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28 성충(成忠) 백제 멸기 의자왕 시대 충신으로 평가되는 인물. 왕이 주색에 빠지가 간언하다가 옥에 갖혀 죽었다. 죽기 전 외적이 백제를 치러온다면 수군은 마땅히 기벌포에서 막고, 육군은 침현(탄현)에서 막아서야 한다는 글을 올렸다.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의자왕 : 16년(656) 봄 3월에 왕은 궁녀와 더불어 주색에 빠지고 마음껏 즐기며[淫荒耽樂] 술 마시기를 그치지 아니하였다. 좌평 성충(成忠)이 극력 간언하자 왕은 분노하여 그를 옥에 가두었다. 이로 말미암아 감히 간언하는 자가 없었다. 성충이 옥중에서 굶어 죽었는데[死] 죽음에 임하여 글을 올려 말하였다.“충신은 죽어도 임금을 잊지 않는 것이니 원컨대 한 말씀 올리고 죽겠습니다. 신이 늘 때[時]를 보고 변화를 살폈는데 틀림없이 전쟁이 있을 것입니다.. 2018. 3. 6. 의직(義直) 삼국사기 권 제28(백제본기 제6) 의자왕 : 7년(647) 겨울 10월에 장군 의직(義直)이 보병과 기병[步騎] 3천 명을 거느리고 신라의 무산성(茂山城) 아래로 나아가 주둔하고, 군사를 나누어 감물성(甘勿城)과 동잠성(桐岑城) 두 성을 공격하였다. 신라 장군 유신이 친히 군사를 격려하여 죽기를 결심하고 싸워 크게 깨뜨리니 의직은 한 필 말을 타고 혼자 돌아왔다. 8년(648) 봄 3월에 의직이 신라 서쪽 변방 요거성(腰車城) 등 10여 성을 습격하여 빼앗았다. 여름 4월에 옥문곡(玉門谷)으로 군사를 나아가게 하니 신라 장군 유신이 맞아 두번 싸워 크게 이겼다. 20년(660) 조 : 6월에 ...소정방이 군사를 이끌고 성산(城山)에서 바다를 건너 우리 나라 서쪽의 덕물도(德物島)에 이르렀다. 신라 왕.. 2018. 3. 6. 석남오(石南烏)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14년(798) 여름 6월에 가물었다. 굴자군(屈自郡) 대사 석남오(石南烏)의 아내가 한꺼번에 아들 셋과 딸 하나를 낳았다. 2018. 3. 6. 김삼조(金三朝) 원성왕 때 시중을 역임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13년(797) 가을 9월에 나라 동쪽 지방에 누리가 곡식을 해쳤고, 홍수가 나서 산이 무너졌다. 시중 지원이 관직을 그만두었으므로 아찬 김삼조(金三朝)를 시중으로 삼았다. 2018. 3. 6. 지원(智原) 원성왕 때 시중을 역임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12년(796) 여름 4월에 시중 언승을 병부령으로 삼고 이찬 지원(智原)을 시중으로 삼았다. …13년(797) 가을 9월에 나라 동쪽 지방에 누리가 곡식을 해쳤고, 홍수가 나서 산이 무너졌다. 시중 지원이 관직을 그만두었으므로 아찬 김삼조(金三朝)를 시중으로 삼았다. 2018. 3. 6. 헌평(憲平) 원성왕 태자 김의영이 죽어서 받은 시호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10년(794) 봄 2월에 지진이 일어났다. 태자 의영(義英)이 죽어 시호를 헌평(憲平)이라 하였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2 원성대왕(元聖大王) : 왕에게는 손자가 다섯 있었으니, 혜충태자(惠忠太子)ㆍ헌평태자(憲平太子)ㆍ례영잡간(禮英잡干)ㆍ대룡부인(大龍夫人)ㆍ소룡부인(小龍夫人) 등이다. 대왕(大王)은 실로 인생의 곤궁하고 영화로운 이치를 알았으므로 신공사뇌가(身空詞腦歌. 노래는 없어져 자세치 못하다)를 지을 수가 있었다. 2018. 3. 6. 이전 1 ··· 3223 3224 3225 3226 3227 3228 3229 ··· 33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