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침령산성3

사적으로 격상한 장수 침령산성 이 전북 장수 침령산성 관련 발굴소식은 이곳에서도 여러 번 전했으니, 그런 기존 소식들은 맨 아래 첨부하는 관련 링크를 참조해주시압. 이런 성과를 토대로 문화재청이 성벽 기준 둘레 497m인 이 산성을 7세기 초 백제가 축조한 후 고려 초기까지 사용했으며, 낙동강 유역의 신라세력과 금강 유역의 백제 세력의 접경지역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였다는 이유를 달라 사적 지정을 했거니와 기존에 소개한 사진들이기는 하지만, 이참에 관련 성과를 일목으로 요연하게 보는 효과도 있어 새삼 소개한다. ‘침령’이라는 명칭은 이 일대 고개 이름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만기요람」, 「대동지지」, 「해동지도」, 「대동여지도」 등의 조선시대 지리지를 보면 ‘침치’, ‘침치고성’, ‘침령’으로 보인다. 2005년 정밀지표조사 이래 20.. 2023. 8. 2.
장수 침령산성 목간은 도조신道祖神 공헌물? 장수 침령산성에서 출토된 목간 명문입니다. 글 내용은 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원 보고서는 군산대학교박물관, 장수군, 2019, 장수 침령산성Ⅱ -침령산성 2~3차 발굴조사(집수시설)- **** 이상 차순철 선생 보고 혹은 소개다. 저 판독 중 別道中在道◎村 이것만은 확실한 듯하다. 이것만 본다면 어디에서 헤어지는 길에 이런 뜻인 듯하다. 그렇다면 在 뒤는 장소가 나와야지 싶다. 道◎村은 지명이지 싶다. 別道中은 길을 헤어지는 와중에, 혹은 헤어지는 길에...정도 아닌가 한다. 그렇다면 이건 도조신道祖神과 관련 있을 수도 있다. 헤어질 적에 안녕을 기원하면서 여행을 관장하는 신, 도조신한테 바치는 신물神物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해 부여 능산리 절터 출토품으로 그것과 관련있다 하는 목간과 비교가 될 수도 있겠.. 2022. 11. 22.
장수 침령산성의 도르래 2011년 영월 정양산성에서 도르래 원리를 활용한 수문 개폐 시설이 발굴조사 결과 확인됐다는 소식에 전북 장수군청 이현석 하계사가 기다렸다는 듯이 카톡으로 전송해온 사진 중 몇 장이다. 아주 흡족한 이렇게 적었더라. 막 올러주신 수문개폐시설의 결정판 도르래가 유일하게 장수 침령산성에서 출토되었습니다~~^^ 우쭐한 표정이 눈에 선하다. 저거이 바로 수문을 개폐할 때 막음 장치인 판돌을 오르락내리락하던 장치..곧 도르래 부속품이다. 침령산성 이 석축 원형 우물에서 수습한 모양이라 그렇다면 저 도르래가 들고내린 물 막음용 판돌은 나왔느냐 물으니 유감스럽게도 그 판돌과 그 판돌을 내릴 때 바닥에 꽂아 고정하는 홈 파인 받침돌은 확인되지 아니했단다. 저 석축우물은 내가 현장을 본 것도 아니요 조사 간보고서도 당장.. 2020. 8.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