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장원과 지주-전호제

by 초야잠필 2024. 7. 25.
반응형

소작료 운반

 

확신할 수는 없지만 

필자는 대토지 겸병-장원과 

지주-전호제는 휴경 극복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라 본다. 

휴경이 극복 안된 상태에서 정기적으로 땅을 놀려야 수확이 되는 수준의 농법에서는 

소농민이 자립을 할 수가 없다. 

농사는 어느 정도 토지가 집적화 되어 그 중 일부를 놀릴 수 있는 정도로 

대규모 겸병-장원이 성립되어야 했을 것이므로

필자 생각에는 우리나라도 삼국시대 이후 조선시대 이전까지는 

이러한 모양의 대규모 겸병-장원 외에 

자립한 소농민이 있었다 해도 그 수는 극히 적었으리라 본다. 

 

임태도 소작 쟁의 장면을 소개할 때 등장하는 장면인데 맞나? 암튼



어쩄건 휴경이 극복되어 소농민이 작은 땅이라도 부쳐 먹고 살수가 있는 시대가 되어야 

장원은 해체되고 지주와 전호 사이에 소작제로 넘어가지 않았을까. 

그 시점은 조선 전기-중기 어간의 어느 시기일 것이다. 

우리는 "손바닥 만한 땅을 부쳐 먹는 소작인"이 굉장히 오래되었거나, 

원래 자유농민이 토지를 침탈 당하여 소작인으로 전락되었다고 생각하는데 

그게 아니라 소농민이 소작인 형식으로라도 자립하게 된 것은

한국사에서 본다면 얼마 안되는 셈이다.

조선전기-중기 후기라고 본다면 

길어 봐야 600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