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콘돔이 히말라야 양치기 양곱창에서 비롯?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4. 19.
반응형

 

히말라야 산맥 기슭 외로운 목동들은 양 내장intestines을 오랫동안 콘돔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그러다 18세기 영국이 이 지역을 정복하면서 이 방식을 배워서 양 내장으로 콘돔을 개발했다고 하는데..

콘돔은 어떤 웨일스 출신 영국인이 양 내장을 이용해 개발했다 하는데 뭔가 썩 와 닿지 않는다. 

콘돔이 양곱창이란 말인가? 

내친 김에 콘돔을 찾아봤다.

제법 육중한 양식을 가장한 논문 같은 2015년 글이 한 편 보이니

그 요약을 보면 다음과 같다.


콘돔은 역사 전반에 걸쳐 호기심 대상이었으니, 안전한 성관계라는 개념은 고대와 현대 역사에서 탐구되었며, 성병 예방에도 사용되었다.

우리는 1차 및 2차 자료, 그리고 RSM 도서관과 인터넷을 활용하여 콘돔에 대한 역사적, 의학적 고찰을 수행했으니, 이러한 자료들은 콘돔이 최초로 사용된 것은 크레타 섬 미노스 왕이었음을 밝혀준다.

그의 아내 파시파에Pasiphae는 미노스 왕이 자기 정액에는 "전갈과 뱀"이 들어 있어 여자를 죽인다는 소문을 듣고, 염소 방광을 질에 넣어 왕이 자신을 해치지 못하도록 했다.

이집트인들은 콘돔과 유사한 귀두 캡을 다양한 색깔로 염색하여 계층을 구분하고 빌하르츠 주혈흡충bilharzia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했다.

고대 로마인들은 동물 방광을 여성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했다.

이는 임신을 막기 위해서가 아니라 성병 감염을 막기 위해서였다.

발명가 찰스 굿이어 Charles Goodyear는 고무를 가단성 구조로 변형시키는 가황 공정을 이용해 라텍스 콘돔을 제작했다.

20세기와 21세기에 전 세계적으로 콘돔 사용이 증가한 것은 HIV와 관련이 있다.

콘돔 사용에 대한 이 설명은 원시적인 개념이 어떻게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도구로 발전했는지를 보여준다.

2015년에만 180억 개 콘돔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이를 보면 히말라야 내장 운운한 이야기는 과장이 아닌가 싶다. 

그나저나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전통시대 어떤 방식으로 피임했는지 내가 무덤히도 찾았지만 이거다! 하는 뚜렷한 방식을 내가 아직 찾지 못했다. 

한국에서는 거의 증언이 없지만 중국이나 일본에는 분명 있을 성 싶고 이것이 곧 한국의 피임방식이리라 본다. 

눈썰미 밝은 독자들은 혹 꼬불쳐둔 자료 있음 풀어주시기 간곡 부탁드린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