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족보가 말하는 경화사족

by 신동훈 識 2025. 7. 26.
반응형

족보라는 것이 허구가 많다는 이야기를 했지만

잘 살펴보면 재미있는 구석이 많은 책이다. 

한 집안 대동보를 살펴보면

조선후기로 들어가면 소위 말하는 경화사족이 뚜렷이 나타난다. 

벼슬이 안 끊어지는 정도가 아니라 청요직을 넘나드는 이들은 같은 문중이라도 대개 

서울 아니면 그 근교 경화사족들이고 

지방으로 내려가면 지역을 막론하고 

간신히 먹고 사는 사람들 천지에 벼슬도 청요직을 가리지 않고

말단 벼슬이라도 허겁지겁 취한 흔적이 역력하다. 

이런 상황은 조선 후기로 갈수록 점점 심해져

소위 말하는 수도권 사족들의 권력 독점 현상이 두드러진다. 

흔히 조선시대 당쟁 하면 무슨 지역들끼리 싸운 것으로 이해 하는 사람도 많은데 

그것이 아니고 사실 사색당파라 해도 조선 후기 들어오면 번듯한 사람들은 당색을 막론하고 

죄다 수도권에 살았던지라 이들이 바로 경화사족이다. 

다산이 자기 아들들에게 너희는 절대로 서울 떠나지 말라고 한 이유가 있다. 

조선시대 18-19세기쯤 되면 그때까지도 지방에서 살고 있던 사족들은 

극히 예외적 존재를 제외하면 죄다 개털이 된 상태였다. 

조선 후기에 당쟁에 따라 어느어느 지역 소외론 어쩌고 하는 것이

잘못 짚은 부분이 많다는 이야기다. 

조선후기의 대립은 경화사족과 지방사족들의 대립이 더 크지

서울 사는 경화사족들끼리는 알콩달콩 지들끼리 알고 지내니 

그것이 우리가 아는 탕평이다. 

18-19세기 지방 사족들? 

자칫 하다간 사족에서 떨려 나갈 판이라

전전긍긍하는 개털이 태반이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