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WS & THESIS4688 뻘짓하다 죽을 뻔한 보리스 존슨 존슨 영국 총리, '죽다 살아나왔다'…코로나19 치료 후일담 | 연합뉴스 존슨 영국 총리, '죽다 살아나왔다'…코로나19 치료 후일담, 김용래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05-03 20:39) www.yna.co.kr 이 친구 한창 위급하달 땐 나는 죽는가 싶었다. 우리가, 아니 내가 접하는 정보야 관련 보도, 특히 영국쪽 언론보도밖에 없었지만, 영국은 북한이랑 달라서 그의 동태가 어느 정도 언론을 통해, 비교적 객관으로 유출 가능했다. 그것을 한 단계 걸러 전하는 국내 언론보도는 별로 신뢰하지 않는 편이었는데, 그가 위급상황으로 갔다는 소식이 본격으로 영국언론들에서 흘러나올 때만 해도 국내에 전해지는 정보는 그리 심각수준은 아니었다. 내가 굳이 이 블로그를 빌려 주로 영국언론이 전하는 그의 실상.. 2020. 5. 4. 여차하면 재털이 날릴 채비 김정은 두릅을 많이 무서 그런지 볼살은 더 뿔어서 조만간 터질 듯한 볼때기, 오동통하니 살이 잔뜩 오른 모습이지만, 어디 아팠던 듯한 흔적이라고는 눈 씻고 찾아볼 수도 없다. 저 친구 무슨 담배를 피우는지, 한대 농가주 봐라. 담배는 열라 피우는구만. 자넨 좋겠다. 담배 끊어라는 마누라 혹은 주변 사람 없을 테니 말이다. 전자 담배로 안바꾸나? 2020. 5. 2. 혼자서 비단 자른 김정은 죽었네 살았네 식물인간이네 어쩌네 저쩌네 하다가 20일만에 뿅 하고 나타나서는 니들 놀랐제? 를 외친 김정은이가 그 두문불출 끝내고 대외에 공식 공개한 첫 행사가 이것이다. 조선중앙통신에 의하멘 정은이는 노동절인 5월 1일 순천인비료공장 준공식에 참석했다면서 이러고로 테이프커팅을 했다면서 컬러사진 잔뜩 배포했다. 나는 언제나 이런 이벤트에 드러나는 의식 ritual 을 주목하거니와, 그 리추얼만큼 그 사회 혹은 행사가 지닌 상징을 잘 드러내주는 일이 없다고 보는 까닭이다. 북한은 최고지도자가 참석하는 테이프커팅이 언제나 이런 양식인데 무엇인가? 오직 최고지도자 혼차만 가시개질을 한다는 점이다. 가시개질을 혼차 하느냐 아니면 그에 관련되는 주요한 인사들이 함께하느냐 아니냐 여부에 따라 그 사회가 독재주의 .. 2020. 5. 2. 짱! 하고 나타난 김정은..죽기 전까진 계속 이어질 사망설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attended a fertilizer factory completion ceremony, state media reported Saturday, his first public appearance after 20 days of absence that sparked rumors about his health. '사망설'김정은, 20일만에 공개활동…어제 비료공장 준공식 참석(종합) | 연합뉴스 '사망설'김정은, 20일만에 공개활동…어제 비료공장 준공식 참석(종합), 박수윤기자, 북한뉴스 (송고시간 2020-05-02 07:00) www.yna.co.kr (LEAD) N.K. leader reemerges after 20-day absence amid .. 2020. 5. 2. Summer over Onyang Folk Museum, Asan 이타미 준, 유동룡 설계 온양민속박물관 구정아트센터 피었다는 모란이 하도 오뉴월 소불알처럼 늘어지고 하도 땀이 많이 나서 아산 기온을 얹어본다. 그럼 그렇지 어째 찌더라. 28도란다. 여름 전령 철쭉 만발이나 이미 낙화가 절반이라 질근질근 밟아준다. 사뿐히 즈려 밟아? 정자 옆 버드나무 버들솜 천지사방 뿌려 밀가루 회반죽이라. 봄은 어디가고 여름만 왔더라 2020. 5. 1. 《한국문화재수난사》 작가 이구열 선생 타계(updated) 첫 미술 전문기자…원로 미술평론가 이구열 별세 | 연합뉴스 첫 미술 전문기자…원로 미술평론가 이구열 별세, 송광호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04-30 17:55) www.yna.co.kr 선생은 기자 출신이다. 기자로 주로 문화 부문에서 활약하면서 연구와 저술활동을 병행했다. 옛날 문화부 기자 중에는 이런 분이 많다. 뭐 멀리 올라가면 근대초기 식민지시대 때 기자 아니었던 문필가 연구가 없으니, 그런 전통이 계속 내려와서 현재도 그런 여진이 좀 있다. 선생 세대 혹은 그보다 약간 빠른 전설적 인물로 한국일보 문화부장을 역임한 예용해 선생이 있으니, 이 양반이 무형문화재 제도와 개념을 다 만들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바로 뒤를 이어 이구열 선생이 나타났다. 미술평론가라지만 문화재업계서는 《한.. 2020. 4. 30. 이전 1 ··· 602 603 604 605 606 607 608 ··· 782 다음 반응형