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모아이 석상 본고장 라파누이는 유럽 이전 이미 가뭄으로 생고생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11. 7.
반응형

담수원을 강조한 라파누이 해발 고도 지도. 출처: Communications Earth & Environment (2025). DOI: 10.1038/s43247-025-02801-4

 

이스터 섬에서 실제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고대 퇴적물이 '생태계 대량학살' 이야기를 다시 쓰다

by Columbia Climate School

담수원이 강조된 라파누이 섬 고도 지도. 출처: Communications Earth & Environment (2025). DOI: 10.1038/s43247-025-02801-4

라몬트-도허티 지구 관측소Lamont-Doherty Earth Observatory 연구원들이 주도한 새로운 연구는 1550년 무렵 시작된 수 세기 동안 가뭄이 모아이 석상으로 유명한 남태평양 라파누이Rapa Nui(이스터 섬Easter Island)의 삶을 변화시켰다는 가장 명확한 증거를 제시한다.

과학자들은 이 섬의 몇 안 되는 담수원 두 곳, 즉 고지대 습지인 라노 아로이Rano Aroi와 분화구 호수crater lake인 라노 카오Rano Kao에서 퇴적물 코어sediment cores를 수집했다.

연구팀은 코어 내 식물 잎 왁스plant leaf waxes의 수소 동위원소hydrogen isotope 구성을 분석해 800년간의 과거 강우 추세 기록을 재구성했다.

그 결과, 연간 강수량이 감소하여 1세기 이상 낮은 수준을 유지했음을 보여주었다.

커뮤니케이션즈 어스 앤 인바이런먼트(Communications Earth & Environment) 저널에 게재된 이 연구 결과는 오랫동안 사회적 "붕괴collapse"에 대한 고정관념에 도전하는 것이 아니라, 라파누이족 공동체가 심각한 기후 스트레스에 대한 회복력이 있음을 보여준다. [기상 변화로 고생했다는 것이 아니라 그걸 이겨낸 이야기가 중심이라는 뜻이다.]

컬럼비아 기후대학Columbia Climate School은 주저자 레드먼드 스타인Redmond Stein과 함께 연구팀이 이러한 역사를 어떻게 밝혀냈는지, 그리고 기후와 문화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어떤 의미를 갖는지 인터뷰했다.

문 : 습지 퇴적물의 잎 왁스를 사용하여 어떻게 그렇게 오래전 라파누이 섬의 강우량을 재구성할 수 있었습니까? 라파누이 섬의 기후 역사를 연구하는 데 이 접근법이 기존 방법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답 : 호수와 습지 퇴적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천천히 축적되며, 퇴적 당시의 기후 및 환경 조건에 대한 많은 정보를 보존합니다. 많은 과학자가 이전에 라파누이 섬 퇴적물을 연구하고 원소 함량, 꽃가루 및 식물 거대화석, 퇴적물 축적 속도 변화 등을 관찰하여 과거의 환경 변화를 추론했죠. 이러한 대리 자료는 매우 귀중하지만 기온, 강수량, 인간의 토지 이용 변화와 같은 여러 기후 및 환경 변수에 따라 복잡하게 반응하는 경우가 많다. 

반대로, 라파누이 섬의 잎 왁스는 지역적인 강우량과 건조도에 대한 정보만 기록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습지 퇴적물에 보존된 잎 왁스의 구성을 측정함으로써(이 왁스의 "무거운" 수소와 "가벼운" 수소의 비율은 식물이 비에서 흡수하는 물의 수소 비율에 따라 달라짐) 우리는 16세기에 라파누이에서 발생한 가뭄의 규모를 처음으로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었습니다.  

문 : 분석 결과, 라파 누이 섬에는 16세기 중반부터 수 세기 동안 장기간 가뭄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가뭄은 얼마나 심각했으며, 섬의 사회적 또는 문화적 변화와 어떤 관련이 있었습니까? 

답 : 잎 왁스 분석을 바탕으로, 라파 누이 섬 강수량은 지난 3세기 동안의 강수량에 비해 연간 약 600~800mm(24~31인치)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추정된 가뭄의 시기는 의식용 "아후ahu" 제단 건설의 감소, 라노 카오Rano Kao 호수가 중요한 의식 장소로 부상한 것, 그리고 모아이 석상을 통해 계승된 조상의 혈통이 아닌 운동 경기를 통해 권력을 획득할 수 있었던 "탕가타 마누Tangata Manu"라는 새로운 형태의 사회 계층 구조의 시작 등 몇 가지 주요 문화적 ​​변화와 일치합니다. 

고고학자들이 이러한 사건들의 정확한 시기를 파악하는 것은 어렵고, 16세기에서 18세기 사이 라파누이 섬의 사회가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논쟁이 있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우리는 이 섬의 인간 지형이 그 이전 세기와는 상당히 달랐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문 : 귀하의 연구는 라파누이 섬의 역사에 대한 오랜 '생태적 대량학살ecocide'이라는 주장에 이의를 제기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에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로 인한 변화에 대한 귀하의 연구 결과는 이러한 주장에 어떻게 더욱 이의를 제기합니까? 섬의 역사에 대한 이러한 보다 섬세한 관점을 통해 대중이 무엇을 얻기를 바라십니까? 

답 : 생태적 대량학살이라는 주장은 라파누이 섬 주민들이 삼림 벌채를 통해 섬을 파괴했고, 결국 18세기 유럽인들의 접촉 이전에 사회적 갈등과 인구 붕괴의 시기를 초래했다고 주장합니다.

이 이야기는 세계적인 과소비에 대한 우화로 널리 알려졌으며, 라파누이 주민들을 스스로 파괴의 설계자로 묘사합니다.

라파누이 섬이 점진적으로 삼림 벌채되었고 이것이 섬의 주요 생태적 변화를 의미한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많은 연구에서 생태적 대량학살 가설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유럽인들 도착 이전에 인구 붕괴가 있었다는 강력한 증거가 없다는 것입니다. 

저희 연구와 다른 연구들은 라파누이 섬 주민들이 16세기부터 가뭄에 시달렸으며, 이는 이미 담수가 부족한 이 섬의 삶에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시사합니다.

중요한 것은, 저희의 가설이 단순히 지역 기후가 변했거나 사회적·정치적 위계가 함께 변화했거나 삼림 벌채가 중요하지 않았다는 것이 아니라, 기후가 라파누이 인류 역사에 중요한 맥락을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강우량 감소가 어떤 메커니즘으로 어려운 상황을 초래했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이것이 토양 침식 문제를 악화시켰는지, 식수 감소로 이어졌는지, 사람들이 새로운 담수 자원을 찾도록 만들었는지, 아니면 식생의 생장력에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는 아직 불분명합니다.

그럼에도 저희 연구는 라파누이 섬의 역사가 생태적 살상이라는 이야기가 암시하는 것보다 훨씬 더 미묘하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문 : 라파누이 섬의 기후 변화와 주민들이 기후 변화에 적응한 방식에서 얻은 교훈 중 현재 기후 변화에 직면한 우리에게 도움이 될 만한 것이 있을까요? 

답: 가장 큰 교훈은 사람들이 회복력이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의 기후 변화에 직면하여 이미 그 영향에 맞서고 있는 라파누이 섬과 다른 태평양 섬 주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들의 관점과 통찰력은 이 연구에서 얻을 수 있는 어떤 것보다 오늘날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훨씬 더 적합할 것입니다. 저희의 연구는 현대 사회를 위한 새로운 우화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기존의 우화에 맞서는 것입니다. 

문 : 이 연구 다음 단계는 무엇입니까?

답: 우리는 라노 아로이Rano Aroi에서 지난 약 5만 년 동안의 퇴적물 퇴적을 포함하는 훨씬 더 긴 잎 왁스 동위원소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기록을 활용하여 남동태평양의 대기 순환이 훨씬 더 긴 시간 단위에서 기후 강제력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더 잘 이해하고자 합니다.

라파 누이는 칠레 해안에서 3,000km 이상, 그리고 다음 유인도에서 1,500km 이상 떨어진 외딴 남동태평양 중심부에 위치합니다.

이곳은 이 지역 유일한 육상 퇴적물 공급원이므로 과거 지역 대기 역학이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한 매우 독특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남동태평양 대기 순환에 대한 제어는 잘 이해되지 않았고 모델 시뮬레이션에서도 잘 표현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의 기록은 궁극적으로 지역 기후를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More information: Redmond Stein et al, Prolonged drought on Rapa Nui during the decline of megalithic monument construction, Communications Earth & Environment (2025). DOI: 10.1038/s43247-025-02801-4 

Journal information: Communications Earth & Environment 
Provided by Columbia Climate School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