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ho'sWho in Ancient Korea

호공瓠公

by taeshik.kim 2019. 7. 1.
반응형

?~?. 신라 초기 때 대보까지 역임한 정치가로 왜인 출신이다. 주된 활동시기는 박혁거세 이래 탈해니사금 시대에 걸친다. 왜인으로 바다를 건너 신라에 정착할 때 허리에 박을 차고 왔으므로 이런 이름을 얻었다. 양산 아래 좋은 땅에 살다가 탈해한테 그 땅을 빼앗기니, 이곳이 나중에 월성이 되었다. 


국사기 권 제1(신라본기 제1) 박혁거세 : 38년(서기전 20) 봄 2월에 호공(瓠公)을 마한(馬韓)에 보내 예방禮訪했다. 마한왕이 호공을 꾸짖어 말하기를 "진한과 변한 두 나라는 우리의 속국인데 근년에 공물(貢物)을 보내지 않으니, 큰 나라를 섬기는 예의가 이와 같은가?" 하니 대답하기를 "우리 나라는 두 성인이 일어나서부터 인사(人事)가 잘 다스려지고 천시(天時)가 순조로와, 창고는 가득 차고 백성은 공경하고 겸양할 줄 압니다. 그래서 진한의 유민으로부터 변한 , 낙랑 ,왜인에 이르기까지 두려워하는 마음을 품지 않음이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 임금님은 겸허하게 신하인 저를 보내 안부를 묻게 하였으니, 예가 지나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대왕께서는 크게 노하여 군사로써 위협하니 이것이 무슨 마음입니까?"라고 했다. [마한]왕이 격분하여 그를 죽이려고 했지만 좌우 신하들이 간언諫言하여 말리니, 이에 돌아갈 것을 허락했다. 이보다 앞서 중국 사람들이 진秦나라의 난리를 괴로워하여 동쪽으로 오는 사람이 많았는데, 그 다수가 마한 동쪽에 터를 잡고 진한 사람들과 더불어 섞여 살았다. 이때 이르러 점점 번성해진 까닭에 마한이 그것을 꺼려서 책망한 것이다. 호공이라는 사람은 그 종족과 성姓은 자세히 알 수 없으나 본래는 왜인이었다. 처음에 박을 허리에 매고서 바다를 건너온 까닭에 호공瓠公이라 불렀다. 

삼국사기 권 제1 신라본기 1 탈해니사금 : 탈해는 처음에 고기잡이를 업業으로 삼아 그 어머니를 봉양하였는데, 한 번도 게으른 기색이 없었다. 어머니가 말하기를 "너는 보통 사람이 아니다. 골상骨相이 특이하니 마땅히 학문을 하여 공명을 세워라."고 하였다. 이에 오로지 학문에만 힘써 지리地理까지도 겸하여 알았다. 양산 아래 호공瓠公 집을 바라보고는 길지吉地라 여겨 속임수를 써서 그곳을 빼앗아 살았는데, 그 땅은 후에 월성月城이 되었다. 2년(서기 58) 봄 정월에 호공을 대보大輔로 삼았다.… 9년(서기 65) 봄 3월에 왕이 밤에 금성 서쪽 시림始林 숲에서 닭 우는 소리를 들었다. 날이 새기를 기다려 호공을 보내 살펴보게 하였더니, 금빛이 나는 조그만 궤짝이 나뭇가지에 걸려 있고 흰 닭이 그 아래에서 울고 있었다. 호공이 돌아와서 아뢰자, 사람을 시켜 궤짝을 가져와 열어 보았더니 조그만 사내아기가 그 속에 있었는데, 자태와 용모가 기이하고 컸다. 왕이 기뻐하며 좌우의 신하들에게 말하기를 "이는 어찌 하늘이 나에게 귀한 아들을 준 것이 아니겠는가?" 하고는 거두어서 길렀다. 성장하자 총명하고 지략이 많았다. 이에 알지閼智라 이름하고 금궤짝으로부터 나왔기 때문에 성을 김金라 하였으며, 시림을 바꾸어 계림鷄林이라 이름하고 그것을 나라이름으로 삼았다.

삼국유사 권 제1 기이 1 제4대 탈해왕(脫解王) : 말을 끝내자 그 아이는 지팡이를 끌고 두 종을 데리고 토함산(吐含山) 위에 올라가더니 돌집을 지어 7일 동안을 머무르면서 성(城)안에 살 만한 곳이 있는가 바라보았다.  산봉우리 하나가 마치 초사흘달 모양으로 보이는데 오래 살 만한 곳 같았다.  이내 그곳을 찾아가니 바로 호공(瓠公)의 집이었다. 아이는 이에 속임수를 썼다.  몰래 숫돌과 숯을 그 집 곁에 묻어 놓고, 이튿날 아침에 문 앞에 가서 말했다. "이 집은 우리 조상들이 살던 집이오."  호공은 그렇지 않다 하여 서로 다투었다.  시비(是非)가 판결되지 않으므로 이들은 관청에 고발하였다. 관청에서 묻기를, "무엇으로 네 집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느냐"하자, 어린이는 말했다. "우리 조상은 본래 대장장이었소. 잠시 이웃 고을에 간 동안에 다른 사람이 빼앗아 살고 있는 터요. 그러니 그 집 땅을 파서 조사해 보면 알 수가 있을 것이오." 이 말에 따라 땅을 파니 과연 숫돌과 숯이 나왔다.  이리하여 그 집을 빼앗아 살게 되었다. 

삼국유사 권 제1 기이 제1 김알지(金閼智) : 영평(永平) 3년 경신(庚申; 60, 중원中元 6년이라고도 하나 잘못이다.  중원中元은 모두 2년 뿐이다) 8월 4일에 호공(瓠公)이 밤에 월성月城 서리西里를 걸어가는데, 크고 밝은 빛이 시림(始林; 구림鳩林이라고도 함) 속에서 비치는 것이 보였다.  자줏빛 구름이 하늘로부터 땅에 뻗쳤는데 그 구름 속에 황금(黃金)의 궤가 나뭇가지에 걸려 있고, 그 빛은 궤 속에서 나오고 있었다.  또 흰 닭이 나무 밑에서 울고 있었다. 이 모양을 호공(瓠公)은 왕에게 아뢰었다.  왕이 그 숲에 가서 궤를 열어보니 동남(童男)이 있는데 누웠다가 곧 일어났다.  이것은 마치 혁거세(赫居世)의 고사(故事)와도 같았으므로 그 말에 따라 그 아이를 알지(閼知)라고 이름지었다.  알지(閼知)란 곧 우리말로 소아(小兒)를 일컫는 것이다.  그 아이를 안고 대궐로 돌아오니 새와 짐승들이 서로 따르면서 기뻐하여 뛰놀고 춤을 춘다. 왕은 길일(吉日)을 가려 그를 태자太子로 책봉했다.  그는 뒤에 태자 자리를 파사왕(破娑王)에게 물려 주고 왕위王位에 오르지 않았다. 금궤金櫃에서 나왔다 하여 성(姓)을 김씨(金氏)라 했다. 



반응형

'Who'sWho in Ancient Kor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해치질금(脫解齒叱今)  (0) 2019.07.01
탈해니사금(脫解尼師今)  (0) 2019.07.01
현유玄遊  (0) 2018.09.28
승철(僧哲)  (0) 2018.09.28
현태(玄太)  (0) 2018.09.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