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81 "네 놈 중국어가 나하추 중국어 같구나" 목은 이색은 외국어 습득 능력이 꽝이다. 비교적 어린 나이에 아버지 이곡이 벼슬살이를 하는 연경燕京으로 유학가서 그쪽에서 삼년 정도 생활을 하고는 외국인 특별전형에도 합격했지만 말이 도무지 되지 않았다. 하지만 글은 좀 되고 외국생활이란 프리미엄이 붙으니 귀국 뒤에는 외교분야에서 맹활약하게 되고 이것이 그의 출세 수단이 된다. 원이 회복 불능으로 쇠미하고 남경에 기반을 둔 명 왕조가 개창하자 외교사절로 목은이 남경에 간다. 그를 면담한 무뢰배 출신 황제 주원장은 양다리 걸치기 하는 고려에 야마가 한껏 돌았다. 대뜸 욕찌꺼리 퍼붓고는 "네놈이 중국 유학을 했다니 중국말로 대답해 보라"니 목은이 몇 마디 떠듬거린 모양이다. 그걸 듣던 깡패 원장이가 목은을 다시 경멸한다. "네 놈 중국어는 나하추納哈出의 중국.. 2018. 2. 13. 이성계의 이색李穡 정치학 고려말 지성계 주류로 침투한 주자성리학은 그 태생이 반불교다. 실제 주자의 각종 어록엔 요즘 이단에 대한 극언을 서슴지 않는 한국사회의 개독 윤리와도 흡사하다. 하지만 이들이 옹립한 성계 이씨는 성리학과는 거리가 전연 멀었으니 첫째 공부를 안했으며 둘째 생평을 전장에서 말 위에서 보냈다. 더구나 그는 철두철미 고려인이다. 이건 여진족 계통이냐는 문제와는 관계없다. 고려시대 지배계층에는 불교에 대한 증오가 거의 없다. 이들에겐 공자와 석가가 한몸이다. 부식 김씨가 그랬고 제현 이씨가 그러했으며 더구나 고려말 유학의 종장이라는 목은 역시 철두철미 석가의 재가 신도였다. 이는 석가를 증오한 소위 신지식인들에게 포박된 성계도 마찬가지라 망나니 아들 방원이한테 쫓겨난 뒤엔 회암사로 들어가 아주 중이 된 성계 역시.. 2018. 2. 13. 내부지(內夫智) 신라 진흥왕시대 건립한 비석들인 마운령비와 북한산비에 등장하는 관료. 같은 진흥왕 시대 금석문인 단양 적성비에 보이는 '내례부지(內禮夫智)'와 같은 인물이라는 견해가 있다. 나아가 삼국사기(三國史記) 거칠부전(居柒夫傳)에 보이는 파진찬(波珍飡) 노부(奴夫), 삼국사기 진평왕 원년조에 보이는 상대등(上大等)이자 이찬(伊飡)인 노리부(弩里夫)와 동일인물이라는 주장도 있다. 내부지가 노부 혹은 노리부 중 한 명과 동일인물일 가능성은 있으나, 노부와 노리부는 명백히 다른 인물이라는 점에서 셋을 다 같은 인물에 대한 다른 표기라는 주장은 따를 수 없다. 마운령신라진흥왕순수비(磨雲嶺新羅眞興王巡守碑·568·진흥왕 29) : 태창(太昌) 원년 세차(歲次) 무자(戊子) ▨▨ 21일 ▨▨ ▨흥대왕(▨興大王)이 ▨▨를 순수.. 2018. 2. 12. 무력지(另力智․武力智)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 561년. 진흥왕 22) : 신사년(辛巳年) 2월1일에 세우다. 이때 ▨▨대▨(▨▨大▨)는 ▨▨▨▨▨지(▨▨▨▨▨智) 갈문왕(葛文王)이고, ▨▨▨▨자(▨▨▨▨者)는 …탁(喙)의 ▨▨부지(▨▨夫智) 잡간(迊干)과 사탁(沙喙)의 무력지(武力智) 잡간(迊干)과 탁(喙)의 소리부지(小里夫智) ▨▨간(▨▨干)과 사탁(沙喙)의 도설지(都設智) 사척간(沙尺干)이며... 마운령신라진흥왕순수비(磨雲嶺新羅眞興王巡守碑. 568. 진흥왕29년) :태창(太昌) 원년 세차(歲次) 무자(戊子) ▨▨ 21일 ▨▨ ▨흥대왕(▨興大王)이 ▨▨를 순수하여 돌에 새겨 기록한다. …수레를 타고 나가 10월2일 계해(癸亥)에 이르러 … 인하여 변계(邊堺)지역을 설유(說諭)하였다. …이 때 어가를 수행한.. 2018. 2. 12. 복동지(服冬智) 마운령비에 등장하는 신라시대 관료다. 같은 해 세운 황초령비에서는 '服冬知(복동지)'라고 보이니, 같은 인물이다. 이를 통해 이 무렵 신라에서는 적어도 발음으로는 '知'와 '智'가 통했음을 추측한다. 같은 진흥왕 시대 금석문으로 561년 건립한 창녕비에 사척간(沙尺干)이자 군주(軍主)로 나오는 '복등지(福登知)'와 같은 인물일 가능성도 있다. 이들은 나아가 진평왕 부인 김씨 마야부인(摩耶夫人) 아버지인 갈문왕 '복승(福勝)'과도 활동연대가 대략 겹치는 것으로 보아 동일인물일 가능성도 있다. 마운령신라진흥왕순수비(磨雲嶺新羅眞興王巡守碑. 568. 진흥왕 29년) :태창(太昌) 원년 세차(歲次) 무자(戊子) ▨▨ 21일 ▨▨ ▨흥대왕(▨興大王)이 ▨▨를 순수하여 돌에 새겨 기록한다. …수레를 타고 나가 10월.. 2018. 2. 12. 비지부지(比知夫知) 마운령신라진흥왕순수비(磨雲嶺新羅眞興王巡守碑. 568. 진흥왕29년) : 태창(太昌) 원년 세차(歲次) 무자(戊子) ▨▨ 21일 ▨▨ ▨흥대왕(▨興大王)이 ▨▨를 순수하여 돌에 새겨 기록한다. …수레를 타고 나가 10월2일 계해(癸亥)에 이르러 … 인하여 변계(邊堺)지역을 설유(說諭)하였다. …이때 어가를 수행한 이로…대등(大等)은 탁부(喙部) 거칠부지(居朼夫智) 이간(伊干), 내부지(內夫智) 이간(伊干), 사탁부(沙喙部) 무력지(另力智) 잡간(迊干), 탁부(喙部) 복동지(服冬智) 대아간(大阿干), 비지부지(比知夫知) 급간(及干), 미지(未知) 대나마(大奈末), 급진부지(及珎夫知) 나말(奈末)이다. 황초령신라진흥왕순수비(黃草嶺新羅眞興王巡守碑. 568년. 진흥왕 29) : …8월21일 계미(癸未)에 진흥태왕.. 2018. 2. 12. 이전 1 ··· 3461 3462 3463 3464 3465 3466 3467 ··· 349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