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추3

추어탕의 완성은 정구지로 서울 사투리로는 부추라 한다. 화려하다 하긴 힘드나 은은하되 살피면 이쁘지 아니한 구석이 없다. 누구 말대로 자세히 보아야 이쁘다? 그건 이쁘지 않단 말이다. 2023. 9. 30.
정구지에 실어보내는 만리심萬里心 자신은 없다만 정구지 아닌가 싶다. 서울 사투리로는 부추라 한다나 어쩐다나? 그리 넓지 아니한 수송동 공장 옥상은 이런 재미가 쏠쏠해 어제는 놓친 이 장면을 목도하니 이 정도면 소우주라 해도 좋겠다. 그러고 보니 정구지가 이 무렵 꽃을 피우던가 아리까리 하다. 이 작은 조우 확인하겠다고 김천 팔순 노모를 깨울 순 없잖은가? 그러고 보니 아들놈 군대가고 나온 첫 면회 손주 얼굴도 못보고 말았으니 요새 동네 인심 하도 야박해 접때는 누님이 내려간 일로 동네에서 소란이 좀 있었던 모양이라 제아무리 그 고향이라 해도 바이러스 옮길까봐 화성 다녀온 외계인 ET 취급한단다. 정구지가 바이러스 숙주는 아닐 터 그 정구지 실어 김천으로 보낸다. 정구지만 뚫어져라 바라봤더니 대추가 대가리를 친다. 나도 눈길 한 번은 달.. 2021. 9. 1.
2x9는 부추 둘 부추[韭子] 김우급(金友伋, 1574~1643) ​ 푸른 머리털 이슬비에 젖으니조석으로 잘라도 아직 남았네사람마다 열여덟 반찬 먹으니이 상서를 비웃지는 마시구려 翠髮和煙雨, 昏朝剪更餘. 人皆十八食, 莫笑李尚書 [해설] 제목 ‘구자韭子’는 ‘부추[韭菜]의 씨앗’을 이르지만, 시 내용으로 보면 ‘부추[韭菜]’ 그 자체를 읊은 것이다. 3행의 열여덟 반찬은 부추를 이르는 말이고 4행의 이 상서李尚書는 후위後魏의 명신 이숭李崇(455~525)이다. 이숭은 상서령 의동삼사尚書令儀同三司를 지냈고 부유하기로는 천하를 압도하여 수천 명을 부렸는데도 성품이 대단한 구두쇠여서 너절한 옷을 입고 거친 음식을 먹었는데, 끼니에 언제나 고기도 없이 부추 나물과 부추 절임만을 먹었다. 이숭 문객인 이원우李元祐가 어떤 이에게 “이.. 2019.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