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나라 17-18세기에 소위 광작운동,
자본가적 차지농이 조선에도 있었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을 텐데
조선시대 17세기 호적을 보면
자본가적 차지농은 나올 수가 없는 상황이다.
백보 양보해서 노비가 급격히 사라지는 18세기 후반이나 되야 한 번 비슷한 모습을 꿈꿔 볼 만한데
필자 생각으로는 우리나라 호적 상황을 보면
17세기에도 지주-전호제가 과연 얼마나 있었을지도 의심스럽고
대부분이 노비 사역에 의해 농업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었던 것이 아닌가
당시 호적이 이렇게 시퍼렇게 눈을 뜨고 살아 있고
일기에서는 화폐경제는 고사하고 장에 나가 물물 교환이 대부분임을 웅변하고 있는데
도대체 우리나라에 광작운동
화폐경제
자본의 본원적 축적이 이루어지고 있었다고 본 기존의 연구는
도대체 어떤 부분에 근거를 두고 이루어진 것인가?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급무사가 이룬 메이지유신, 재벌도 뼈대있는 양반출신이라는 한국 (0) | 2025.07.24 |
---|---|
이른바 "문중", 대종중 (1) | 2025.07.24 |
한국근대사를 만화로 만드는 문중들 (0) | 2025.07.24 |
볼 만하고 봐야 할 덴버 자연사박물관 (0) | 2025.07.24 |
키아리 기형이란? (0) | 2025.07.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