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NA의 아버지 제임스 왓슨, 97세로 별세
DNA 구조의 공동 발견자 중 한 명으로 노벨상을 수상한 미국 과학자 제임스 왓슨James Watson이 향년 97세로 별세했다고 BBC가 8일(한국시각) 보도했다.
20세기 가장 위대한 발견자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왓슨은 1953년 영국 과학자 프랜시스 크릭Francis Crick과 함께 DNA의 이중나선 구조double-helix structure of DNA를 밝혀내 분자생물학의 급속한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그러나 그의 명성과 위상은 인종과 성별에 대한 발언으로 크게 손상되었다.
그는 한 TV 프로그램에서 유전자가 흑인과 백인의 지능지수(IQ) 차이를 유발한다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견해를 언급했다.
왓슨의 사망 소식은 그가 수십 년간 연구한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Cold Spring Harbor Laboratory에서 BBC에 공식적으로 확인되었다.
왓슨은 DNA 이중나선 구조 발견 공로로 1962년 모리스 윌킨스Maurice Wilkins, 크릭과 함께 노벨상을 수상했다.
그들은 당시 "우리는 생명의 비밀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후 인종 문제에 대한 발언으로 과학계에서 소외감을 느꼈다고 털어놓았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캐번디시 연구소Cavendish Laboratory에서 근무한 그는 2007년 타임스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아프리카의 전망에 대해 본질적으로 비관적"이라며 "우리의 모든 사회 정책은 아프리카인의 지능이 우리와 동일하다는 사실에 기반하지만, 모든 검사 결과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 발언으로 그는 뉴욕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장직을 잃었다.
2019년, 그가 인종과 지능의 연관성을 다시 한번 시사한 발언으로 연구소는 그의 명예 총장직, 올리버 R 그레이스 명예 교수직, 명예 이사직을 박탈했다.
연구소 측은 성명을 통해 "왓슨 박사의 발언은 비난받을 만하며 과학적으로 뒷받침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DNA는 1869년에 발견되었지만, 연구자들은 아직 그 구조를 밝혀내지 못했으며, 과학자들이 DNA가 세포의 유전 물질을 구성한다는 사실을 깨닫기는 1943년이 되어야 가능했다.
킹스 칼리지 연구원 로잘린드 프랭클린Rosalind Franklin이 그녀 자신도 모르게 얻은 이미지를 이용하여 크릭과 왓슨은 분자의 물리적 모형을 구축할 수 있었다.
크릭, 왓슨과 노벨상을 공동 수상한 모리스 윌킨스Maurice Wilkins는 프랭클린과 함께 DNA 분자의 구조를 규명하는 데 참여했다.
왓슨은 2014년 자신의 노벨 금메달을 경매에서 480만 달러(360만 파운드)에 팔았는데, 인종 차별 발언 이후 과학계에서 소외감을 느껴 메달을 포기하겠다고 밝혔다.
한 러시아 억만장자가 480만 달러에 메달을 사들인 후 곧바로 그에게 돌려주었다.
왓슨은 1928년 4월 시카고에서 영국,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정착민의 후손인 진과 제임스 부부의 딸로 태어났다.
그는 15세에 시카고 대학교 장학금을 받고 유학했다.
그곳에서 그는 X선을 원자에 반사시켜 내부 구조를 드러내는 새로운 회절 기술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DNA 구조 연구를 계속하기 위해 그는 케임브리지로 가서 크릭을 만났고, 그와 함께 DNA의 가능한 구조에 대한 대규모 모형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훗날 과학적 발견 이후, 왓슨과 그의 아내 엘리자베스는 하버드로 이주했고, 그는 그곳에서 생물학 교수가 되었다.
부부는 두 아들을 두었는데, 그중 한 명은 조현병을 앓았다.
1968년, 그는 뉴욕 주에 있는 콜드 스프링 하버 연구소를 인수했다.
이 연구소는 오랜 역사를 자랑하며, 그는 이 연구소를 세계 최고의 과학 연구 기관 중 하나로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
꼭 그 한 사람이 창안했겠는가?
DNA 이중나선 구조 발견은 여러 분야에서 혁명이었다.
범죄현장에서는 범인을 색출하는데 쓰고, 고고학에서는 DNA 없이는 아무것도 못하는 시절이다. [물론 한국고고학은 DNA 까막눈이다. DNA 아랑곳없이 여전히 형식분류타령이다.]
그런 점에서 고고학 관점에서 본다면 현대 고고학 아버지는 왓슨이다.
내가 이 소식을 특별히 논급하는 이유도 고고학에서 비롯한다.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공기로 가득찬 멘카우레 피라미드, 새로운 입구 암시? (0) | 2025.11.08 |
|---|---|
| 눈대중 물고기 어종 판별은 가라! 콜라겐 지문 분석법 도입 (0) | 2025.11.08 |
| 바오밥나무가 살아가는 힘은 날개에 있다 (1) | 2025.11.08 |
| 8천년 이래 죽죽 이어진다는 아르헨티나 혈통 (0) | 2025.11.08 |
| 고대 DNA가 8,500년 간 지속된 아르헨티나 혈통을 밝혀내다 (0) | 2025.1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