해 보건대, 의상義湘과 원효元曉 두 법사法師의 일은 당唐나라 고종高宗 때에 있었고, 범일梵日의 일은 회창會昌 후에 있었다. 그러니 연대年代가 서로 120여 년이나 차이가 난다. 그런 때문에 지금은 앞뒤를 바꾸어서 책을 꾸몄다. 혹은 범일梵日이 의상義湘의 문인門人이라고 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말이다.).
삼국유사 제4권 의해意解 제5 이혜동진二惠同塵 : 이때 원효가 여러 가지 불경의 소疏를 찬술하고 있었는데, 언제나 혜공 스님에게 가서 묻고 혹은 서로 희롱도 했다. 어느날 혜공과 원효가 시내를 따라 가면서 물고기와 새우를 잡아먹다가 돌 위에서 대변을 보았다. 혜공이 그를 가리키면서 희롱의 말을 했다. "그대가 눈 똥은 내가 잡은 물고기일 게요." 이런 일이 있었기 때문에 이 절을 오어사吾魚寺라 했다. 어떤 사람은 이것을 원효대사의 말이라 하지만 이는 잘못이다. 세상에서는 그 시내를 잘못 불러 모의천芼矣川이라고 한다.
삼국유사 제4권 의해意解 제5 원효불기元曉不羈 : 성사聖師 원효(元曉)는 속성이 설씨薛氏다. 조부는 잉피공仍皮公 또는 적대공赤大公이라고도 하는데 지금 적대연赤大淵 옆에 잉피공 사당이 있다. 아버지는 담날내말談捺乃末이다. 원효는 처음에 압량군押梁郡 남쪽(지금의 장산군章山郡) 불지촌佛地村 북쪽 율곡栗谷 사라수裟羅樹 밑에서 태어났다. 그 마을 이름은 불지佛地인데 혹은 발지촌發智村(속언俗言에 불등을촌弗等乙村이라 한다)이라고도 한다. 사라수란 것을 속언에 이렇게 말한다. "스님의 집이 본래 이 골짜기 서남쪽에 있었다. 그 어머니가 태기가 있어 이미 만삭인데, 마침 이 골짜기에 있는 밤나무 밑을 지나다가 갑자기 해산하였으므로 몹시 급했으므로 집에 돌아가지 못하고 남편 옷을 나무에 걸고 그 속에서 지냈기 때문에 이 나무를 사라수라 했다." 그 나무 열매가 또한 이상하여 지금도 사라율裟羅栗이라 한다. 예로부터 전하기를, 옛적에 절을 주관하는 자가 절의 종 한 사람에게 하루 저녁 끼니로 밤 두 알씩을 주었다. 종이 적다고 관청에 호소하자 관리는 괴상히 여겨 그 밤을 가져다가 조사해 보았더니 한 알이 바리 하나에 가득 차므로 도리어 한 알씩만 주라고 판결했다. 이런 이유로 율곡栗谷이라 했다. 스님은 이미 중이 되자 그 집을 희사喜捨해서 절로 삼고 이름을 초개사初開寺라고 했다. 또 사라수 곁에 절을 세우고 사라사裟羅寺라고 했다. 스님 행장行狀에는 서울 사람이라고 했으나 이것은 조부가 살던 곳을 따른 것이고, <당승전唐僧傳>에는 본래 하상주下湘州 사람이라고 했다. 상고해 보건대, 인덕麟德 2년 사이에 문무왕文武王이 상주上州와 하주下州 땅을 나누어 삽량주(삽良州)를 두었는데 하주는 곧 지금의 창령군昌寧郡이요, 압량군押梁郡은 본래 하주 속현屬縣이다. 상주는 지금의 상주尙州이니 상주湘州라고도 한다. 불지촌은 지금 자인현慈仁縣에 속해 있으니, 바로 압량군에서 나뉜 곳이다. 스님은 아명兒名이 서당誓幢이요, 또 한 가지 이름은 신당新幢(당幢은 우리말로 모毛라고 한다)이다. 처음에 어머니 꿈에 유성流星이 품 속으로 들어오더니 이내 태기가 있었으며, 장차 해산하려 할 때는 오색 구름이 땅을 덮었으니, 진평왕眞平王 39년 대업大業 13년 정축丁丑(617)이었다. 나면서 총명하고 남보다 뛰어나서 스승을 따라 배울 것이 없었다. 그의 유방遊方의 시말始末과 불교를 널리 편 큰 업적들은 <당승전唐僧傳>과 그의 행장에 자세히 실려있으므로 여기에는 모두 싣지 않고 오직 향전鄕傳에 있는 한두 가지 이상한 일만을 기록한다. 스님이 일찍이 어느날 풍전風顚을 하여 거리에서 다음과 같이 노래를 불렀다. 그 누가 자루 없는 도끼를 내게 빌리겠는가/나는 하늘 떠받칠 기둥을 찍으리. 사람들이 아무도 그 노래의 뜻을 알지 못했다. 이때 태종太宗이 이 노래를 듣고 말했다. "이 스님은 필경 귀부인貴婦人을 얻어서 귀한 아들을 낳고자 하는구나. 나라에 큰 현인賢人이 있으면 이보다 더 좋은 일이 없을 것이다." 이때 요석궁瑤石宮(지금의 학원學院이 이것이다)에 과부 공주公主가 있었는데 왕이 궁리宮吏에게 명하여 원효를 찾아 데려가라 했다. 궁리가 명을 받들어 원효를 찾으니, 그는 이미 남산南山에서 내려와 문천교蚊川橋(사천沙川이니 사천沙川을 속담에는 모천牟川, 또는 문천蚊川이라 한다. 또 다리 이름을 유교楡橋라 한다)를 지나다가 만났다. 이때 원효는 일부러 물에 빠져서 옷을 적셨다. 궁리가 원효를 궁에 데리고 가서 옷을 말리고 그곳에 쉬게 했다. 공주는 과연 태기가 있더니 설총薛聰을 낳았다. 설총은 나면서부터 지혜롭고 민첩하여 경서經書와 역사에 널리 통달하니 신라 10현賢 중 한 사람이다. 방언方言으로 중국과 외이外夷의 각 지방 풍속과 물건 이름 등에도 통달하여 육경六經과 문학文學을 훈해訓解했니, 지금도 우리 나라에서 명경明經을 업業으로 삼는 사람이 이를 전수傳受해서 끊이지 않는다. 원효는 이미 계戒를 잃어 총聰을 낳은 후로는 속인俗人 옷으로 바꾸어 입고 스스로 소성거사小姓居士라고 했다. 그는 우연히 광대들이 가지고 노는 큰 박을 얻었는데 그 모양이 괴상했다. 원효는 그 모양을 따라서 도구道具를 만들어 <화엄경華嚴經>에서 말한 "일체 무애인(無애人)은 한결같이 죽고 사는 것을 벗어난다"는 문구를 따서 이름을 무애(無애)라 하고 계속하여 노래를 지어 세상에 퍼뜨렸다. 어느날 이 도구를 가지고 수많은 마을에서 노래하고 춤추면서 교화시키고 읊다가 돌아오니, 이 때문에 상추분유(桑樞분유) 확후(확候)의 무리들로 하여금 모두 부처의 이름을 알고, 나무아미타불(南無阿彌타佛)을 부르게 하였으니 원효의 교화야말로 참으로 컸다 할 것이다. 그가 탄생한 마을 이름을 불지촌佛地村이라 하고, 절 이름을 초개사初開寺라 하였으며 스스로 원효라 한 것은 모두 불교를 처음 빛나게 했다는 뜻이다. 원효도 역시 방언이니, 당시 사람들은 모두 향언鄕言의 새벽이라고 한다. 그는 일찍이 분황사芬皇寺에 살면서 <화엄경소華嚴經疏>를 지었는데, 제4권 십회향품十廻向品에 이르러 마침내 붓을 그쳤다. 또 일찍이 송사訟事로 몸을 백송百松으로 나눴으므로 모든 사람이 이를 위계位階의 초지初地라고 말했다. 또한 바다 용의 권유로 해서 노상에서 조서(詔書)를 받아 <삼매경소(三昧經疏)>를 지었는데, 붓과 벼루를 소의 두 뿔 위에 놓았으므로 각승(角乘)이라 했다. 이것은 또한 본시이각(本始二覺)이 숨어 있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대안법사(大安法師)가 이것을 헤치고 와서 종이를 붙였는데 이것은 또한 지음(知音)하여 서로 창화(唱和)한 것이다. 그가 세상을 떠나자 아들 총이 그 유해(遺骸)를 부수어 소상(塑像)으로 진용(眞容)을 만들어 분황사에 모시고, 공경하고 사모하여 종천(終天)의 뜻을 표했다. 설총이 그때 곁에서 예배하자 소상이 갑자기 돌아다보았는데, 지금까지도 돌아다본 그대로 있다. 원효가 일찍이 살던 혈사(穴寺) 옆에 설총이 살던 집 터가 있다고 한다. 찬(讚)한다. 각승(角乘)은 처음으로 <삼매경(三昧境)>의 축(軸)을 열었고 / 무호舞壺는 마침내 1만 거리 바람에 걸었네 / 달 밝은 요석궁(瑤石宮)에 봄 잠 깊더니 / 문 닫힌 분황사(芬皇寺)엔 돌아다보는 소상(塑像)만 비었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