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차순철의 고고통신61

[학술대회소식] 함안 말이산고분군 13호분 별자리 발굴기념 고대 별자리 국제학술대회 함안 말이산고분군 13호분 별자리 발굴기념 고대 별자리 국제학술대회 2019년 8월 22일 목요일, 함안군청 대회의실 함안군과 한국천문연구원, 소남천문학사연구소 그리고 경남연구원에서는 함안 말이산 고분군 13호분에서 출토된 아라가야 별자리를 기념하기 위해 국내외 고(古)천문전문가들을 모시고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 한·중·일 고대별자리 비교를 통한 아라가야 별자리에 대한 천문학적 규명과 더불어 역사와 과학을 연계한 아라가야 별보기 체험 행사도 마련되어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야간 별관측행사와 8월 23일 말이산고분군 13호분 현장답사 및 자문회의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2019. 8. 13.
[발굴조사보고서] 광양 봉강 명암 사직단光陽鳳岡鳴岩社稷壇 《광양 봉강 명암사직단光陽鳳岡鳴岩社稷壇》 전남문화재연구원·광양시, 2019 광양시 봉강 명암사직단은 학술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중앙에 3단으로 된 제단시설을 중심으로 외곽으로 둘려진 壝(제단의 담장)이 방형으로 둘러져있고, 각 중앙에 문지가 있던 간격이 확인되었다. 계단은 제단 북쪽에 위치한다. 2019. 8. 13.
[발굴조사보고서] 진도 용장성 왕궁지珍島龍藏城王宮址 발굴조사 종합보고서 《진도 용장성 왕궁지珍島龍藏城王宮址 - 발굴조사 종합보고서發掘調査綜合報告書》 목포대학교박물관木浦大學敎博物館, 2019 사적 제126호 진도 용장성 왕궁지에 대한 발굴조사 종합보고서이다. 강도에서 진도로 거점을 옮긴 삼별초 근거지인 용장성에 대한 발굴조사 성과를 수록하고 있다. 2009년부터 2016년까지 이루어진 발굴조사결과 왕궁지와 궁성 그리고 각종 출토유물을 수록했다. 출토유물에 대한 검토결과 진도 용장성 왕궁지에 사용된 기와는 당시 남서해안 연안지역에 거주하던 기와제작자가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제주도 용장성과 오키나와 류구국 슈리성과 우라소애요도레 유적에서 발견되는데, 이에 대한 검토논고가 수록되어 있다. 한편 출토된 청동 합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月南社가 강진 月南寺를 창건하는 배경으로 본.. 2019. 8. 13.
[발굴조사보고서] 강화 관청리 유적 江華官廳里遺跡 《강화 관청리 유적江華官廳里遺跡 - 강화 관청리 도시계획도로(소로 2-86, 2-8호선) 발굴조사 보고서》한성문화재연구원, 2019 강화읍 관청리 일대에 소재했던 강도江都시기 고려 궁궐 관련 건물지 2019. 8. 12.
[발굴조사보고서] 파주 적성향교坡州積城鄕敎 《파주 적성향교坡州積城鄕敎 - 파주 적성향교 문화재 시·발굴조사 -》 고려문화재연구원高麗文化財硏究院, 2019 복원된 적성향교에 대한 시·발굴조사 결과 복원된 명륜당明倫堂 좌우에서 건물지와 축대築臺가 조사되었는데, 건물지는 동·서재東西齋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現 명륜당 하부로 건물지가 연결되는 것으로 보아 당초의 명륜당은 지금보다 서쪽에 위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9. 8. 12.
[답사&단상] 모형으로 보는 고고 전시물-국립제주박물관 삼양동 마을유적 국립제주박물관에 전시 중인 삼양동 마을유적 모형 전시물은 당시 마을공간과 거주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반영한 전시모형물이다. 모형물은 작은 공간 안에서 다양한 내용을 시간, 공간변화를 보여줄 수 있어야하는데, 고정된 모형들로 박진감 넘치는 모습을 만들기 위해서는 모형들의 모습이 시선을 따라서 움직이는 것처럼 연결되도록 공간을 구성하고 배치할 필요가 있다. 지금 삼양동 마을유적 모형을 살펴보면 그 유적 안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과 강조된 모습을 알 수 있다. 관람객의 시선은 마을 초입부에 세워진 망루와 그 아래쪽을 지나가는 사냥에서 돌아오는 일련의 사람들 모습에서 시작한다. 마을 안 모습은 새로운 집을 짓는 사람들과 연장을 만들거나 토기를 만드는 사람들의 모습을 각각 구분하여 공간배치가 이루어져 있다.. 2019. 8.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