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구려정벌2

너무 잘난 형을 둔 흠순欽純 (1) 형을 찾아가 조언을 구한 동생 형이 아니었더래면, 형만 없었더래면, 내가 주인공이 될 수 있었을 텐데. 그 자신은 이런 식으로 통탄했을지 모르나, 그 잘난 형을 빌어 출세가도를 달리기도 했다는 사실을 망각한 푸념 아니겠는가? 그래도 그 잘난 형이 아니었더래면, 삼국사기 열전 첫머리는 내가 장식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하에서 통곡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열권에 지나지 않는 그 전체 열전 중 첫 세 권을 몽땅 형이 가져갔으니, 아무리 김부식이라도 그렇지 이런 파격은 너무하지 않겠는가? 그 잘난 형 때문에 어쩌면 가장 심하게 저평가되었을지도 모르는 김흠순金欽純. 삼국사기 권 제42 열전 제3 김유신(下)에는 고구려 정벌군을 일으킨 문무왕이 그 진용을 짜면서 총사령관에 김유신을 앉히고, 그를 보좌하는 부사령관 양날개로는 김흠순과 김인문을 .. 2023. 6. 14.
풍질로 주저앉은 총사령관 김유신 감국監國이란 글자 그대로는 나라를 돌본다는 뜻이니, 이는 비상시에 군주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할 때 그것을 대리하는 일을 말한다. 보통은 다음 보위를 이을 세자나 태자가 하지만, 그가 어리거나 병들거나 했을 적에는 중신(重臣) 중에서 명망이 높인 이를 골라 맡기기도 한다. 명망이 높아야 하는 까닭은 그래야 비상사태에 반란을 억누를 수 있는 권위와 힘이 있기 때문이다. 삼국시대에 이런 감국이 흔했을 것이나, 역사에서 확인하는 실례는 거의 없으니, 이는 기록의 소략함에서 기인한다. 그런 가운데서 역시나 김유신이 감국을 한 일을 발견할 수 있으니, 668년 고구려 정벌 전쟁에서 그가 수도 계림(혹은 금성이라도 했다)에 남아 감국을 했음이 확실하다. 문무왕 김법민은 아들을 늦게 본 듯하다. 삼국사기 문무왕본기 5.. 2023. 6.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