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만년 전 인골서 아데노바이러스·헤르페스바이러스·유두종바이러스 검출

2024년 5월에 공개된 소식이라, 이에 따르면 두 개 유골에 분석 결과, 약 5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이 오늘날에도 현대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현생 인류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고 한다.
뉴 사이언티스트(New Scientist)는 이 고대 바이러스 흔적이 지금까지 발견된 인간 바이러스의 가장 오래된 잔해라고 보도했다.
이는 시베리아에서 3만 1천 년 된 유치 한 쌍에서 발견된 감기 바이러스보다 약 2만 년 더 오래된 것이다.
과학자들은 러시아 알타이 산맥에 위치한 차기르스카야 동굴Chagyrskaya cave에서 발견된 두 명 남성 네안데르탈인 유골에서 추출한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이 고대 바이러스를 발견했다.
여러 염기서열이 바이러스 유래로 추정되어 연구팀은 이 염기서열을 평생 감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현대 바이러스와 비교했다.
연구팀은 고대 샘플과 현대 샘플 간에 바이러스 DNA 특정 특징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하여 이 바이러스가 유골을 만진 현대인이나 유골을 먹은 포식자로부터 유래했을 가능성을 배제했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들은 현재 멸종된 우리와 가장 가까운 친척들이 현생 인류에게 흔한 세 가지 바이러스, 즉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헤르페스바이러스herpesvirus, 그리고 유두종바이러스papillomavirus에 감염되었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현생 인류의 경우, 아데노바이러스는 감기 및 독감 유사 증상, 인후통sore throat, 결막염pink eye 등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성병인 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은 생식기 사마귀genital warts와 특정 유형 암을 유발할 수 있으며, 다른 헤르페스바이러스는 입술 헤르페스cold sores, 수두chickenpox 또는 "단핵구증mono"을 유발할 수 있다.
네안데르탈인에서 발견된 헤르페스바이러스는 입술 헤르페스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가장 유사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연구진은 이번 발견이 약 4만 년 전에 멸종된 네안데르탈인 멸종에 바이러스가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이론을 뒷받침하는 물리적 증거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2024년) 5월 21일 사전 인쇄 서버 bioRxiv에 게재된 연구 결과는 아직 동료 평가를 거치지 않았다.
연구팀은 언젠가 이러한 바이러스가 합성되어 실험실 배양 접시에서 현대 인간 세포를 감염시키는 데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고대 바이러스와 현대 바이러스를 비교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오늘날 질병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발견은 인류 역사 전반에 걸친 바이러스 진화와 질병에 대한 이해를 넓혀줄 뿐만 아니라, 특히 백신과 항바이러스 치료와 관련하여 새로운 의학적 접근법 개발의 길을 열어줄 수도 있다"고 브라질 상파울루 연방대학교 생물정보학 교수이자 공동 선임 연구 저자인 마르셀루 브리오네스Marcelo Briones는 성명을 통해 밝혔다.
브리오네스는 "고대 바이러스학 분야가 확장됨에 따라 과거 질병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밝혀짐으로써 현대 질병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질병 퇴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고대 바이러스를 부활시킨다는 아이디어가 우려스럽게 들릴 수 있지만, 한 전문가는 New Scientist에 이러한 일이 가까운 시일 내에 실현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호주 퀸즐랜드 공과대학 고유전학자 샐리 와세프Sally Wasef는 New Scientist에 "바이러스 DNA가 어떻게 손상되는지, 그리고 복구된 조각들을 완전한 바이러스 유전체로 재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완전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것이 가능할지 회의적이다"라고 말했다.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뼈로만 남은 사람들, 그 위대한 얼굴 복원에의 여정[1] (0) | 2025.07.27 |
---|---|
최악 물가뭄 아테네, 2천년 전 하드리아누스 로마 수로까지 개통 (1) | 2025.07.26 |
천년전 북송시대 산서성 분양汾阳 부부묘 발굴 공개 (1) | 2025.07.26 |
한漢나라 때 미성년자 공동묘지는 따로 있었다 (1) | 2025.07.26 |
평성경 한 구역에서 기와 길게 깐 흔적 나와 (2) | 2025.07.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