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선암사3 낙화落花 꽃이 진다 서러워 할 필요없다. 오뉴월 소불알처럼 늘어졌다 해서 아까워할 필요도 없다. 꽃은 열매로 나아가는 필연의 과정이다. 2015. 5. 3 선암사에서 2020. 5. 4. 봄비 머금은 선암사 연녹색이 물기를 머금으면 창포 기름 바른 머리칼 같다. 그런 어느날 선암사는 온몸이 파충류였고 새순 뽕이파리 잔뜩 머금은 누에 핏줄 같았다. (2015. 5. 3 선암사엔 비가 왔다. 제법한 비였다.) 2020. 5. 3. 꽃우박 쏟아진 순천順天 선암사仙巖寺 문화재 기자 오래 했다 하면 다들 많이 봤겠지 이런 덴 물어볼 필요도 없겠지 하겠지만 서울은 차 타고 가는 곳이 아니라 책으로 읽고 테레비로 보는 데라 선암사라는 곳이 그러했다. 우짜다 그런 선암사를 딱 한번 가게 되었으니 그날 나는 선암사 하면 떠오르는 그 다리를 첨으로, 내 눈으로 봤다. 그날이 이맘쯤이라 하필이면 비가 제법 내렸는데 빗물 머금은 수풀 창포기름 발라 튀긴 두릅 같았다. 연무가 장관이라 그 연무 속으로 풍경은 제자리 멈춤이었다. 뒤안 돌았더니 꽃잎이 우박처럼 쏟아졌더라. 선암사는 꽃우박이다. 산란한 내 맘 같아 무척이나 씁씁했다는 기억 아련하다. 2019. 5. 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