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마야문명10

이빨을 미용한 마야인들 마야 문명에는 놀라운 미용 치과를 만든 숙련된 치과 의사들이 있었다.그들은 종종 보석 같은 옥을 치아에 박았고, 접착을 위해 천연 수지를 사용했다. 그들이 치아의 치수tooth's pulp를 해치지 않고 작은 구멍을 뚫어 치아 해부학에 대한 고급 이해를 보여주는 방법은 흥미롭다. 하지만 무엇이 마야인들을 이 치과 경계를 넓히게 만들었을까?아름다움, 지위, 혹은 영적인 신념을 위한 것이었을까? 그것은 그들의 가치와 그들의 문화에서 무엇을 존중했는지에 대해 많은 흥미로운 질문을 제기한다. 2025. 4. 23.
악어 모양으로 만든 마야 잔 Vessel in Form of a Crocodile 이라 했으니 악어를 본뜬 잔? 정도로 표현하면 되겠다.원산지는 중남이 과테말라이며 마야문명 소산이다.제작 시점은 서기 300-600년 무렵으로 본다.재질Medium을 Slip-painted ceramic with post-fire pigment라 표현하는데 이 말이 언뜻 와 닿지는 않는다.불에 굽고 나서 안료를 바른 도기라는 뜻 같은데 Slip-painted가 뭔지 모르겠다.슬립이 채색 재료인가?현재 소유한 기관은 미국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곧 라크마 lacma 다. 2024. 11. 22.
마야 붉은여왕을 덧씌운 가면 서기 672년에 제작된 붉은 여왕의 가면이라 하는데, 마야 문명은 연대가 불확실한 데가 많은 것으로 아는데 이건 왜 저리 구체 시점이 박혔는지 내가 확인은 못했다. 멕시코 팔렌케Palenque 마야 도시 유적 출토품이란다. 귀중한 경jadeite옥, 공작석malachite, 조개껍데기, 흑요석obsidian, 석회암으로 만든 이 마스크는 XIII 사원에 큰 영예로 묻힌 귀족 여성인 "붉은 여왕"의 유해를 장식했다. 경옥과 공작석의 녹색 색조를 지닌 이 장례 마스크는 착용자를 신과 연결하고 사후 세계에서 그들의 위치를 보장한다고 믿어지는 옥에 대한 마야의 경외심을 상징한다고. The Mask of the Red Queen, created in 672 CE from the Maya city of Palenq.. 2024. 11. 2.
과테말라 밀림에서 찾은 마야문명 과테말라가 토해 낸 1,700년 전 마야 옥 가면 올초에 우리는 과테말라 초치키탐Chochkitam 이라는 데서 벌어진 고고학 발굴성과를 전한 적 있다. 그 발굴성과 중에서도 옥가면에 집중한 것이었다. 마침 구글링 중에 그 발굴 전반을 소개한 아티클을 마주했으므로 그 전문을 번역해 소개한다. 일부 쓸데 없는 구절 한두 군데는 삭제했다. 보물로 가득 찬 1,700년 전 마야 무덤 발굴 "복권 당첨과 같은 행운" 과테말라 고고학도들이 마야 생물권 보호구역 Maya Biosphere Reserve 깊은 곳에서 서기 350년 무렵 만든 것으로 추정하는 마야 무덤 하나를 발굴했다. 발견 수석 연구원인 프란시스코 에스트라다-벨리(Francisco Estrada-Belli)는 이 일이 복권 당첨과 비슷하다고 묘사했다.. 2024. 7. 13.
마야 가면으로 덧칠한 과테말라 티칼 제2사원 가면 사원[Temple of the Masks]으로도 알려진 티칼 제2사원[Temple II at Tikal]은 현재 과테말라 고대 도시 티칼에 위치한 상징적인 마야 피라미드다. 8세기에 통치자 Jasaw Chan K'awiil 1세가 지은 이 사원은 높이가 약 38미터(125피트)다.눈에 띄는 특징으로는 외관에 새긴 복잡한 가면이 있으니, 아마도 신이나 중요한 조상을 상징하는 듯하다. Temple II는 대광장[Great Plaza] 건너편에 있는 제1신전 대재규어[Temple I, Great Jaguar] 사원을 마주하며 Tikal의 건축 및 문화 경관의 중심 부분을 형성한다.이 웅장한 건축물은 마야의 건축적 기량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마야의 풍부한 종교 및 의식 전통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2024. 6. 27.
마야의 외계인 우주비행사 신비로운 마야 팔렝케 우주 비행사 Palenque Astronaut 는 많은 학자와 애호가 모두의 상상력을 사로잡았다. 팔렝케에 있는 파칼 대왕 Pakal the Great 의 석관 뚜껑에 묘사된 이 인물은 마야 문명과의 외계 연관성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2024. 6.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