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과 한국사가 역사상 두 번의 위기가 있었다면
필자가 보기엔 몽골 간섭기도 아니고, 임진왜란도 아니고,
바로 한군현 시기와 일제시대다.
이 두 시대는 한국을 침략해 들어온 두 세력과의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역량이
그야말로 엄청난 차이가 있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이 때문에 한국사 자체에도 큰 영향을 남겼다.
전자의 경우 당시 한 제국의 영향 하에 들어간 지역 중
그 후 독립하여 별도의 문명을 형성한 지역이 단 한 군데도 없다는 점에서
(베트남은 천년 후 독립)
그 당시 한국인의 조상이라 할 한반도와 남만주 일대 사람들이
얼마나 큰 위기였는지 알 수 있다.
두 번째는 일제시대로
이 역시 이 시기로 들어가기 전 조선 사회가
18세기 말까지도 노비사역이 끝나지 않은
동아시아의 다른 국가에 비해서도 낙후된 상태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 후 19세기, 20세기를 거쳐 21세기의 4분의 1을 지난 시점에서
한국이 선진국 반열에 진입한 것은 거의 기적에 가깝다는 생각이다.
어떻게 이렇게 되었는지, 이제는 좀 자신감도 갖고
냉정히 17, 18세기부터 지금까지의 역사를
차분히 복기할 때도 되지 않았을까.
뭐 좀 이야기 해 볼 만하면 정치적인 입장이 치고 들어오는 통에
우리나라는 이 두 번째 위기가 어떻게 극복되었는지
지금도 잘 모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혹자는 한국인이 열심히 일해서,
다른 혹자는 박정희 이승만이 뛰어 났기 때문에,
또 다른 혹자는 그 반대편의 입장에 선 사람들이 훌륭했기 때문이라는 건데,
그런 식으로 이 220년에 걸친 드라마틱한 대 반전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일까.
사실 한국사의 첫 번째 위기라 할 한군현의 설치와 그 극복까지도
냉정하게 바라보면 아직 제대로 그 과정이 설명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천년 전의 사건까지도 요즘의 정치적 입장이 반영되어 갑론을박하는 것을 볼 때
한국사에서 19-21세기에 펼쳐진 이 기적같은 대 반전극은
앞으로 천년 후에도 제대로 설명할 수 없게 될지도 모르겠다.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 노년의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룩과 이를 잡아라, 나폴레옹을 박살 낸 장티푸스 (0) | 2025.08.28 |
---|---|
아래 유스티니아누스 판데믹에 대하여 (0) | 2025.08.28 |
[연구소식] Korean Mummies of the Joseon Kingdom (1) | 2025.08.28 |
구한말의 조선과 검안檢案 서류 (1) | 2025.08.28 |
한일 학계가 주목해야 할 야요이 농경의 기원 (1) | 2025.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