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농사6 농사農事란? 농업農業이란? 지은 모습 지어가는 모습이 한없이 아름다우나 결코 내가 직접할 수는 없는 직업이다. 이 괴리에서 무수한 낭만과 얼토당토 않은 개소리가 넘쳐난다. 내 꿈은 그런 농촌 탈출이었고 그런 농사로부터의 회피였다. 2020. 11. 7. 엄마의 텃밭 이제 그만 농사를 지었으면 하지만 글타고 아예 말라 할 순 없는 노릇이고 모든 자식이야 노부 노모가 소일거리 정도로 혹은 운동 삼아 텃밭 정도나 가꾸었음 하지만 생평을 몸을 혹사한 습성 때문인지 그 텃밭조차 생업이 되고 마니 저 작은 텃밭 하나 건사하는 데도 뇐네 허리가 휘어지고 무릎이 나간다. 멧돼지 고라니와는 사투 중이니 저 허수아비들이 무에 보람이나 있겠냐 싶기도 하다. 보기엔 탐스러우나 이 하나 건사하느라 등골이 남아돌지 않는다. 한 포기 병든 배추가 있어 내가 살피니 고라니가 아닌 벌레 소행이라 그것이 못내 걱정되는 듯 내일 아침 농약을 친댄다. 저 하나 건사하느라 하루에도 수시로 들락한다. 집에서 거리는 수백미터밖에 되지 아니하나 이것저것 쉼없이 실어나르고 또 고추 딴다 바구니 지고 나간다. .. 2020. 10. 2. 저 광활한 논을 바라보며 황달 현상을 일키는 들판 가을이다. 파주 임진각에서 저런 논을 소유하고 그에서 농사를 지어보는 게 내 선친의 꿈이었다. 나 역시 마찬가지였다. (2016. 9. 2) *** 계단식 논이 아닌 저런 넓은 평지에서 천수답이라 해서 비가 와야 모내기를 하는 그런 계단식 논이 아닌 저런 넓은 땅 큰 강을 낀 저런 벌판에서 농사지어 보는 게 꿈이었다. 혹자는 누구 탓도 아니요 안목이 없다 하겠지만 안목은 하루하루를 버텨내야 하는 사람들한테는 사치였다. 왜? 선친한테는 내일이 없었다. 오늘을 살아남아야 했으므로... 2020. 9. 2. 폭염에 들로 나갔다가 사망한 농민 기록적인 장마에 이은 폭염은 농민들 쉴 틈을 주지 않는다. 오죽 비에 시달렸는가? 곡물이 다 썩어 문드러지니 이 시점에선 농약 치는 일과 김 매는 일이 관건인데 문제는 폭염이다. 선친도 그 옛날 이런 폭염에 논에서 농약치다가 아주 갈 뻔한 적이 있었는데 그래도 요 며칠 동네를 살피니 아주 밤을 새며 농약을 치더라. 그나마 살아남은 작물로 수확기인 친구들도 밤새 불을 켠 채 작업을 하더라만 노인이 대부부인 농촌에서 요즘 같은 폭염에 한낮 야외 노동은 골로가기 십상이라 실제 어제 김천 어느 동네선 이런 일이 있었다는 알림이 김천시청에서 날아든다. 저 양반이라고 저리 하고 싶어 저리 했겠는가? 농민이라 해서 유별나게 부지런한 것도 아니다. 저들이라고 왜 쉬고 싶지 않겠는가? 그럼에도 죽음을 무릅쓰고 나갈 수밖.. 2020. 8. 19. 'Cheongje' Reservoir Monument (영천 청제비永川菁堤碑) 'Cheongje' Reservoir Monument at Yeongcheon-gun County, Gyeongsangbuk-do Province 영천 청제비 / 永川菁堤碑 Found by an academic research team in 1968, the stele was erected to commemorate the construction of an irrigation reservoir called ‘Cheongje 청제菁堤’, literally meaning "turnip" pond.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is rectangle monument of granite have inscriptions carved at different times. According t.. 2019. 4. 25. 밥상은 알알이 농부의 고통, 그 열매라 한시, 계절의 노래(28) 농부를 슬퍼하며[憫農] 2수 중 둘째 [당(唐)] 이신(李紳) / 김영문 選譯評 벼논을 매노라니태양은 중천 땀방울 벼 포기 밑땅에 떨어지네 그 누가 알리요밥상 위 밥이 알알이 모두가고통인 것을 鋤禾日當午, 汗滴禾下土. 誰知盤中餐, 粒粒皆辛苦.(2018.05.11.) 앞에서 소개한 이신의 「농부를 슬퍼하며(憫農)」 첫째 수와 짝을 이루는 시다. 첫째 수는 농부들이 겪는 구조적 모순을 강조하고 있다면, 둘째 수는 우리가 먹는 밥이 모두 농민이 흘린 땀방울임을 상기시키고 있다. 특히 이 시 마지막 두 구절은 거의 격언화 되어 중국인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다. 이신, 백거이, 원진, 장적(張籍) 등은 안사의 난(安史之亂) 이후 당나라 사회가 도탄에 빠지자 이를 문학적으로 드러내.. 2018. 5.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