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소식은 간헐로 전했거니와, 그것을 일단 종합한 공식 발표가 이번 조사를 담당한 국립해양유산연구소(소장 이은석)를 통해 10일 나왔으니,
듣자니 지금 이 순간에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기자님들 불러다 놓고선 우리 이런 거 바다에서 건졌는데, 그 의미는 무엇이다! 이런 자랑스런 자리를 갖는 모양이다.
암튼 저에 따르면 침몰난파선 지뢰밭으로 일컫는 태안 마도 해역에서 올해 4월 이후 현재까지 바다에서 알려진 유일한 조선시대 선박인 '마도4호선'(이런 이름은 말할 것도 없이 조사단에서 부여한 것이다.]에 대한 선체 인양을 시작해 지난달 작업을 마치는 한편, 추가로 새로운 난파선이 묻혀있는 징후도 확인했다 한다.
더 중요한 지점은 추가 난파선 징후다. 이는 곧 저 연구소가 막대한 할 일이 또 생겼다는 징후인 동시에 그네들 존재가치를 발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임은 불문해도 가지하다.
연구소는 이 마도4호선이 "2015년 수중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조운선으로, 역사 속 기록으로만 전해지던 세곡 운반선의 실체를 드러낸 귀중한 수중유산"이라 평가한다.
실제 이 난파선에서는 ‘나주광흥창羅州廣興倉’이라는 글자를 새긴 목간 60여 점을 비롯해 공납용 분청사기 150여 점 중 ‘내섬內贍’이라는 글씨가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이 배가 "전라도 나주에서 거둬들인 세곡과 공물을 싣고 한양 광흥창으로 향하던 중 난파되었음을 보여준다.
선박 안에서 발굴된 분청사기는 15세기 전반에 제작되었으며, 선박의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결과(1410~1433년)를 토대로 1420년경에 침몰한 조선 전기 세곡선으로 밝혀졌다"고 덧붙였다.
광흥창이란 조선시대 관료의 녹봉을 관리하던 정부기구로 현 서울 마포구 한강변 일대에 있었으며, 내섬은 조선시대 궁궐 공물과 외빈 접대용품을 관리하던 관청인 ‘내섬시內贍寺’를 줄임한 말이다.
마도4호선은 2015년 발굴한 후 보호를 위해 다시 바닷속에 매몰한 선체를 발굴 10주년을 맞아 올해 침몰 600여 년 만에 인양한 것이다.
특히 지금까지 한반도 해역에서는 통일신라(1척, 강화 인근 바다로 기억한다)와 고려(17척) 고선박이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바 있는데, 이번 인양으로 조선시대 선박 실물 자료를 처음으로 확보한 의미가 무엇보다 크다.
이번 마도4호선 조사를 통해 연구소는 조선 전기 선박 특징으로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한다. [아 물론 이는 조선시대 선박 1척을 대상으로 한 것이라, 이를 일반화할 수는 없다.]
▲ 고려 선박이 중앙에 돛대 한 개만 세운 것과는 달리 마도4호선은 앞부분과 중앙에 각각 돛대를 설치한 쌍돛대 구조로, 이를 통해 항해 속도를 높이고, 바람 방향에 따른 조정이 용이했을 것으로 보인다.
▲ 고려 선박이 목재를 세로로 배열해 앞판[선수부船首材]을 조립한 반면, 마도4호선은 가로로 배열해 내구성을 높였다.
▲ 큰 나무못과 보조못을 함께 사용한 고려 선박과 달리, 마도4호선은 작은 나무못을 다수 사용해 선체를 정밀하게 연결했다.
▲ 선체 수리에 쇠못을 사용했으며, 이는 기존 확인된 선박들이 나무못을 사용한 것과는 다르게 우리나라 고선박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사례다.

한편,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마도4호선 인양을 진행하는 동시에, 음파탐사로 마도 해역 일대를 조사하던 중 또 다른 고선박 흔적을 확인했다.
이후, 잠수 조사를 실시한 결과, 청자 다발 2묶음 87점(1150~1175년경 제작, 접시 65점, 완 15점, 잔 7점), 목제 닻과 밧줄, 볍씨 등과 함께 고선박 선체 조각과 화물받침목(통나무)을 발견했다.
유물 구성과 양상은 마도 1·2호선과 유사한 것으로 드러나 곡물과 도자기를 운반하던 선박이 추가로 침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소에 따르면, ‘바닷속의 경주’라고 일컫는 태안 마도 해역에서 발굴된 고려 선박들 침몰 시기가 각각 태안선(12세기 후반), 마도1호선(1208년), 마도2호선(1210년경), 마도3호선(1265∼1268년경) 순서로 추정되는 가운데, 새로운 ‘마도5호선’이 발견되면 이 중에서 가장 이른 시기로 볼 수 있어, 2026년에는 이를 규명하기 위한 발굴에 주력할 예정이라 한다. [봤제?]
2026년은 한국 수중발굴 개시 50주년을 맞는 해다. 이에 연구소를 이를 위한 여러 프로그램을 준비중이라고 전했다.
***
이번 건은 연구소에서 하도 일목요연히 보도자료를 잘 썼기에 거의 전재하는 수준으로 전한다.
'maritime archae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rchaeologists salvage 600-year-old shipwreck off Korean Peninsula, identifying new evidence of another wreck (0) | 2025.11.10 |
|---|---|
| 화보로 전하는 태안 마도4호선 조선시대 선박과 새로운 마도 고려 침몰선 흔적 (0) | 2025.11.10 |
| 1,700년 전 화물 잔뜩 실은 로마 상선 스페인 마요르카 해안서 발견 (0) | 2025.11.05 |
| 13세기 말레이 난파선 풀라우 멜라카서 발견 (0) | 2025.11.04 |
| 나가사키 해저에서 세 번째 몽고 침몰선 용골 접합점 확인 (0) | 2025.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