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황하유역의 가축사육

by 초야잠필 2024. 9. 2.
반응형

길림성 돼지사육

 

중국의 동물 사육을 보면 흥미로운 것이, 

잡곡 기반 황하유역이 도작 기반 장강유역보다 가축사육이 훨신 집약적인 모습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잡곡 농사를 짓는 황하유역에서는 돼지 등 가축 사육도 장강유역보다 일찍 시작되었고 사육이 시작된 후에도 돼지를 우리에 가두어 길렀다. 

쉽게 말해서 돼지를 먹이를 주어 가둬 키웠다는 말이다. 

때문에 황하유역 돼지는 집돼지 특징이 더 많이 나타난다. 

반면에

장강유역은 돼지사육이 시작된 시점도 늦고, 돼지도 가두지 않고 놔서 길렀다. 

사방을 돌아다니며 자기가 알아서 줏어 먹고 다녔다는 것으로, 이 때문에 장강유역 돼지는 사육돼지 형태를 덜 갖춘 모습으로 멧돼지와 더 비슷한 모양의 돼지였다는 것이다, 

요약하면, 

가축사육에 관한한 황하유역이 장강유역보다 훨씬 집약적이고, 다양한 종류의 가축을 키우고 있었다 그 말이다. 

자, 이제 눈을 돌려 한반도와 일본열도를 보자. 

삼국지 위지동이전을 열어보기 바란다. 

위로는 부여부터 아래로는 왜까지 이야기가 있는데 어떤 동물을 키우고 있는지가 죽 적혀 있다. 

부여, 고구려, 예, 삼한, 왜의 순으로 북쪽에서 남쪽으로 내려오면 가축사육의 양상이 어떠한가? 

한반도도 중국과 판박이란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부여 고구려 등 북쪽 국가들이 가축사육이 더 활발하고 남쪽의 왜는 소와 말도 없는 상태였다. 

도작은 가장 왕성한 상태였을 텐데 말이다. 

이 말은, 

한반도와 만주, 위로는 부여에서 남쪽으로 왜에 이르기까지

잡곡에서 도작으로 바뀌어 가는 모양은 중국의 황하유역에서 장강유역으로 이어지는 지리적 변화와 판박이로, 

한국사의 초기 고조선, 부여, 고구려는 황하유역과 더 유사한 형태의 농업사회였던 반면, 

한반도 남부 해안 지역과 일본열도는 장강유역과 더 가까운 형태의 도작사회였다는 말이 되겠다. 

잡곡기반의 황하유역보다 도작 기반의 장강유역이 더 우월하지 않듯이

잡곡기반의 부여 고구려가 도작 기반의 한반도 남부, 왜 보다 더 열등하지 않음은 당연한 일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