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Historipedia67

이토 추타(이동충태. 伊東忠太. いとうちゅうた. 1867~1954) 1867.11.21(慶応3. 10. 26)에 태어나 1954年(昭和 29). 4. 7에 몰하다. 明治~昭和期 建築家이자 建築史家. 야마가타현(山形県) 요네자와시(米沢市) 출신. 호는 홍운(紅雲)이며 位階・勲等・学位・称号는 正三位・勲二等瑞宝章・工学博士・東京帝国大学 名誉教授・米沢市 名誉市民 第1号다. 동경제국대학을 거쳐 早稲田大学 教授를 역임했다. 官僚・政治家인 히라타 도우스케(平田東助. 1849~1925)가 숙부다. 어린 시절을 東京과 사쿠라(佐倉)에서 보냈다. 帝国大学 工科大学(현재의 東京大学 工学部)를 졸업하고 同 大学大学院에 진학해 나중에 工学博士・東京帝国大学 名誉教授가 되다. 서양건축학을 기초로 하면서도 일본건축을 본격적으로 재검토한 제일인자로서, 법륭사法隆寺가 일본 最古 寺院 건축임을 주장했으며,.. 2018. 3. 8.
왕선겸(王先謙)과 《한서보주漢書補注》 왕선겸(王先謙. 1842~1917)은 字가 익오益吾, 號는 규원葵園이며, 호남湖南 장사長沙 출신으로 근대 중국의 저명한 경학가經學家로 흔히 규원선생葵園先生이라 부른다. 18세에 補廩膳生했다. 동치同治 4년(1865)에 진사進士가 되고 국사관편수國史館編修、한림원시독翰林院侍讀、국자감좨주國子監祭酒 등의 관직을 역임했다. 고금군서古今群書를 박람博覽하고 치학治學은 고거考據를 중시했다. 광서光緒 시대에 강소학정江蘇學政이 되었지만 銀 1천량을 희사해 남청서원南菁書院을 세웠다. 光緒 15年(1889)에 사직하고 고향 長沙로 돌아가 정착해 악록서원嶽麓書院 산장山長으로 장장 10년을 지냈다. 무술변법운동戊戌變法運動에 강유위康有爲와 양계초梁啟超의 급진사상을 반대했다. 光緒 26年(1900), 당재상唐才常이 자립하여 군사를 .. 2018. 3. 8.
백제삼서(百濟三書. 百済三書) 《일본서기日本書紀》가 인용한 백제계 관련 사서로 짐작되는 《백제기百済記》 《백제신찬百済新撰》 《백제본기百済本記》 세 가지를 합칭하는 말이다. 이들 삼서가 《日本書紀》에서는 신공황후기神功皇后紀 이래 흠명천황기欽明天皇紀에 인용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들 삼서가 무엇인지를 두고 각종 주장이 난무하거니와, 세 가지가 각기 다른 사서인지 아닌지도 불분명하다. 그것이 《日本書紀》에 인용된 양상을 차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神功皇后)卌七年〔367〕夏四月(中略)因以千熊長彦爲使者, 當如所願. 千熊長彦者, 分明不知其姓人. 一云, 武蔵國人, 今是額田部槻本首等之始祖也. 【百濟記云職麻那々加比跪者, 蓋是歟也.】於是, 遣千熊長彦于新羅, 責以濫百濟之獻物.○ (神功皇后)六十二年〔382〕, 新羅不朝. 即年, 遣襲津彦擊新羅. 【百.. 2018. 3. 8.
민속학자 김태곤(金泰坤, 1936~1996) 민속학자, 호(號) 남강(南剛)【약력】ㅇ 1936년 4월 25일(음)충청남도 서산 출생ㅇ 1963년국학대학(現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ㅇ 1966년경희대학교 문학석사 학위취득ㅇ 1977년동경교육대학 문학박사 학위취득ㅇ 1996년 1월 25일 작고【경력】ㅇ 1970~1996년 문화체육부 문화재전문위원ㅇ 1971~1978년 원광대학교 교수ㅇ 1978~1996년 경희대학교 교수,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장ㅇ 1992~1996년 경희대학교중앙박물관장ㅇ 1991~1996년 국제샤머니즘학회장, 한국민속학회장【연구업적】[저서]ㅇ 󰡔황천무가연구󰡕(1966), 창우사ㅇ 󰡔한국무속연구󰡕(1981), 집문당ㅇ 󰡔한국민간신앙연구󰡕(1983), 집문당 등 총 34권[논문]ㅇ 「한국신당연구」(1965), 󰡔국어국문학󰡕 29,.. 2018. 3. 8.
낙양가람기洛陽伽藍記 생몰년 미상이나, 6세기 중반 무렵 북위(北魏)에 출사했음이 확실한 양현지(楊衒之)라는 사람 저술이다. 가사협(賈思勰)의 《제민요술》(齊民要術), 역도원(酈道元)의 《수경주》(水經注)와 함께 북위시대 3대 걸작으로 꼽힌다. 저자 양현지는 지금의 하북성(河北省) 만성현(滿城縣)인 북평(北平) 출신이지만 행적과 가계 등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姓은 보통 楊이라고 하나 陽 혹은 羊이라 쓴 곳도 있으며, 기록에 따라서는 무군부사마(撫軍府司馬), 봉조청(奉朝請), 또는 기성태수(期城太守)를 지냈다고도 한다. 낙양가람기 序에서 양현지 스스로는 “무정(武定) 5년 정묘년(547)에 나는 공무로 낙양을 다시 한 번 둘러보았다”는 대목이 보이고, 이때 폐허가 된 낙양을 본 안타까움에서 “낙양 안팎으로는 천여 개.. 2018. 2. 22.
외연 넓히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시장 우리가 말하는 세계유산으로 흔히 다음 세 가지를 혼용해서 마구잡이로 씁니다. 1. 세계유산 world heritage 2. 인류무형문화유산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3. 세계기록유산 memory of the world 하지만 이 세 가지는 엄연히 다릅니다. 세계유산과 인류무형유산 두 가지는 각기 그들의 존재를 가능케 한 국제협약에 근거를 둡니다. 쉽게 말해 각국이 이런이런 협약을 만들고 그것을 준수하겠다는 다짐을 하고서 그에 일정 국가 이상이 비준함으로써 발효하는 협약을 기반으로 해서 성립한 것입니다. 이를 다시 상론하자면, 먼저 세계유산(World Heritage)은 유엔의 전문기구 중 하나인 유네스코(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the United Nations .. 2018. 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