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백문화재연구원8 파주 칠중성 역사적 가치와 활용 학술대회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파주 칠중성 역사적 가치와 활용 2023. 9.8. 14:00~17:00 파주시민회관 소공연장 주최 PAJU 주관 재단법인 한백문화재연구원 후원 문화재청 경기도 2023. 9. 6. 파주 칠중성 역사적 가치와 활용 학술대회 파주 칠중성 역사적 가치와 활용 2023. 9. 8.(금) 14:00~17:00 파주시민회관 소공연장 모시는 글 파주시와 (재)한백문화재연구원은 '파주 칠중성 역사적 가치와 활용'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칠중성은 삼국사기 에 기록된 신라의 관방시설로, 임진강을 경계로 한 고구려와 신라, 당나라의 공방관게를 규명할 중요한 유적입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칠중성에 대한 중장기적인 보존.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준비한 뜻 깊은 자리입니다. 부디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파주시장 김경일 (재)한백문화재연구원 서영일 #칠중성 #한백문화재연구원 *** 유리가 하는 일은 무조건, 엎어놓고 홍보한다. 2023. 8. 30. [내가 본 박경식] (3) 정영호 몰래 문을 연 한백문화재연구원 한백문화재연구원 홈페이지 제공 정보를 따라 그 개원에 즈음한 주요한 움직임을 추리면 다음과 같다. 먼저 2005년 12월 2일 창립발기인 대회를 하고, 같은 달 14일 창립총회 및 이사회의를 하고는 이사장과 이사, 감사 등 정관 심의를 진행했다. 그리하여 이듬해 1월 6일 개원을 하고, 1월11일 설립 등기를 완료했으며 3월 3일 성수동에서 개원식을 공식으로 했다. 문화재청 발굴조사 승인은 2006년 4월 12일에 났다. 일사천리로 진행된 셈인데, 이걸 준비하느라 서영일과 방유리가 똥을 쌌다. 저 과정에서 박경식 형이 실은 나한테 이사로 들어와 주었으면 하고 의사타진을 했지만, 나는 현직 기자로서, 더구나 문화재 담당 기자로서 그건 곤란하다 해서 거절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거 보면 나도 참 당시만 해도.. 2023. 6. 30. [내가 본 박경식] (2) 한백문화재연구원 출범과 단국대 매장문화재연구소 해체 이번에 박경식 퇴임 기념논총이라 해서 나온 제1권 《한국 석조미술 연구》를 보면 그의 업적이라 해서 오만 잡가지가 나열되는 모습을 보는데 개중 하나가 보고서라 해서, 그가 직간접으로 간여한 문화재 조사 관련 보고서-말할 것도 없어 발굴보고서가 주류를 이루지만-도 망라했으니, 그 보고서는 다시 간행기관별로 크게 단국대 매장문화재연구소와 한백문화재연구원으로 대별함을 본다. 두 기관은 모두 그가 창립을 주도하고 그 오야붕적 자리를 차지한 까닭에 그가 그런 자리를 차지하는 한, 모든 보고서 작성자 명단 맨 꼭대기엔 항상 그의 이름이 올라가기 마련이라, 저 많은 보고서를 실제로 그가 작성했다 생각하면 오산이다. 두 기관은 성격이 판이하지만 계승적 관계다. 다시 말해 단국대학교라는 사립대학 부설기관으로 출범한 매장.. 2023. 6. 25. 서봉사 현오국사가 있던 자리 이와 관련한 자세한 소식은 이 블로그에 용인시 담당 학예연구사 이서현 선생이 정리한 아래 보도자료를 참고하기로 하시고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원위치 단서 확인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원위치 단서 확인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원위치 단서 확인 - 용인시, 5차 발굴조사서 중요한 근거 확보…추가 조사와 연구 진행할 계획 - 용인시가 서봉사지 5차 발굴조사에서 보물 제9호인 현오국사탑비의 historylibrary.net 이에 대한 내 생각은 현장 탐문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정리하기로 하되, 우선은 이번 발굴성과를 사진으로나마 감상해 주기 바란다. 2021. 4. 7. 2010년 화천 거례리유적 華川居禮里遺蹟 2010년 이명박 정부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한 사대강살리기사업 일환으로 한백문화재연구원이 조사한 화천 거례리 유적이다. 보다시피 청동기시대 주거지가 다닥다닥 나왔다. 개중에는 삼국시대 유적도 더러 있어, 고구려인지 백제인지의 석실분도 있었다고 내가 기억한다. 사진 저작권은 모두 한백으로 귀속한다지만 한백의 모든 사진은 내가 맘대로 사용한다. The Hwacheon Gurye-ri site It is the Hwacheon Gurye-ri site on the banks of the Bukhan River, surveyed by the Hanbaek Cultural Heritage Institute as part of the Four Rivers Project in 2010. The Bronze Age dw.. 2019. 12. 28.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