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다 썸네일형 리스트형 광자대사(廣慈大師) 대안사(大安寺) 광자대사비(廣慈大師碑․950․광종 1년) : 유당(有唐) 고려국(高麗國) 무주(武州) 동리산(桐裏山) 대안사(大安寺) 광자대사비문(廣慈大師碑文)과 아울러 서문. 태상(太相) 전수예빈령(前守禮賓令) 원봉령(元鳳令) 겸지제고(兼知制誥) 상주국(上柱國) 사자금어대(賜紫金魚袋) 신(臣) 손소(孫紹)가 왕명을 받들어 비문을 짓고, 사찬(沙粲) (결락) 監 (결락) 賜緋魚 (결락) 는 비문을 쓰다. 대저 허공을 쳐서 메아리를 나타나게 하는 것은.. 윤다(允多) 대안사(大安寺) 광자대사비(廣慈大師碑․950․광종 1년) : 대사의 법휘는 윤다(允多)요, 자는 법신(法信)으로 경사(京師) 출신이다. 그의 조부모는 귀족으로서 고관(高官)을 역임하였으며, 효도와 의리를 소중히 여겨 충효의 본이 되었다. 이렇게 가문을 지켰지만, 난리가 나서 몰락하였다.☞법신(法信) ☞광자대사(廣慈大師) 법신(法信) 대안사(大安寺) 광자대사비(廣慈大師碑․950․광종 1년) : 대사의 법휘는 윤다(允多)요, 자는 법신(法信)으로 경사(京師) 출신이다. 그의 조부모는 귀족으로서 고관(高官)을 역임하였으며, 효도와 의리를 소중히 여겨 충효의 본이 되었다. 이렇게 가문을 지켰지만, 난리가 나서 몰락하였다.☞윤다(允多) ☞광자대사(廣慈大師)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