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691

공자와 맹자의 사대부: 씨가 있는 것이 아니다 조선왕조도 원론적으로는 이 말을 부정할 수 없었을 것이다. 공자와 맹자가 말씀하신 바 사대부는 씨가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 씨가 있었다면 공자도 맹자도 모두 결격자다. 사대부는 그 의지와 행동이 결정한다. 일본을 보라. 메이지 유신기, 자기 몸을 초개 같이 던진 "사무라이"들은 거의 모두 사무라이라고 부르기 미안한 하급무사 출신이거나 아니면 심지어는 농민 중에서 나왔다. 이들이야말로 당시 수백 년 동안 막부로부터 대접 받아가며 사무라이로 자임한 상급무사들 보다 훨씬 사무라이에 가까운 사람들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조선 말기, 구한 말 19세기의 시기-. 평민과 심지어는 노비에서 성장해 나왔을지도 모르는 소위 "모칭 유학"들-. 이들이 당시 "사대부의 품성"을 갖추지 않았으리라고 우리는 장담할 수 있겠는가? 2025. 9. 26.
이베리아 반도 순동시대 가장 오래된 하마 상아 유물 발견 by University of Barcelona바르셀로나 대학교 선사시대 연구 및 연구 세미나(SERP) 연구진이 이베리아 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하마 상아 유물을 발견했다.이 유물은 기원전 2천년대 2/4분기, 순동시대Copper Age로 추정되는 보빌라 마두렐Bòbila Madurell (바르셀로나 산트 키르제 델 바예스Sant Quirze del Vallès) 유적에서 발견되었다. 당시 지중해에는 하마 상아가 존재하지 않았다.따라서 이 유물은 지중해 동부 해안과의 장거리 교역망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준다.이 발견은 고고학 과학 저널(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Reports)에 게재되었다. 이 유물은 1977년 고대 발굴 과정에서 발견되었으며, 사바델 역사 박물관.. 2025. 9. 26.
로마시대 테라코타 관절 인형 코르도바서 발견 스페인 코르도바Córdoba 바에나Baena에 위치한 토레파레도네스 고고학 공원Torreparedones Archaeological Park에서 고고학자들이 놀라운 발견을 했다. 바로 희귀한 로마 시대 관절 테라코타 인형articulated terracotta doll이다. 유적 동쪽 목욕탕에서 발굴된 이 섬세하지만 특별한 유물은 약 1,700년 전 히스파니아 어린이들 일상생활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한다. 서기 3세기에서 5세기 사이에 제작된 이 관절 인형jointed doll은 머리와 팔이 없지만 정교한 세공 기술을 보여준다. 연구진은 인형과 함께 오른쪽 다리, 왼쪽 발, 그리고 신원 미상의 팔다리를 포함한 다른 인형 조각들도 발견했는데, 이는 이 지역에 여러 개 장난감이 버려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2025. 9. 26.
왜 칼보다 칼집인가? 영천 완산동 무덤의 경우 영천시가 의뢰하고 계림문화재연구원이 조사한 경북 영천 완산동 고분군 발굴성과를 보면 서기 500년 무렵 아마도 이 지역 토호가 묻혔을 것으로 보는 적석목곽분이 드러나고 그에서 그 시대 지역 지배층 무덤에서는 전형으로 보이는 양상이 드러났으니이 발굴이 조금 특이한 점은 환두대도 두 자루를 얼굴 양쪽으로 나란히 놓았다는 사실이며 나아가 그 칼은 역시나 칼집에다가 금속칼이 아닌 나무 모조품 칼을 넣었다는 사실이다. 왜 나무칼인가? 그에 대해서는 아래 글들에서 우리는 집중으로 탐구했다. 이 문제를 제대로, 그리고 심각히 짚은 글을 나는 본 적 없다. 저 출토 양상에서 주목할 다른 지점도 있으니 매장주체시설 중에서도 환두대도 두 자루는 시신을 장식한 직접 장착물이라는 사실이다.이는 저를 준비한 데가 상주라는 사.. 2025. 9. 26.
절강 동탑사 탑 터, 약한 지반을 보강한 송나라 탑 기초 흔적들 최근 절강성 문물고고연구소는 동탑사东塔寺 유적 고고학 성과를 발표했다.이 유적은 절강성 가흥시嘉兴市 중심부에 위치하며, 남조 양나라 시대에 처음 건설되었다.고고학자들은 이 유적에서 총 52개 '송항宋缸'을 발견했다.이 '송항'은 북송 신종神宗 원풍元丰 2년 유적을 중수할 때 안치된 것으로, 탑 기초 중요한 구성 요소다.동탑사 탑 기초는 정사각형이며, 면적은 약 900제곱미터로 당시 지면에서 6~7미터 깊었다. 시공 시, 장인은 먼저 깊은 구덩이를 파고, 그 후 구덩이 바닥에 촘촘한 말뚝 기초를 다진 후, 청고 진흙青膏泥으로 한 층씩 단단히 다지고, 마지막으로 내부, 중간, 외부 총 세 층 나무 틀 상자를 구축했다.고탑에서는 종종 "열 개 탑 중 아홉 개가 기울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주로 지반.. 2025. 9. 26.
양반과 민중 코스프레의 조선후기사 필자가 보기엔 우리나라 조선후기는 매우 역동적으로향촌사회를 파고 들면 별의별 사람들이 다 모여살며그 안에서 갖가지 욕망이 분출하고 충돌하는 공간일진대, 우리가 이 시대를 보는 눈은양반의 눈으로 그 정신세계를 흉내내며 이 시대를 코스프레 하거나 민중이라는 모호한 용어로 피지배자 일체를 뭉뜽그려 파악하는 작업으로 인해, 그 세밀함을 잃고 이 시대를 정확히 보는 데 실패하고 있다고 본다. 양반과 민중이라는 이 둘을 모두 포기해야 비로소 우리는 조선후기를 제대로 볼 수 있지 않을까? *** [편집자주] *** 80년대를 풍미한 저 민중사관이라는 이름이야말로 한국역사를 뒤틀리게 한 원흉이라 하겠다. 민중, 참 말은 그럴 듯해서, 언제나 이 민중은 집합명사이자 추상명사였고, 그런 집합추상명사가 반제 반봉건을 기치.. 2025. 9.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